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한문 교육 방법으로서의 반응 일지 쓰기 연구 : 고등학교 한문 산문 작품을 중심으로

Title
한문 교육 방법으로서의 반응 일지 쓰기 연구 : 고등학교 한문 산문 작품을 중심으로
Authors
김정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문 교육 방법의 하나로서 반응 일지 쓰기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반응 중심 문학 교육에서 반응 일지 쓰기를 실현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 다음, 산문 작품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반응 일지 쓰기 활동을 구안하고 학생들에게 실험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우선 I장에서 기존의 다양한 한문 교육 방법들을 살펴보고 반응 일지 쓰기가 필요한 이유와 연구의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작품 선정의 기준을 밝히고 실험할 작품을 兄弟投金 , 歲寒圖 , 醫山問答 , 吾君驢耳 , 六友堂記 로 확정하였다. 이들은 제 7차 교육과정 한문 교과서에 실려있는 한국 한문학 작품들로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II장에서는 반응 중심 문학 교육 이론을 살펴보았다. 반응 중심 문학 교육의 개념과 교수·학습 원리를 고찰하고 반응의 형성→반응의 명료화→반응의 심화 단계로 이어지는 반응 중심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알아본 뒤 반응 일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반응 일지 쓰기를 도입한 한문 교수·학습 활동을 실제로 실시하였다. 교수·학습 활동 내용을 나열하고 각 작품 별 교수·학습 활동의 실제를 다루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반응 일지 쓰기를 도입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과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비교 집단의 사후 이해도 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반응 일지 쓰기 활동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반응 일지 쓰기 활동을 한문 교육에 적용해 본 결과, 이 활동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반응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작품과 자신의 삶을 연관짓고 나름대로 작품을 평가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며, 또 작품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응 일지 쓰기 활동을 실시함으로서 작품 이해 능력이 향상되며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도 역시 신장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response journal writing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For this, firstly, it was examined reader-response theory and response-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Secondly, I made programs to response journal with the prose in classical Chinese. Next, I experimented this program to the students. First of all, chapter I looks at the various teaching methods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suggests the reason why response journal writing is necessary,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Chapter II presents response-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theory, the meanings of response and the principles of teaching-learning in this theory. After that it was maden a list about the meaning of response journal . Chapter III practiced the activities of teaching-learning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using response journal . Defined the standard for selecting works and determined works such as HyungJeTuGeum , SeHanDo , EuSanMoonDab , OhGoonLyuEe , and YookWooDangGi . These are all in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the 7th curriculum. I thought these works brought various responses and excitments of students. After that, it was examined students responses through their activities. Chapter IV divided two groups. One was Group A that I taught using response journal , the other was Group B that I taught using traditional teaching way . Then I evaluated how much students understood about work and analysed the results of that. Also, I surveyed Group A regarding response journal and examined its result. In conclusion, I adapted response-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theory to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rough that result, I found out some facts from students. - Students can express their response freely. - Students can connect their life with works. - Students can understand and evaluate works in their own ways. - Students can widen their thoughts. -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prehension ability. - Students can have more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