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Web site 제작에 있어 문화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지역문화 홍보site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Web site 제작에 있어 문화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지역문화 홍보site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
우선제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통신혁명은 우리 인간의 삶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정보화 시대의 국경 없는 세계에서 각 개인의 다양한 선호를 반영할 수 있는 질 높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세계를 하나로 연결시키고 개인들의 참여의 폭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세계가 하나의 인류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각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성이 약화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현상을 토대로 문화적 가치가 고조되면서 최근 디자인의 여러 분야에서도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을 표현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매체적 중요도가 가중되면서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에 관한 고찰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 등장한 웹이 기능적 차원을 넘어 문화적 차원까지 고려하는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수의 웹은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의 근본 목적인 정보 전달 차원을 넘어 문화적 차원을 고려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을 주 연구로 삼는다. 이는 교통 통신의 발달로 동질화되어 가는 세계문화의 양상 속에서 웹사이트의 차별화를 위한 전략과 아울러 자국의 문화까지 적절히 홍보하기 위한 노력이다.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의 요소로서는 감성적 차원에서 그 원리를 찾아야 하며, 그 구현의 원리를 적용하여 타국의 웹과의 차별화를 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민족의 고유한 감성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웹디자인의 전제는 문화적 정체성의 정립이 우선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의 전통문화에서 그 원리를 찾아야 한다. 문화적 차원을 고려한 디자인이란 그 나라 혹은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cultural identity)를 반영한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이란 “한국다움”이라 할 수 있고, 웹사이트 상에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의 구현은 문화간 커뮤니케이션(inter-cultural communication) 차원에서 정보의 교환 차원을 넘어 문화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수반한다. 또한 한국의 전통 이미지를 올바르게 인식시켜 줄 수 있고, 내국인에게는 소속감과 자신감을 불어넣어 줄 수 있어 현시대에서 필요조건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현재의 웹사이트 내에는 그러한 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불분명하거나 기술적 나열만 가지고 차별화를 시도하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제작자가 자국의 문화성을 구현하려는 의도를 보이더라도 제작자의 성량에 따라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은 대부분의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에 디자인의 요소까지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더욱 그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디자이너로서, 기술적 측면이 아닌 디자인의 측면을 중심으로 문화적 정체성을 구현하도록 하였으며, 그 구현을 위한 기본 철학은 한국의 전통 조형의식을 바탕으로 시각적 표현을 전개하였다. 이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이론과 구현요소를 정립하고 이에 합당한 표현을 시도하였다. 사례분석은 광범위한 분야의 웹사이트들 중에서 본 연구자가 사례작품을 시도하는 지역문화 홍보사이트에 한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사례분석의 중점은 각국의 웹사이트가 디자인상의 어떠한 문화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 요소들의 특징들을 통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론 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웹사이트 제작시 문화적 정체성의 구현 요소 및 방법들을 정립하여 연구 작품을 진행하였다. 웹사이트 제작시 문화적 정체성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된 소재로는 본인이 태어나서 자란 곳으로 충북의 지역문화를 선정하였고, 구현요소로는 문자(typographic), 이미지(image),색상(color)을 고려하여 디자인하였으며 그 구현 방법으로는 한국의 전통조형의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본 작업을 통해 얻은 결론은 웹사이트의 제작시 문화적 정체성의 구현을 위해서는 단지 이미지를 기술적으로 나열한다고 해서 풀리는 문제는 아니고 각 나라의 차별성을 위해선 그 나라만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통성을 기초로 한 조형의식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통 조형의식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를 구현하는 디자이너는 현재의 시대적 상황에 적합하도록 재창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결국 디자인이 문화의 이해에서 비롯하므로, 정보화 시대에서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웹사이트 내에 문화적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한국의 아름다움을 적절히 홍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것이 될 수 있고, 그를 위한 구현의 요소는 전통조형의식과 웹사이트 내의 디자인 요소와의 적절한 구현 방법과의 문제에서 찾을 수 있다. ;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as a era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21th century will lead to the basic changes of our human life. Individual in the world of the information age refuses the frame of set pattern, and has a preference for a life of various and high quality.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has linked the world to a unit, and extended the participation of each individual at the inter-communication in this process. But this unification process of the world by rapi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ibutes to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peculiar culture and tradition in each country. Based on this phenomenon, as the value of cultur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imes, it is proceeding the effort of presenting the our own identity in many quaters of design. As the importance of World Wide Web(WWW)as online media is more weighted, a survey on the identity of a race is required keenly. But though the design refl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web is needful, most of web does not embody properly it. Accordingly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body the design considering the cultural identity against the pure transfer of information. This is a effort for the proper publicity of their own culture on the web sit, as the rapi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has also accelerated the similarity of the culture. And the embodiment of this requires to seek the principle of the sense as the element of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this embodiment principle will introduce the distinctions comparing the web of any other nation. The premise of the web design based on the our own peculiar sense is to perform firstly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and for this, it must seek the principle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a race. The design considering cultural characteristics must reflect the nation s or local cultural identity. Because it accompanies the function of the cultural communication place over the pure transfer of information each other, and first of all inspires the confidence and belonging mind to the people and correctly reminds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ly,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for the embodiment of peculiar traditional beauty in the 21th information age. So, in view of the frequent transfer of information by the internet user through the web. the establishment of web for the public relations of local culture is more needful than any other media, nowadays. But, despite of the quickness of the information transfer by the web. the proper embodiment of cultural identity is, in fact, very difficult in that the internet has a limitation of presentation method, the intent of web maker seeks the general character instead of locally peculiar one. Accordingly this author as a designer is to embody the cultural identity mainly focused on the side of design, but not technique in the construction of web for public information of local culture. For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related with culture in other country. it was searched by search engine to find the related web sites made by a official and trusting administration organization, travel agent and academy. From this survey, it was evaluated the element of the embodiment on the web for the realization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found how to present effectively this element such as the content, function and design.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raditional image of Korea on the internet web focusing on chungbuk s local culture zone and its famous characteristics such as sightseeing spots, traditional treasures, regional products and cultural festivals. The element of embodiment for cultural identity on the web considers the language, image, and color and introduce the proper techniques to maximize the dynamic effect of image designed. If it enables to present actually the Korean beauty as public relations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he web, the spreading effect is very important in which our local culture is worldwide known in correct manner. This study seeks and applies presentation method for effectively informing and embodying the local culture, and presents the Chungbuk s traditional beauty in view of mainly design for public relations of the local culture through a internet web. Actually the embodiment of cultural identity on the web is not resolved by pure set forthing the beautiful and colorful image. To stand out the difference of the local culture of each country, it must reflect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which contain the basis of traditional consciousness. Basically the embodiment of design is followed by the full comprehension of culture. The embodiment of cultural identity in the web utilizing internet media as the information age can be a methodology for the proper publicity of Korean beauty, and it is developed through the proper combination of formative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web design element in harmon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