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본 호남풍물굿에 관한 연구 :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Title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본 호남풍물굿에 관한 연구 :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Authors
김진숙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마을은 삶의 터전이 될 수 있는 곳에 생성된다. 왕성한 생산활동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풍요로운 삶이 영위될 수 있는 곳에 사람들이 모여서 마을을 이룬다. 땅은 마을 사람들의 삶의 터전으로 그들의 안녕(安寧)과 직결되어 있다. 그래서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사람들의 공통된 소망이 노래와 춤과 놀이가 되어 마을을 돌보는 서낭님에게 간절히 비는 굿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문화유산으로써 풍물굿이 행해진다. 풍물굿은 상고시대부터 우리민족의 종교의식, 노동, 향토오락, 행진 등에서 행해지면서 우리민족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발전하였으며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민속예술로서 예부터 조상들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전승되어 온 민중악무(民衆樂舞)이다. 이처럼 풍물굿이 온 마을에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은 그것이 정신적 협화(協和)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인 마을 풍속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풍물굿이 행해지는 여러지역 중 벼농사가 많은 남부지방 특히, 호남지방에서 풍물굿이 발달하였다. 호남풍물굿은 호남지방에서 두드러진 임진왜란의 의병활동이나 동학농민운동과 같은 특수한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계승· 발전되었으며 지역적으로 소외받고 격리됨으로 인해 형성된 고유한 지역적 정서의 영향을 받으면서 타지역과의 풍물굿과는 다른 농후(濃厚)한 공동체의식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풍물굿은 현재 외래문화에 밀려 전통적 원형성을 상실해가고 현대의 산업사회는 민중들의 동질성과 귀속감을 분열시켰다. 뿐만 아니라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나타난 빈부격차와 계층 간의 소득격차의 확대가 크게 벌어지면서 이에 따른 정서적 일체성 내지 공동체의식의 상실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공동노동조직과 상부상조를 통한 공동체적 삶의 실현이 무엇보다 시급한 이 시점에서 공동체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풍물굿을 한갓 지난시대의 문화유산으로써가 아닌 오늘날 우리 시대에 적합하도록 계승,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풍물굿의 한국적인 특성을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나타난 호남풍물굿의 강한 공동체의식을 재조명 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호남지방의 지역적 특성과 역사성에 따른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찰하고 호남풍물굿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춤 구조의 의미, 제의·의례적 요소, 생산적 요소, 집단놀이적 요소로써의 풍물굿으로 분화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남풍물굿에 나타난 공동체의식을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곡창지대의 자연입지적 조건은 농경의 풍요로움을 가져다 주었으며 동시에 자연마을 단위의 공동체성을 더욱 부각시켜 노동의 결속을 다져주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 호남의 소외사나 동학농민혁명 등과 같은 저항사를 통한 결속력과 응집력은 호남풍물굿의 공동체적 특성을 더욱 더 강화하는 역사적 배경이 되었다. 셋째, 호남의 실천문학과 이를 바탕으로 한 호남지방 문화의 현실주의적 성향은 민중들의 실제적 삶과 직접 관계되는 풍물굿에 있어서, 의례적인 절차보다는 실질적인 공동체적 결속력과 귀속감을 강조했다. 넷째, 호남풍물굿의 굿판에서 추어지는 보릿대춤과 몸짓이 생산자 즉 민중들의 총체적 삶의 호흡으로 나타났으며 지신밟기와 굿놀이에서 치배들의 역할과 움직임 또한 노동의 몸짓을 춤으로 승화시키고 대동참여의 폭을 더 넓히는 윤활유가 되었다. 또한 마을 사회의 강녕(康寧)을 위해 올리는 동제를 수행하는 역할이나 농사일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한 두레는 그 구성·진행과정에서 민중들의 정서적 일체성과 단결성이 공동노동조직에 의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민중들의 의식과 삶을 반영해주고 대변해주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측면을 통하여 호남풍물굿에 나타나는 공동체의식을 도출해 봄으로써 그 형태를 유지해온 호남풍물굿의 전통에 대한 인식과 현대인의 상실된 공동체의식에 대한 재고 작업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A village is established where the site of life is made. People get together where they can do producing activity and lead a rich life based on it. The soil is the site of villagers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well-being. Therefore, common hope of villagers for wealth becomes a song, a dance and a play, and there are presented as Gut (exorcism). As a series of cultural inheritance like this, Gut of natural features are performed. Gut of natural features developed closely related to our nation s life, and it is folk music dance which has been deep-rooted in our ancestors life as one of representative folk arts of our nations. As such, the reason why Gut of natural features is rooted in each village is that it is connected to community customs based on spiritual cooperation. Among several districts where Gut of natural features is performed, Gut of natural features is especially developed in the Southern area, especially Honam area where rice agriculture prevails.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was succeeded and developed on the special historical basis such as the movement of loyal troops and peasant. It becomes the form of a community ritual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because it is affected by original local emotions, alienated from other regions. However, this Gut of natural features is losing its traditional prototype because of foreign culture, and industrial society in modern times has disrupted the public s feeling homogeneity and possession. Furthermore, with gap of the poor and the rich and of their income appearing in the process of abrupt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expanded, an issue of losing emotional unity or the spirit of community is raised. Hereby, in this situati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life is urgent, we need to succeed and develop Gut of natural features appropriate for today, not mere as cultural asset. Therefore, this study has an aim to explore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Korean characters in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and the strong cooperative spirit of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It is researched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ccording to the local distinction and history of Honam district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 of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subdivided the meaning of dance structure into ritual factors, productive factors, group play factors. Based on the above study, the cooperative spirit of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s showed as follows: First, the natural condition as a granary gives agricultural fertility as well as labor unity highlighting the cooperative spirit of natural villages. Second, the unity and cohesive power by the reason of the alienation of Honam district and the history resistance such as Donghak peasant movement was the background for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character of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Third, the practical literature in Honam and the realistic trend of it emphasized the unity and cohesive power more than formal procedure in the folk exorcism related in common people s real life directly. Fourth, barley straw dance and mime in the stage of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appeared as a stream of whole life of the people, stepping on the god of the earth and exorcism play transferred the actions of labor into dance and furnished the people with an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In addition, farmer s cooperative groups which perform sacrificial rites for the peace and welfare of villages and the smooth progress of agricultural works appeared as cooperative labor groups of the emotional unity and solidarity of the people in structural and proceeding process remarkably. If the cooperative spirit of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is studied by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age which can show the awareness and life of the people, it can produce the basic data for the traditional sense of Honam Pungmulgut (Gut of natural features in Honam) and the reconsideration of the lost cooperative spirit of the moder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