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덤벨운동이 노인여성의 신체구성, 체력과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itle
덤벨운동이 노인여성의 신체구성, 체력과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정복자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덤벨운동이 노인여성의 신체구성·체력과 골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앞으로의 고령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S구의 노인 복지관에 다니는 65세 이상의 노인여성을 주3회 1일 60분씩 12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DOW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훈련전·훈련후의 각 항목 성적에 대하여 평균치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전후의 차이는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덤벨운동이 체력, 신체구성, 골대사요인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었으며 각 각의 요인들은 덤벨운동을 통하여 어느 정도 증가 하였는지를 알기 위하여 효과크기(effect size)와 증가량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분석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덤벨운동을 실시한 후 체중에서 약1.47㎏, 체지방은 2.15% 감소하였고(P<.001), 근육량에서도 0.33㎏증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근력(악력)에서 약3.99㎏, 근지구력(아령들기)에서 3.6회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평형성(외발서기) 3.38초, 유연성(체전굴)은 1.36㎝증가 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덤벨운동을 실시한 후 골형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둘째, 덤벨운동의 효과크기에서 평형성(0.9)이 효과크기가 가장 컸고, 근력(0.67)은 중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음은 체지방(0.43), 골형성(0.36), 유연성(0.3) 체중(0.18), 근지구력(0.15), 근육량(0.03)의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증가율에서 평형성이 99.7%, 근지구력21.8%, 골형성율-21.47%, 근력20%, 유연성7.6%, 체지방-6.29%, 체중-2.5%근육량0.96%순으로 증가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을 종합해 볼때, 덤벨운동이 노인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골대사에 효과가 있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 결과를 미루어 볼때 어떠한 운동이 노인여성에게 적합한 운동이라 단정하기 어렵지만, 쉽게 따라할 수 있고, 노인에게 필요한 체력과 성인병의 주 원인인 비만에 효과가 있는 덤벨운동이 노인여성에게 적합한 운동이라 사료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umbell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etabolism of elderly woman. It was also to provide a basic guideline by an aging person for health promotion and to develope an exercise progra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1 elderly woman for over age of 65, they performed exercise for 1 hour for 3-days each week for a period of 12 weeks. The pair T-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differance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fter 12-weeks of dumbell exercise there was a reduction of weight by 1.47kg, body fat decreased by 2.15% (P <.001) and the gain of muscle mass was 0.33kg (P <.05).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muscular strength by 3.99kg, muscular endurance increased by 3.6 frequency balance increased by 3.38 sec, flexiblity increased by 1.36cm (P <.05) and bone metabolis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P <.05). 2. the effects of dumbell exercise appeared to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balance (0.9/99.7%) and a moderate increase in muscular strength (0.67/20%). There was also a small increase in : body fat (0.43/ 6.29%), bone metabolism (0.36/ 21.47%), flexibility (0.3/ 7.6%), body weight (0.18/ 2.5%), muscular endurance(0.15/ 21.8%) and muscle mass (0.33/ 0.96%).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