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제7차 초등학교 영어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영어교재의 말하기, 듣기 분석

Title
제7차 초등학교 영어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영어교재의 말하기, 듣기 분석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2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듣기, 말하기 활동의 목표에의 부합성과 그 목표에 비춘 말하기·듣기 활동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중학교 교과서 분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초등영어교과서가 국가수준에서 의도하는 목표달성에 유용한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초등영어교과서가 중등영어 교육으로 유효하게 계속되어 계열성을 확보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1.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듣기 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목표에 부합한가? 2.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듣기 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 목표에 적합한가? 3.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말하기 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목표에 부합한가? 4.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말하기 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 목표에 적합한가? 5. 초·중등 영어 교과서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초등 영어 교육을 위해 개발된 초등학교 5, 6학년 1종 영어교과서와 교과서 활동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서는 교과서에 포함된 CD-ROM 타이틀(학생용 각1매씩)과 녹음테이프(1set, 4매씩)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듣기 활동을 크게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부합성, 활동 유형, 반응 유형, 이해 유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말하기 활동은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 연습유형, 창의적인 언어사용, 자극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 활동의 경우,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를 대체로 잘 반영하고 있지만, 주변사람과 사물에 대한 말을 이해하거나 대화를 듣고 상황이나 의도, 목적을 이해한다는 기준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었고, 듣기 활동의 개방성 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 자유반응보다 제한된 반응을 요구하는 활동이 훨씬 많았고 활동의 주체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인 응답을 하도록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듣기 활동이 요구하는 반응 유형은 단순 반복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해 유형에 의한 분석 결과는 듣기 지문으로부터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어내는 직접적 의미 이해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말하기 활동의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재의 말하기 활동이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를 적극 반영하고는 있으나 배운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활동은 극히 적었고, 말하기 활동의 연습 유형으로는 기계적 연습이 가장 많았으며, 말하기 활동의 주체에 대한 분석 결과 역시 개인 활동의 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창의적인 영어 사용에 대한 분석 결과,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자유로운 대화의 기회가 전체 활동 수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말하기를 유도하는 자극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다양한 형태의 자극 유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활동의 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초등교육의 목표가 영어라는 외국어가 주는 생소함을 덜어주고 친밀한 느낌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할 때 교과서에 나타난 듣기 활동과 말하기 활동은 목표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이란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언어지식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볼 때 교육과정에 규정된 소재, 단어의 수, 문장의 길이를 벗어나는 자유응답의 기회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음 제8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듣기 활동의 경우, 균형 잡힌 목표의 사용이 필요하고, 제한된 듣기의 반응보다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는 기회를 더욱 많이 부여해야 하며, 소그룹과 짝 또는 학급 전체가 활동 주체가 되는 경우가 더 많아져야 한다. 또한 단순반복의 형태로 반응하는 활동의 수가 제한되어야 하겠고, 학습자가 듣기 자료에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추론을 통해 이해하는 활동의 수가 더욱 많아져야 할 것이다. 둘째, 말하기 활동의 경우, 배운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활동의 수가 늘어나야 하고, 듣기와 마찬가지로 소그룹과 짝 또는 학급 전체가 활동 주체가 되는 경우가 더 많아져야 하며, 연습유형 또한 닫힌 활동위주가 아닌 열린활동 위주의 구성이 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기계적 연습보다는 유의적 연습을 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학습자가 자유롭게 대화해 나갈 수 있는 정보차활동, 추론, 적용, 분석과 같은 창의적인 활동을 많이 활용하도록 교사 연수차원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교재의 말하기, 듣기 활동을 분석한 것이었으나, 후속 연구에서 3-6학년 교재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가지 활동 전부를 대상으로 하거나 초, 중등 연계 차원에서 연구한다면, 좀더 다양하고 객관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다섯째, 초·중등 영어교재는 초·중등 영어교육이 목표하는 바가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주안점을 갖고 있고, 초·중등 학생들의 발달단계가 다른 점을 감안하여, 좀 더 치밀하게 계획되어야 하고, 직전단계 교과서의 내용이나 체제, 조직, 방법 등을 전혀 모르는 채 상당히 추상적으로 진술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집필 지침에 의존하여 제작되지 않도록 교과서의 집필시기가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English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vailable for achievement of the objective intended by the government and to supply information about whether English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connected to the English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effectively to guarantee linkage between them. For such objectives, whether the achievement standard of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y in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has been used in 2002, corresponds to the objectives and whether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y is suitable for such objectiv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analysis of English text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su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were set. 1. Does listening activity in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correspond to the objective of focu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2. Is listening activity in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uitable for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Curriculum? 3.Does speaking activity in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correspond to the objective focu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4.Is speaking activity in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suitable for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Curriculum? 5.What is the linkage of English textbook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lass 1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at was developed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where appropriate, CD-ROM title(each 1 for student) and tape(1 set including 4 pieces) that are included in textbook to understand textbook activities. Listening activity was analyzed into the aspects of correspondence to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Curriculum, activity type, response type, and understanding type. Speaking activity was analyzed into the aspects of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Curriculum, exercise type, creative use of language, and stimulation typ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 general, listening activity well reflects the objective suggested in the Seventh Curriculum but too much emphasis was placed on the standard that students understand a condition or intention and objective of the listening activity by understanding explanation or listening conversation for a people or a mat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penness of listening activity, activities requiring rather limited reaction than free reaction were much mor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s of activity, personal response was the most. For response types required in listening activity, simple repetition was the mos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ypes of understanding, direct understanding of a meaning that directly derives information from the listening text was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speaking activity, speaking activity in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ctively reflects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Curriculum, but few activities creatively applied the content learnt to a new situation. Among exercise types of speaking activity, mechanical exercise was the most,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s of speaking activity, personal activities were most. As a result of analyzing creative use of English, opportunities of free conversation to enable communication of true meaning were absolutely insufficient compared to number of all the activities, an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stimulation types to induce speaking, activities of mixedly using various stimulation types were found muc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On the premise that the objectives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to relieve unfamiliarity with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o seek familiarity with it, it was shown that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y in English textbook corresponded to such objectives. However, assuming that communication ability means creatively applying one‘s linguistic information to a situation using language, opportunities of free reaction beyond subject matters, number of word(s), and length of sentence prescribed in the Curriculum should be increased. More detaile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s shall be considered in textbook by the Eighth Curriculum; for listening activity, a balanced objective shall be required, more opportunities not to make students respond to listening limitedly but to enable students to freely respond shall be made, and small group/pair/whole class shall be more as the subject of activity. And, activities that make students respond in a type of simple repetition shall be reduced, and students shall more understand matters not directly mentioned in the listening data through inference. Second, for speaking activity, activities of applying the content learnt to a new situation shall be made more, and like listening activity, small group/ pair/whole class shall be more as the subject of activity, and exercise type shall be made up not by focusing on closed activities but on open activities. Third, teachers shall induce students to carry out rather meaningful exercise than mechanical exercise in the school field. To enable students to more do creative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activity, inference, application and analysis to freely participate in conversation, they shall be emphasized in the view of training of teachers. Fourth,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in English textbook for the fifth-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r more various and objective studies, the subsequent studies should analyze all activities includi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in English textbook for the third-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or should analyze the linkage of English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ifth, considering that the objectives of English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is different from that of secondary school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English textbook should be planned more carefully. And, time to write English textbook should be adjusted not to depend on the curriculum or textbook writing guideline which was written out abstractively without considering content or system, structure, and method of the textbook in the just previous st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