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초등학교 수준별 문학 교육 방법 연구 : 6학년 이야기교재 수업을 중심으로

Title
초등학교 수준별 문학 교육 방법 연구 : 6학년 이야기교재 수업을 중심으로
Authors
김승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이 2000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시행된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그 때마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표방하는 목표와 방향이 있기에, 그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요구하게 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 을 표방하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다. 그러므로 새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의 패러다임을 반영한 초등학교 수준별 문학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제6차 문학영역의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간략히 검토하였다. 또한 본고가 제시하는 학습활동 중심의 수준별 문학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 이론 중에서 반응 중심 문학교육 이론을 수용하고, 아울러 구성주의 패러다임으로 접근한 문학교육의 실천적 방법인 통합교육과 전체언어적(총체적 언어) 관점을 수용하였다. III장에서는 수준별 문학교육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문학영역에서의 수준은 자로 긋듯이 분명하게 나눌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고 보고, 수준별 교육은 편성이 아니라 운영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방법을 제안하고, 제7차 문학영역 교육과정에서 부각된 문학의 수용과 창작 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반응 표현 활동을 통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학습활동들은 문학 감상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 반응활동이며, 이와 같은 모든 절차를 바탕으로 문학영역의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기본과정에서는 학습활동의 다양화로 수준별 학습을 실현하며, 심화과정에서는 학습자료와 학습활동을 스스로 선택하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함으로써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 구안한 모형을 바탕으로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 교재 수업의 실제를 보였으며, 평가의 방향도 간략히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은 바로 수행평가의 모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과정 중심의 수행 평가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보았으며, 그동안 소홀했던 정의적 영역의 평가를 제대로 함으로써 평가의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완전한 방법적 연구가 아닐지라도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한 수준별 문학교육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A revised 7th education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gradually from March 1st of the year 2000, which initially shall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um has its own goal and direction, it demands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orrespond to the change.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f level education was designed for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refore, at this time the development of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 are very essential. Based upon "above understanding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ethod of level liter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hich reflects the paradigm of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problems raised in the literature area of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examines 7th education curriculum which constitute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mo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s, by the adoption of response-based literature instruction theory which is conducive to liter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view of whole language which the paradigm of constructivism pursued, the foundation of level literary education this thesis suggests has been prepared. The three chapter develops the procedure and method for level literary education. Because the level in the literature area cannot be divided sharply, level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not by a matter of pooling, but by a matter of operation. This chapter also suggests learning method of focusing on learners activities. The reflec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literature emerged in 7th education curriculum makes it possible to do individual learning through diverse response writing activities. These learning activities are such response ones aiming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appreciation ability. Based upon these procedures, by level teaching - learning model was created. The basic course diversifies learning activities, and the intensive course focuses on level learning by self-centered learning which one chooses learning data and his own learning activities. The fourth chapter shows the practical lessons for six grade in elementary school under the derived model in the chapter three and suggests the way of evaluation in brief. In this chapter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cess-centered looks desirable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balance of evaluation by evaluating fairly appreciative area which was somewhat ignored during past years. Although this study is not such entire methodological one, this would be very helpful in realizing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which takes consideration of each learner s ability and interest, and which 7th education curriculum purs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