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윤선도 오우가의 조형이미지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Title
윤선도 오우가의 조형이미지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Authors
유승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uman beings, living in the dispensation and the change and harmony of nature, have expressed the formative beauty in the form of arts. Nature has been adopted for various subject matters of arts from a very long time ago, and its perfect beauty and its intrinsic life source has provided an artistic inspiration and the ground for all kinds of sense of beauty. Further, the will of human beings to represent nature goes beyond the mere imitation of it and becomes mature while interpreting it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perspective of nature. Those with the perspective of current times have felt skeptical about the western rationalism and given their attention to the eastern monistic thoughts from the fragmental thoughts. As such, in order to satisfy their desire for the new, human beings have been continuously searching for something new, and as a result the style of arts has experienced the alternating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extile art has been recognized as an area of the formative arts through the incessant effort by artists trying to approach the intrinsic elements of beauty, and now it is being addressed as a concept of design. Therefore, at the turning point of 21st century, it is necessary to address a question of if we are considering Korean style as a new style for this new century. Architects and designers of today look at the culture of the present and the past but only consider the stylistic possibility while their ancestors half a century ago look at the present and past culture but were stimulated to produce a style representing their own times. The belief in and the optimism about the innovative technical engineering, which attracted style makers of the early 21st century, made them to believe in aesthetics based on the idea of mechanical production, but failed in motivating them in another way. However, textile design, which has developed along with human history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be viewed as a practical design which makes possible both individual interest and diverse artistic representation not merely as a mechanical standardized design. In this sense, the development of a new style focusing on Korean textile design will be discussed in this research. In other words, the spirit of craft arts in Korea, which has been forgotten due to multiculturalism and cyber culture, will be viewed from the new perspective, and objet will be adopt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design, and finally the new textile design will become more formative and artistic. Objet will be studied and formed in terms of the various images of each object taking Arte Povera and Korean view of nature into consideration, and accordingly it will add an intrinsic impression to textile design. In this perspective, I will study Asian view of nature, that is, our ancestors attitude toward nature, and it will be discussed particularly focusing on Sijo, Korean poetry which has been written for a long time and in which the unique Korean emotion has remained. Songs of five friends by Yun, Son-do,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famous works and shows Kanghogado, meaning the praise for river and lake, will be discussed so that Korean view of nature in Sijo can be clearly visualized. The emotional understanding of nature will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formative image of Songs of five friends which appreciates the thought-provoking aspect of nature, and the very image will be modernized fitting for our own ti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Korean original brand by developing a new texture with Korean motive so that the uniqueness of Korean style can be felt in the interior of a room. In order to do it, the realistic pattern of screen printing, digital printing, and manual dyeing process will be harmonized with objet on each pattern. The following is its process of manufacture and design. First, Sijo is approached theoretically and nature image viewed from Korean perspective of nature will be combined with the aesthetic beauty in Arte Povera, which is a trend in the 20th century formative arts, and eventually will be created as a pattern. Second, the static characteristic of water, stone, pine tree, bamboo and moon, that is, the formative elements of nature image in Songs of five friends by Yun, Son-do will be created as a pattern. Third, in case of color, the unique color of each object and the color of textu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rend will be emphasized as the dual color effect. Fourth, in case of representational techniques, the nature image will be created as a pattern on the texture, printed, transformed physically, and produced as a new fabric. In the final step of its practical use, the tendency of textile design in the indoor interior will be analyzed and the possibility of texture manufacture as a real product will be gauged by applying it in the real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a new motive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formative images in Songs of five friends by Yun, Son-do and the three-dimensional formalization using objet were tried in this research. A new textile design with Korean nature image could be expected and created by combining pattern with objet not confining it only to the paranoiac affection toward nature with no practical use. Especially, the structure of the spiritual image of water and the formative image of stone, pine tree, bamboo and moon, and the practical use of space in the whole process of work could be the application of Asian thoughts to design, through which the emotional depth of each object and the uniqueness of a new style could be created. Second,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each object was investigated and the various representational techniques for it were tried. Image