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윤정-
dc.creator박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87-
dc.description.abstract국제화 시대에 패션은 인터넷(Internet)등의 영향으로 국경 없이 급속도로 발전, 변화되고 있으며 과거와는 달리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유행 경향(Trend)이 거의 동시에 확산, 전파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남성의류 역시 여성의류와 마찬가지로 점점 개성화, 다양화 되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과 건축물에서 볼 수 있는 연꽃과 기러기 그리고 기와, 담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앞으로 미국과 유럽 등 전 세계에 매 시즌(Season)마다 유행될 것으로 예측되는 남성복 트랜드 칼라를 중심으로 작품제작을 해 나간다면 한국의 전통미를 살려 나가면서 우리나라뿐만이 아닌 세계시장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상품으로 판로를 개척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본 연구자의 의도를 구체화 시켜 상품화하기 위해 첫째, 본 연구자가 실무경험 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자료^1와 현업에서 사용되는 소재, 생산 기법 등을 적극 활용 하였고 한국의 전통미를 상품화시키기 위해 창, 문(門), 마루, 굴뚝, 계단, 처마, 기와, 담 등의 건축물에서 먼저 기와와 담을 선정하고, 전통 문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식물류, 조류 등에서 연꽃과 기러기를 선정하였다. 둘째, 양복과 잘 매치(Match) 되어야만 하는 넥타이의 특성 때문에 남성 패션과 넥타이의 시대별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 본 작품에는 앞으로 남성 패션에 유행 될 것으로 예측되는 99/00 F/W 트랜드 칼라^2를 적극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 하였다. 셋째, 전통미만을 부각시킴으로써 나타나는 일부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넥타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올 오버, 패널 등의 구도기법을 활용 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한국의 전통 문양이나 전통 건축물의 이미지를 매 시즌마다의 트랜드 칼라를 적절히 활용하여 하나의 디자인 컨?W(Concept)으로 발전시켜 상품화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의 전통 문양이 건축물뿐 아니라 청자, 풍속화, 금속 공예, 심지어는 베갯모 등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러한 넥타이 디자인 분리 기준에서 정리되지 않은 문양들을 플로랄, 지오메트릭, 컨버세쇼날 등으로 분리해 나간다면 넥타이 디자인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과제가 일시적인 작품 제작에 그치지 않고 매 시즌마다 계속적으로 더 확대, 발전되어 변화가 많은 넥타이 시장에서 뚜렷한 마켓 포지셔닝(Market Positioning)을 확보하도록 본 연구자는 노력 하고자 한다. 주) 1. 찰스 쥬르당, 오스카 데라렌타, 피에르 가르뎅 등에서 C사와 라이센스 계약으로 매 시즌 보내오는 소재, 디자인, 칼라 등의 자료. 2. France의 Fashion Trend Forecasting 전문회사가 매 시즌 제안하는 자료. ; The current fashion business has been globalized and the fashion trend almost simultaneously will be able to spread to the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like Internet. Recently, it is an international situation to become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in men s fashion as well as women 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tr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a lotus blossom, wild goose, tile, and stone wall that can be seen easily and commonly on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s and buildings. If the Korean traditional are combined harmoniously with global trend colors of men s wear in each season, the outlet will be found for the products in a global market as well as the Korean market. In order to apply the researcher s intention to a product, the following three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First, the researcher put the various data, collected from practical experiences, and technique of production into practical use. To express Korean tradition on the product,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lected as motives; A tile and stone wall among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a lotus blossom and wild goose among plants and birds generally used as Korean traditional motives. Secondly, as an accessory of a men s suit, a neck-tie should be matched with a men s suit and follow its trend. Therefore, the process of variation of men s wear and neck-tie was studi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predicted trend color for the men s fashion in 99/00 F/W was applied to the art work. Third, in order to approach consumers easily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s, the most popular and general composition techniques like all over and panel were used in the art wor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 if the researcher developed a design concept matching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s and building images with trend colors, it is a possibility to commercialize them as a trendy production. Secondly, it is realized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s have been applied to a pottery, genre painting, metal crafts, and even embroidered pads of a pillow. If these motives are classified and arranged with Floral, Geometric, Conventional and etc, they will be able to be used variously in the neck-tie designs. In short,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is helpful to extend and develop the neck-tie combined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s as distinctly ensured position in the mark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 3 2. 한국의 전통 문양 = 4 2.1 문양의 발생과 의미 = 5 2.2 한국 전통문양의 디자인별 분류 = 6 3. 넥타이 디자인 = 21 3.1 넥타이 디자인의 문양에 따른 분류 = 21 3.2 넥타이 디자인의 구도에 따른 분류 = 27 4. 넥타이 디자인의 기본원리 = 31 4.1 컬러 코디네이션 = 32 4.2 남성 패션과 넥타이의 시대별 변천 = 34 5.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디자인 제작 = 39 5.1 작품제작 의도 = 39 5.2 작업방법 및 개발과정 = 41 6. 결론 = 69 참고문헌 = 70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591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넥타이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