View : 919 Download: 0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 분석

Title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 분석
Authors
오은순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a structure among the ecological variables having effects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Study results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help children adjust to divorce. To this en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 First, how do ecological variables have effects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hild s adjustment to divorce in accordance with either the sex of the child or the sex of the custodial parent ? This study is a social survey that approaches th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Prior to conducting research,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and pilot study were undertaken from which key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 s divorce adjustment were chosen. These key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wo primary categories : ontogenic variables and ecological system variables. Ontogenic variables include the child sex, and age at the time of divorce. Ecological system variables include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variables. The microsystem variable is the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mesosystem variable is the school-home relationship. Exosystem variable include the adjustment to divorce of the custodial parent, sex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custodial parent, level of social support, and conflict between parents prior to separation. Study subjects comprised 204 pupils from 52 elementary school(Seoul 3, Inchon 5, Kyunggi 10, Kangwon 14) as well as their teacher and custodial par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10 days between February 6 and February 15, 1996. Three separate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 for teachers, for children, and for custodial par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researched school-home relationships and asked how much custodial parents supporte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for children questioned the custodial parents-child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parent s child rearing attitude and conflict between parent before divorce. The questionnaire for custodial parents questioned their background, social support systems, economic hardship after divorce, depression which asks custodial parent s adjustment, and included a behavioral checklist to question the child s adjustment to divorc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were the t-Test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y LISREL Ⅷ program. The following summary reviews the study results. First, 8 variables affect th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ough 17 paths in the ecological structure which tested for the children s adjustment. The most contributive variables to the adjustment of children were the adjustment of the custodial parent, social support, and school-home relationship. Systematically looking at each variable s effect path, we found socioeconomic status(an exosystem variable)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through school-home relationship and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Soci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and an indirect effect by affecting both the adjustment of custodial parents and the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parents before divorce has a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And the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djustment of custodial parents, so i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adjustment of divorced children. Time since separation has a direct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The adjustment of custodial parents(an exosysterm variable and mediator), which is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and pre-divorce conflict between parents, affects the child s adjustment. At the same time, the adjustment of custodial parents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through school-home relationship and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school-home relationship(a mesosystem variable)which is affect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adjustment of the custodial parent has a direct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and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through the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is a microsystem variable and i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social support, pre-divorce conflict between parents, age of child, adjustment of custodial parents, and school-home relationship. But in this study the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child s adjustment. Age of child(an ontogenic variable) directly affects the child s adjustment, and indirectly affects the child s adjustment through the custodial parent-child relationship. Second, the study showed girls adjust more easily than boys. Also, when the child s sex is the same as the custodial parent, the child is better adjusted. ; 오늘날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이혼율의 증가는 이혼가정 자녀들의 적응 문제에 대한 교육자들의 관심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화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생태학적 변인들은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은 아동과 양육부모의 성(sex)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해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사회조사연구이다. 본 조사에 앞서 문헌 연구와 예비조사를 거쳐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관련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인은 크게 아동개체 특성적 변인과 생태 체계적 변인으로 나뉘어 진다. 아동 개체 특성적 변인으로는 아동의 성과 부모가 이혼할 당시 아동의 연령이 선정되었고, 생태 체계적 변인 중 미시체계 변인은 부모-자녀 관계가, 중간체계 변인은 학교-가정 관계가, 외체계 변인은 부모의 적응, 양육부모의 성,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지지, 이혼 전 부모의 갈등, 그리고 이혼 경과기간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23개교, 인천 5개교, 경기 10개교, 강원 14개교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이혼가정 아동 204명과 그들의 교사, 그리고 양육부모였다. 측정도구는 교사용, 아동용, 부모용의 세 가지로 나뉘어졌다. 교사용 도구는 학교-가정 관계를 묻는 부모의 학교 교육에 대한 지원 질문지였다. 아동용 도구는 부모-자녀 관계를 묻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의 갈등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부모용 도구는 배경요인, 아동의 적응을 묻는 아동행동 체크리스트, 부모의 적응을 묻는 부모의 우울경향, 사회적 지지, 그리고 경제적 여려움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t검정과 LISREL 프로그램에 의한 공변량 구조 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관해 검증된 생태학적 구조는 8개 변인이 17개 경로를 통하여 아동의 적응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먼저 변인들의 영향 경로에서 다른 변인들에 비해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에 영향력이 높은 변인은 부모의 적응, 사회적 지지, 그리고 학교-가정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변인들의 영향 경로를 체계별로 살펴 본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교-가정 관계와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아동의 적응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지지는 아동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주는 동시에 부모의 적응과 부모-자녀 관계를 통하여 아동의 적응에 간접 영향을 준다. 부모의 갈등은 아동의 적응에 직접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부모의 적응과 부모-자녀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써 아동의 적응에 간접 영향을 준다. 이혼 경과 기간은 아동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준다. 부모의 적응은 사회적 지지와 부모의 갈등의 영향을 받아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준다. 동시에 부모의 적응은 학교-가정 관계와 부모-자녀 관계를 통하여 아동의 적응에 간접 영향을 준다. 학교-가정 관계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의 적응의 영향을 받아 아동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줄뿐 아니라 부모-자녀 관계를 통하여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준다. 부모-자녀 관계는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지지, 부모의 갈등, 아동의 연령, 부모의 적응, 학교-가정 관계의 영향을 받아 아동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아동 개체 특성적 변인인 아동의 연령은 아동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주거나 부모-자녀 관계를 통하여 간접 영향을 준다. 둘째, 이혼가정 아동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아동의 성이 동성일 때와 이성일 때 아동의 적응은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양육부모와 동성인 아동이 이성인 아동보다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