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영어 읽기 텍스트 유형과 입력 강화가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어 읽기 텍스트 유형과 입력 강화가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Authors
허정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 외국어 학습에서 어휘에 대한 인식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낮았었다. 그러나 1970~80년대 이후 개념-기능 중심 교수 요목 및 의사 소통적 언어 교수법이 언어의 형식보다 사용을 강조하고, 언어 형태가 아닌 의미에 초점을 두게 되면서 어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읽기 이해에 있어 어휘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효과적인 어휘 교수 학습 방법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어휘 학습 방법 중 전통적인 직접적 어휘 교수 학습 방법이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은 실제적인 언어 사용과 거리가 있으며 단어의 완벽한 의미적, 통사적 자질과 유리된 단편적인 지식의 획득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요자 중심의 유의미한 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유의미한 실제적인 읽기를 하면서 동시에 궁극적인 언어 사용 상황과 유사하고 깊이 있는 어휘 자질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우연적 어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외국어로써영어를 사용하는(EFL) 상황에 있는 우리 나라에서는 교실 학습 상황 이외의 목표어에 대한 자연스러운 노출이 제 2언어로써 영어를 사용하는(ESL) 상황보다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우연적 어휘 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우연적 어휘 학습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 나라 학습자들도 영어로 된 텍스트를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유추하면서 학습해 나갈 수 있으며, 이러한 유추 과정은 어떤 텍스트를 읽느냐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연적 영어 어휘 학습 방법이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면서 읽기 텍스트 유형과 입력 강화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단순화, 상세화된 텍스트를 다시 입력 강화시켰을 때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45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제적 텍스트, 단순화된 텍스트, 상세화된 텍스트에 입력 강화를 한 것과 안 한 것, 총 6가지의 텍스트 중 한 가지 텍스트를 6집단에 각각 배정하여 읽도록 하였다. 독해를 한 후 이해 문제를 풀고 난 다음 독해 지문과 평가지를 수합하고 1차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일주일 후 동일한 내용의 2차 어휘 평가를 통하여 기억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들이 읽기를 하면서 어휘의 의미를 유추해내는 과정이 텍스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2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읽기 및 어휘 의미 유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사고 구술 기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어휘 평가에서 전체 집단, 상위 집단, 하위 집단 모두에서 상세화한 텍스트로 독해를 한 집단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는데 이는 상세화한 텍스트가 우연적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입력 강화 유무에 의한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나서 특정 어휘에 입력 강화를 한 경우 우연적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주일 후에 실시한 2차 어휘 평가의 결과도 1차 어휘 평가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나서 텍스트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차 평가 결과에 따르면 상세화된, 단순화된, 실제적 텍스트 집단의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입력 강화에 의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차 평가에 비해 2차 평가의 점수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1차 평가와 2차 평가의 차이가 집단별로 유의한가를 2차 평가 점수에서 1차 평가 점수를 뺀 점수로 알아본 결과 텍스트 유형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입력 강화 유무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점수의 상승폭은 단순화된, 상세화된, 실제적 텍스트 집단의 순이었다. 입력 강화의 경우, 입력 강화된 텍스트를 읽은 집단이 입력 강화를 하지 않은 텍스트를 읽은 집단에 비해 상승폭이 적은 것으로 보아서 우연적 어휘 학습의 지속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상·하위 집단을 비교해보면 두 집단 모두 상세화된 텍스트로 읽기를 한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러나 상위 집단의 경우는 상세화된 텍스트 집단 다음으로 실제적 텍스트 집단의 점수가 높았던데 반하여 하위 집단은 상세화된 텍스트 집단 다음으로 단순화한 텍스트 집단의 점수가 더 높아 하위 집단의 학습자에게는 실제적 텍스트보다는 단순화한 텍스트의 효과가 더욱 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하위 집단에서 목표 어휘의 입력 강화 유무에 따른 효과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상위 학습자의 경우 목표 어휘의 입력 강화가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하위 학습자의 경우는 입력 강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독해 및 어휘 능력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에 효과적인 텍스트 유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사고 구술 기법을 통하여 상·중위 학습자들의 독해 및 어휘 유추 과정을 살펴보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들어본 결과, 텍스트 유형과 입력 강화 유무에 따라 어휘 유추 과정이 달라진다는 것이 나타났다. 학습자의 독해 및 어휘 능숙도의 차이와 학습자의 스타일에 따라서도 유추과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 분석 결과와도 유사하다. 입력 강화된 어휘를 접했을 때 상위 및 중위 학습자 모두 중요한 어휘일 것 같다고 판단했었다고 말하였으나 강화가 실제적으로 크게 도움이 되었는지는 확신하지 못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 우연적 어휘 학습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중 상세화한 텍스트가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력 강화에 의한 효과는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학습자의 능숙도 수준에 따라서도 우연적 어휘 학습 과정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연적 어휘 학습을 위한 읽기 교재를 개발하거나 독해 지도를 통해 우연적 어휘 학습을 지도할 때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적절한 텍스트 유형을 선택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Vocabulary has not been the focus of attention in the second and foreign language research or methodology so far. However, since the 1970s interest in vocabulary has grown quite rapidly as Notional-Functional syllabus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began to focus on the language use rather than language usage and on meaning rather than form. Furthermore, the emphasi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reading comprehension has lead to studies focusing o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se studies mostly showed that although traditional direct vocabulary teaching seemed to have an immediate effect on learners improvement in vocabulary knowledge, it lacked authentic vocabulary use. Moreover, as meaningful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have become the main principles in EFL, attention has increased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which can lead to acquire a deep knowledge of words during normal and meaningful reading processing.