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대형 할인점에서의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대형 할인점에서의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uthors
정지혜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형할인점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소비자에 대한 의복구매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대형할인점을 선택하는 기준과 의복을 선택하는 기준, 그리고 대형할인점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과정과 착용후에 나타나는 불만족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대형할인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의류품목과 그 가격대, 선호하는 의류브랜드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변인들이 대형할인점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인구통계적 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해 봄으로써 대형할인점의 의류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대해 밝히고 향후 대형할인점의 의류마케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형할인점을 이용하는 소비자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알아보고 각 점포별 차이를 비교한다. 둘째, 대형할인점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점포선택기준과 의복선택기준, 의복불만족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점포별 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대형할인점에서 주로 구매되는 의류품목과 가격대, 선호브랜드유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점포별차이와,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의류매장의 비중이 높은 대형할인점 중에서 서울 에 위치한 6점포의 매장안에서 의복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5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회귀분석,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할인점 의복구매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기혼이며 직업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 가지고 있지 않은 여성보다 높았다. 학력은 대졸이 가장 많았고 총월수입은 200만원에서 300만원대가 가장 많았으며 한계절에 지출하는 평균의복비는 20만원에서 30만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점포별로는 마그넷의 20대 비율이 가장 높았고 기혼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이마트로 나타났다. 홈플러스의 소비자가 가장 많이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계절 평균의복비는 마그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점포선택기준은 서비스 및 시설, 제품 및 명성, 구매효율성, 가격, 교통 및 영업시간, 판촉의 6가지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교통 및 영업시간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복선택기준은 4가지 요인으로 다양성 및 적합성, 제품, 경제성, 유행 및 상표로 추출되었다. 이 중 경제성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복불만족요인에 있어서는 품질 및 내구성, 색상, 구매여건, 치수 및 표시체계, 서비스의 5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서비스 요인이 가장 높은 불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각 점포별로 점포선택기준과 의복선택기준, 의복불만족 요인을 비교해 본 결과 점포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이마트와 홈플러스, 마그넷 모두 교통 및 영업시간, 서비스 및 시설, 가격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점포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의복선택기준에 있어서는 이마트가 경제성과 제품의 순으로, 홈플러스는 제품과 경제성의 순으로, 마그넷은 경제성과 다양성 및 적합성의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점포마다 기준이 다름을 나타내었다. 의복불만족도에 있어서는, 이마트와 마그넷의 소비자가 서비스에 가장 높은 불만족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점포선택기준, 의복선택기준, 의복불만족 요인을 알아본 결과, 점포선택에 있어 30대의 소비자가 구매효율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혼여성이 서비스 및 시설, 제품 및 명성, 구매효율성에 있어 미혼여성보다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선택기준에 있어서는 30대의 소비자가 다양성 및 적합성에 있어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요인은 기혼여성이 미혼여성에 비해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졸이상의 소비자는 다양성 및 적합성, 제품요인을 고졸이하의 소비자에 비해 더 중요시하고 있었고 월수입 300만원 이상의 소비자가 그 이하의 소비자에 비해 다양성 및 적합성, 경제성, 유행성 및 상품요인을 중요시하였다. 한계절 평균의복비는 30만원 이상 지출한 소비자가 그 이하의 소비자에 비해 다양성 및 적합성, 제품, 경제성, 유행 및 상표요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불만족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30대, 기혼자, 본인직업이 있는 경우, 전문대졸 이상, 월수입 300만원 이상의 소비자가 전체 불만족도에서 높은 불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대형할인점에서의 구매의류품목과 가격대를 보면 전체 30개 품목중에서 여성티셔츠가 1위이며 여성바지, 여성내의, 남성티셔츠, 아동티셔츠, 여성청바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가격대는 티셔츠는 모든 부분에서 1만원 이상 - 3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여성내의는 5000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점포별 구매품목은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여성티셔츠 다음으로 여성바지를, 30대는 여성티셔츠 다음으로 남성티셔츠를, 40대 이상은 여성티셔츠 다음으로 남성셔츠를 각각 선호하였다. 총월수입 300만원 미만의 소비자집단은 여성티셔츠, 여성바지의 순으로, 300만원 이상의 소비자는 여성티셔츠, 남성티셔츠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여덟째, 대형할인점에서의 선호의류브랜드 유형을 알아본 결과 내셔널브랜드, 보세무명브랜드, 해외라이센스브랜드, 해외직수입브랜드, 디자이너브랜드 순으로 선호하였고 브랜드 유형에 개의치 않는다는 비율이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점포별로는 이마트와 홈플러스에서는 보세무명브랜드를, 마그넷에서는 내셔널브랜드를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연령이 낮고 미혼이며 직업이 있고 학력이 높으며 수입이 상대적으로 많은 소비자집단이 내셔널브랜드를 선호하고 그렇지 않은 집단은 보세무명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understand the consumers store selecting standards, the process of purchasing clothing, and dissatisfaction factors that occurs after use and to examine the clothing items, price, and preferred clothing brand types that are preferred to be purchased in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s by analyzing clothing purchase behaviors of consumers in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lso, consumers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tions and relations with demographic variation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ashion marketing especially in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s. Therefore, such issues were selected to be dealt with as follows: First, determine large scale discount store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Second, classify consumers store selection standard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nd dissatisfaction factors, understand the relations with demographic variations and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Third, examine the preferred clothing items, price, and clothing brand