was emphasized in terms of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texture with objet on the one-dimensional realistic pattern, which made it possible to expect a new aesthetic approach. In addition, design with a unique emotion, which is far different from mechanical standardization, was tried in terms of arts craft. As a result, a simple but intense, naive but noble textile design related to environmentalism could be expected. Third, in the case of color, the dual color image attained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original texture took an effective role of representing the intrinsic image of nature. Also, the emotional representation of objects, which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Korean view of nature, was appropriately addressed, and the possibility of a unique design differentiated from others was shown. Finally,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pattern, which was tried as a new style by harmonizing nature objet and art, and the development of a new motive, which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visualization of image in the literature, not only satisfy the desire of customers who want a new and unique design of 21st century but suggest a possibility of Korean-specific design which can add more value on manufacture and eventually contribute toward the development of Korean original brand. ; 자연의 섭리 안에서 존재하는 인간은 자연의 끊임없는 변화와 조화 속에서, 미의식을 갖고 예술이란 형식을 통하여 조형미를 표현해 왔다. 예술에 있어 자연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소재로 이용되어 왔고, 자연의 완벽한 아름다움과 원초적 생명력은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 모든 미의식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연을 표현하는데 있어 인간의 조형 의지는 자연을 단순히 모방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 주변의 자연에 대한 해석과 관점에 의해 보다 성숙하게 된다. 특히, 현재 시대적 관점은 서구적 합리주의에 회의를 느끼고 단편적인 시선을 거두어 동양의 일원적인 사상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 이처럼 항상 새로운 욕구의 충족을 위해서 인간은 창조적 모색을 그치지 않고 있으며, 그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예술 양식은 해체되고 다시 재형성되면서 끊임없는 변화를 계속해 왔다. 그 중, 섬유예술은 끊임없이 미의 본질적인 요소에 접근하려는 많은 예술가들의 노력에 의해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을 넘어 이제는 디자인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1세기를 맞이한 이 시점에서, 우리는 현 세기를 위한 우리만의 양식 의 출현을 바라보고 있는가? 반세기 전의 그들의 선조가 자신이 사는 시대의 정신을 대표할 양식을 생산해내려는 필연성에 의해 격앙되었던 것과는 달리, 오늘날의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은 과거와 현대 문화로부터 발취해 낸 양식상의 가능성들 속에 빠져 있다. 20세기초에 디자이너들을(the style makers) 매료시켰던 새로운 기술공학의 믿음과 낙관주의적 감각은, 그들로 하여금 기계 생산의 이념에 근거한 유일의 미학을 신봉하도록 하였으나, 그 이상의 동기를 부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텍스타일 디자인은 기계적 획일화가 아닌, 개개인의 독특한 스타일이나 양식의 표출에 있어서 개성적인 관심과 함께 다양한 예술 표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양식의 개발에 그 초점을 맞췄다. 즉 다원주의적이고 기계화된 사이버 문화 속에서, 잊혀져 가는 우리의 공예 정신이 가미된 디자인의 개발을 위해, 동양적 관점에 시선을 맞추고, 그 중 한국적인 감성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예술 작품인 시조 문학을 선택하여 과거 선조들이 가지고 있었던 자연에 대한 관점과 자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시조 문학에서 보여지고 있는 한국적 자연관을 시각화하기 위해, 조선시대 강호가도(江湖歌道)를 읊은 시인 중 백미(白眉)로 꼽히는 윤선도의 [오우가(五友歌)]를 바탕으로하여 작업하였다. 자연의 심오한 모습을 노래한 [오우가(五友歌)]속 다섯 자연물의 조형 이미지를 통해, 자연을 정서적으로 이해하고, 거기에서 보여진 이미지를 현대적 감각으로 형상화하였다. 스크린 프린팅과 수공예 염색을 이용한 사실적 패턴에 각 패턴을 강조할 수 있는 오브제와의 조화를 통하여, 조형성과 공예성을 살리고자 하였다. 이때 오브제는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의 경향과 한국적 자연관을 바탕으로, 각각의 대상이 지니는 다양한 이미지를 연구하고, 조형화 시킴으로서 내적 감흥을 지닌 텍스타일 디자인의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실내 공간에서 우리만의 독특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한국적 모티브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통해, 자체 브랜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하겠다. 이런 목적을 위한 작품 제작 및 디자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으로는 시조를 통해 알아 본 한국적인 자연관에서 보여지는 자연의 이미지를, 조형미술의 한 흐름인 아르떼 포베라의 미적 경향과 결합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자연 이미지의 형상화 과정에서 주요 소재로 윤선도의 [오우가(五友歌)]에서 보여지는 조형적 요소인 수(水), 석(石), 송(松), 죽(竹), 월(月)의 정적인 특성과 시조 속의 이미지를 패턴화하였다. 셋째, 색상에 있어서는 각각의 대상물이 가지는 특유의 색상(色相)과, 트랜드에 의한 해석을 바탕으로 원단 소재가 가지는 이중색상의 효과를 강조하였다. 넷째, 표현 기법에서는 먼저, 각 이미지에 맞게 기본 텍스처를 염색한 섬유 위에 자연 이미지를 패턴화하여 프린트하고, 섬유에 물리적 변형을 통하여 새로운 패브릭(fabric)으로서의 가능성을 디자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용화 단계에서는 먼저 인테리어 속에서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경향을 분석하고, 제작된 섬유들을 공간 속에 적용하여 제품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윤선도의 [오우가(五友歌)]속 조형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해 새로운 모티브의 개발과 함께 오브제를 이용한 입체적인 형상화를 시도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자연에 대한 편집광적인 애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닌, 시조에서 보여진 자연에 대한 집중과 높은 한국적 이미지를, 패턴과 오브제의 결합을 통하여 창조적인 형태로 구성한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함에서였다. 이와같이 문학에서 바라본 한국의 자연관과 대상물들에 대한 해석은, 기존에 보여진 많은 자연을 모티브로한 디자인과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독특한 조형적 미를 가질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해 두었다. 특히, 물(水)이 가지는 정신적인 이미지를 이용한 대상에 대한 표현과, 오브제와의 결합, 그리고 작업 전체에서 보여지는 여백의 공간 활용은 동양적인 사상과 한국적 자연관을 디자인에 적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소재들의 정서적인 깊이와 독특한 조형성을 가진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가능성을 볼 수 있게 해준 원동력이었다. 둘째, 표현기법은 각각의 대상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평면의 사실적인 패턴 위에 오브제를 이용한 섬유의 물리적인 변형을 통해 전체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미적인 새로운 접근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에서의 공예적인 표현은, 독창적인 정서가 가미된 디자인으로 단순하면서도 깊이가 있고, 소박하면서도 격조가 있는 환경 친화적인 실내용 텍스타일 제품으로 선보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었다. 셋째, 색상의 경우 기존 섬유와의 조화를 통하여 얻어지는 이중적 색이미지는, 자연의 내적인 조형성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내고자 하였던 한국적 자연관으로 해석되어진 사물들의 정서적인 표현을 하기에 적절한 방법이었으며, 이것은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었다. 넷째, 자연 오브제와 예술의 조화에서 오는 새로운 텍스타일 디자인 양식의 창작 시도는, 패턴의 예술적 표현과 문학작품 속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해 창조적인 모티브로써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것은 21세기가 요구하는 새롭고 전문화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생산에 적용하여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한국적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한국 자체 브랜드로서의 개발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