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 Korean EFL. The process in which the Korean learners, who are not accustomed to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fer the meaning of unknown vocabulary, can differ according to the text they rea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text modification and input enhancement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t investigates whether or not text simplification, elaboration, and input enhancement in target words of those modified texts have an effect on the learners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hundred fifty six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hey were respectively exposed to one of six conditions: an authentic and non-enhanced text; an authentic and enhanced text; a simplified and non-enhanced text; a simplified and enhanced text; an elaborated and non-enhanced text; an elaborated and enhanced text. These six groups were then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with the given texts were carried out, without the participants aware of the fact that they were being tested. Then the texts with the questions were gathered. Following, the first vocabulary test identical with all the groups was taken. A week later, the second vocabulary test which was the equivalent of the first was administered in order to examine the reten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In addition, the process in which twelve learners infer the vocabulary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nk-aloud protoc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for the elaborated text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ith the elaborated text gained the highest scores in the first vocabulary test in the whole, higher, and lower groups. The results also indicated a significant effect for input enhancement on the vocabulary learning. It implies that elaborated and input enhanced text has an positive effect on learners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Second, in the second vocabulary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text types, which was similar to the result in the first vocabulary test. The score was high in the order of elaborated, simplified, and authentic text. However,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put-enhanced and non-enhanced texts. There was overall improvement on the second vocabulary test, thu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cond and first test score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text type and input enhanc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xt types and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input-enhanced and non-enhanced text. That is, there was less improvement on the enhanced text than that of the non-enhanced, which implies that the effect of input enhancement on incidental learning cannot be retained. Third, both upper and lower level stu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xt types in the first vocabulary test, presenting the highest scores in the elaborated text. While the upper group showed higher scores with the authentic text, the lower group benefitted more from the simplified text.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ith regard to input enhancement. Input enhancement had a facilitative effect on the lower group s vocabulary learning while it showed none for the upper group. This means that effective text type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arners reading and vocabulary proficiency levels. Fourth, reading and vocabulary-inferring processing were observed through think-aloud protocols and interview.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ext types and input enhancement, which was related to the learners proficiency and learner styles. In regards to input-enhanced vocabulary, though both the upper and middle level learners considered that enhanced vocabulary was important in comprehending the content, they were uncertain as to how much it actually helped them.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the text types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mong the text types the elaborated text proved to be the most beneficial. The effects of the input enhancement was found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especially in the lower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in developing reading materials for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learners proficiency level should be considered, and appropriate texts types should be selected in facilitating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