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분석
Authors
전임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과서는 학교 교육에서 사용하는 학습도구 중 그 영향력과 중요성이 매우 크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수업 진도에 치중하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좋은 교과서를 만드는 일은 우리들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것은 지리과목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에 좋은 지리교과서 제작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심화선택과정에 있는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해 논하고자 먼저,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지리과를 중심으로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현재 1차 심사가 끝난 4종의 교과서를 수집하여 편의상 A, B, C, D로 표시하여 교과서의 단원별 분량, 단원별 제재수 및 내용, 단원전개 체제, 내용체제, 학습자료를 분류표를 작성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지리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고등학교 한국지리 4종 교과서는 교과서간, 단원간 분량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단원간 분량차이는 4종 교과서 모두 크게 나타났고 특정 단원에 분량이 치중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별 주제와 제재 수에 있어서 주제는 4종 교과서에서 같게 나타났지만 제재는 교과서간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내용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단원 전개체제는 대체로 "단원명→도입글→주제명→학습목표→본문→단원마무리" 순서로 구성되어있다. 넷째, 교과서별 내용을 비교해보면, 교과서별로 내용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교과서별로 공통으로 다룬 내용과 아예 다루지 않은 내용이 다소 있었다. 그리고 대단원간 분량차이가 심하게 나타나서 몇 몇 단원에 내용이 치중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교과서에 수록된 지도, 사진, 도표 등 학습자료는 교과서간, 대단원간에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학습자료를 종류별로 살펴본 결과 특정한 학습자료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한국지리 교과서의 특징을 나열해 보면, (1) 외형체제가 보는 교과서로 달라졌다. (2) 교과서에 좋은 사례와 다양한 자료들이 많이 실려있어서 지리학습 이해에 도움을 준다. (3) 단원 명칭에 친근하고 쉬운 용어를 사용하였다. (4) 학생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5)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보면, (1) 교과서별로 용어가 통일되지 않았다. (2) 본문 내용이 잘 다듬어지지 않았다. (3) 교과서간, 단원간 분량 차이가 심하다. (4) 내용이 많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안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내용분석틀 을 구성해야 한다. 고등학교 수준에서 꼭 배워야 할 내용 요소들을 뽑아 내용분석틀 을 만들고 이에 맞게 내용을 구성하고 가르칠 수 있어야 하겠다. 둘째, 교과서 제작시 현장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 교사가 교과서 제작에 참여 할 때 보다 좋은 교재로서 교과서가 강조될 것이다.; A textbook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education. Making a good textbook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eaching material. Making a good geography textbook of korea is impose a task on our. This study is analysis of high school geography of korea in the seventh curriculum to help them revised for the better. Firstly, examination on the change of korea geography education process in the first curriculum to in the seventh curriculum. Secondly, collect four kinds of textbooks and marked them as A, B, C , D. Compared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unit, the contents of unit, the development system units, comparing the contents the analysis the teaching materials. Final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in korea geography textbook and examining the problems and suggest.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the flowing. First, four kinds of korea geography textbook are some difference of quantities among the great unit, among the textbook. In particular, the quantity of Unit2, 4, 5 the sum of the quantity of amounts to 61.4% of all units. On the other hand, Unit 6, 7 amounts to 7.6% of all. Second, the construction of the title of units is all the same in great units and mid-units, but there are some great differences in small units and the number of units, the average number of small units amounts to 56.6% of all in Unit 2, 4, 5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number of small units amounts to 16.5% of all in Unit 6, 7. It is shows that the subject of Korea Geography is just like learning these units. It is thought that this point has to be corrected Third, the most textbooks the development system of units has an order like this : the title of mid-unit→introduce writings→the title of small unit→learning objects→main texts→checking up the unit. Fourth, comparing the contents in Korea Geography textbooks. Unit 2 has the most contents of all great units, and Unit 5→Unit 4→Unit 3→Unit 1→Unit6, Unit 7 has the least contents of all great units. Fifth, analysis that teaching materials included in textbooks into number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great units. Unit 5 has most teaching materials but Unit 7 has least teaching materials. Sixt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in korea geography textbook in the seventh curriculum. (1) External outward change reading a textbook to visual textbook. (2) Many good examples and various data which is helpful on understanding of geography study. (3) Easy and intimate title of small unit. (4) Constructed for self-learning. (5) Accessibility on computer. Finally, the problems in korea geography. (1) Geography terms are not standardized among textbooks. (2) The contents to be silenced. (3) Difference in quantity among textbooks and units. (4) Quantity is too much. According to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suggest as next. Firstly, The analyzing frame which will be helpful on organizing content is essentially needed. Secondly, active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teachers who know well the demand and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is needed for building textboo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