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주거공간의 combine system kitchen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공간의 combine system kitchen 디자인에 관한 연구
Authors
문혜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지난 20여년간 우리시회가 이룬 경제적 번영과 기술적 발전은 우리의 생활문화 전반에 있어서 커다란 변혁을 이루어 왔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생활을 담고 있는 주택의 양상은 물리적 형태뿐 아니라 기능적 내용에 있어서 급진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심각한 주택부족현상을 해소하고 부족한 토지의 이용을 높이기 위해 건설된 아파트는 그 양적 성장과 함께 가장 보편적인 주거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거주자들에게 아파는 고밀도 주거 형태의 대량 보급으로 긍정적 측면이 있는가하면 획일성, 자연으로부터의 고립, 개개인의 아이댄티티를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들이 점차 심각하게 인식되며 1990년대에 와서는 경제성장의 완숙과 더불어 주거환경도 과거의 소유개념에서 차별화된 만족으로 그 욕구가 다변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산업화 되어 있는 현대 도시의 문제로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중의 한가지인 주거속에 심화되어 가는 기계를 배제하고 감각적인 인테리어의 구성체로 주방 공간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아울러 가사공간은 더 이상 남녀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은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혼수품 또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매년 40만쌍이 결혼을 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소형 아파트에서 출발을 하고 있다. 이런 시각에서 볼 때 20평형의 단위 거주 공간 내에서 공간 구성에 대한 분석과 좁은 공간 안에서의 여러 가지 기능을 충족시킨 주방 가구의 디자인 연구방법을 아래와 같이 진행 시켰다. ■ 이론적 배경은 국내외 발간된 문헌과 통계자료, 보고서 등을 참고하였으며, 조형적인 경향의 파악을 위하여 국내외 전시회, 카다로그, 저문잡지, 신문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 제 2장에서는 주방가구의 일반적인 고찰을 통하여 개념과 일반적인 특성 및 자재 사용과 주방가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 제 3장에서는 시대변화에 따른 소형 아파트 문화의 변화와 주방가구의 유형과 규모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어떻게 바뀌어져 소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 제 4장에서는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아파트 주거 문화의 트랜드 분석과 실제 제품의 소비에서 나타나는 제품사례를 통해 사용자의 생활양식과 제품군별 선택 기준과 선호되는 디자인 경향을 분석한다. ■제 5장에서는 소형 주방 공간의 주방시스템에 한정하여 소형 주방의 합리적인 사용과 실질적인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주방에 따른 동작 치수를 적용하였다.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방법은 문헌 조사와 사례 조사를 토대로 사용자는 신세대인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정하며 20평형의 아파트 공간으로 제한하였다. 위와 같은 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환경과 주방에서의 복합적인 행동 양식을 분석하여 주거 공간이라는 한정된 공간과 결부되었을 때 갖는 주방의 요소들을 적용하여 대상설정에 따른 기본안을 제시를 통해 주거 문화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 The economic prosperity and technical development our society has made for the past 20 years bring a great innovation in overall life culture. Among them. the aspect of our housing shows radical changes not only in physical form but also in functional contents. Especially, apartments , buit to solve the lack of housing and highten the use of the land, become universal housing culture with their growth in amount. However, an apartment has some problems such as alienation from nature and bad function in reflecting each individual s identity while it has some good aspects in that it gives high density housing to residents living in the era of GNP value. In the 19902 s residential environment varies with the maturity of economic growth, and desires for it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possession in the past. This is a problem of industrialized modern cities, and it gives kitchen meaning as the composite of sensual interior excluding the machine deepened in residence one of human basic desires. and home making space does not need any gender division any more. In this point of view, I developed design study for kitchen furniture satisfying various functions in small space with the analysis of space composition within the unit residence space(20 square meter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referred to local literature. statistics and reports, and tried future-oriented design both in function and modeling aspects with the analysis of local and overseas exhibitions, catalogues, expert magazines, and newspapers to grasp modeling trend. Chapter 2 grasps the concept, general characteristics of kitchen furniture and its problems through the general analysis of kitchen furniture. Chapter 3 analyzes how small-sized apartments have changed, what are their types and sizes, and examines user s life style. product choice and preferred design trend through the product case shown in real consumption with a rewly rising apartment trend analysis. As an analysis method for the results, I took newly-weds living in 20 square meters apartment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y. Applying kitchen elements in limited unit space by analyzing user s environment and complex behavior styles in the kitchen. I developed a model of residential culture by suggesting a basic plan following subject sel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제품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