types in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 and understand the relations with demographic variations and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women consumers that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clothing in 6 different discount stores located in seoul. Total 35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ackag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lothing purchasers in large scale discount were mostly in the age group of 20s, were married and had jobs. High degree of purchasers was graduated from Colleg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range was mostly between 2million to 3million won. Average money spent on clothing in one season was mostly in the range of 200thousand to 300thousand won. Comparing by percentage of each stores, age group of 20s in Magnet marked the highest and percentage of people married marked the highest in E-Mart. Second, for the store selection standards, six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service and facilities, product and reputation, purchase efficiency, price, traffic and sell time, and sales promotion. Traffic and sell time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six factors. Third, four factors were extracted in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uch as variety and suitability, product appearance, economical, and in fashion and brand. Economical facto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ourth, for clothing dissatisfaction factor, five factors were extracted. Quality and durability, color, purchase condition, size and indication system, and service. Service factor was the highest among dissatisfaction factors. Fifth, after comparing each store s store selection standard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nd clothing dissatisfaction factors, in store selection standards fact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All E-mart, Home plus, and Magnet considered traffic and sell time the most followed by service and facility, and price. For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Economical factor was the considered highest in order and product appearance in second in E-mart, product appearance was in first and economical factor in second for Home plus, and economical factor was considered highest followed by variety and suitability in Magnet store. For clothing dissatisfaction factors, consumers in E-mart and Magnet were unsatisfied by the stores service and color factors the most. Sixth, after analyzing the store selection standard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nd clothing dissatisfaction factor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e store selection standards, consumer in age group of 30s considered purchase efficiency the most important. Married women considered service and facilities, product and reputation, and purchase efficiency more than single women, had more total monthly income, and placed more importance on clothing price than unmarried women. As for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age group of 30s considered variety and suitability more important than other age groups and married women considered product appearance factor more important than unmarried women. Consumers which their education level is above college graduate considered variety and suitability, and product appearance more important than consumers below High school graduate. Consumers which their monthly income is above 3million won, considered variety and suitability, economical, and in fashion and brand factors more important than consumers below 3million won. For average money spent on clothing in one season, consumers that spend more than 300thousand won considered variety and suitability, product appearance, and economical factors more important than those who spends below 300thousand won. As for relations with clothing dissatisfaction factors, consumers which is in the age group of 30s, married, got job, education level above college graduate, and over 3million won monthly income showed high degree of dissatisfaction in every clothing dissatisfaction factors. Seventh, preferred clothing items in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 among 30 items (total) are women s T-shirts in first place followed in order by women s pants, women s underwear, men s T-shirts, children s T-shirts, and women s jeans. After analyzing the price range of each item, price was mostly above 10thousand to below 30thousand won for T-shirts and below 5thousand won for women s underw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ores in preferred items but comparing by age groups, age group of 20s preferred women s T-shirts followed by women s pants, 30s preferred women s T-shirts followed by men s T-shirts, age group above 40s preferred women s T-shirts followed by men s T-shirts. Consumers of below 3million monthly income preferred women s T-shirts followed by women s pants, and consumers above 3million monthly income preferred women s T-shirts followed by men s T-shirts. Eighth, after examining preferred clothing brand in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 consumers preferred national brand, bonded unknown brand, foreign licensed brand, direct imported foreign brand, and designer s brand in order. Percentage of consumers who don t concern about the brand type was more than those who do. By stores, consumers in E-mart and Home plus preferred bonded unknown brand, and national brand was preferred by consumers in Magnet. And consumers in the young age group, unmarried (single), have jobs, high level of education and has high income, preferred national brand and others preferred bonded unknown brand the mo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