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 연구 : 검인정 교과서 15종을 중심으로

Title
고등학교 작문 교과서 연구 : 검인정 교과서 15종을 중심으로
Authors
김현성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작문 교육은 실제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작문 교육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작문 교과서를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작문 교과서의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장에서 학습자의 작문 능력 향상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I장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방법 및 대상을 밝혔다. II장에서는 작문 이론 연구를 하여 작문 교과서의 편찬 기준인 작문 교육 과정의 이론적 근거를 인지주의 작문 이론에서 확보하고 작문 교육 과정과 작문 능력의 특성 및 구성 요소 연구를 통해 교과서 분석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III장에서는 II장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작문 교과서의 내용을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작문의 과정의 각 단계별로 전략들의 수록 양상을 살핀 결과, 작문의 과정별로 전략의 제시가 미흡하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작문 교과서 안에 수록된 언어 지식을 비롯한 작문에 관련된 지식과 작문 교육과의 관련 양상을 분석한 결과, 작문의 과정에 대한 내용보다 작문 관련 지식들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지식을 설명하는 방식이 실제 작문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작문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이라 할 수 있는 작문의 실제 에 대해서는 수록된 글들을 살피고 상황에 맞는 글을 써 볼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다양한 글들에 대해서 개념적 지식의 학습을 하도록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IV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결과 작문 교과서들의 문제점을 작문의 과정별 전략 부족, 지식 학습 방법의 부적절성, 작문의 실제로 제시된 학습 내용의 부적절성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과정 중심으로 각 과정에 따른 전략들을 제시하고 교수 학습 상황을 고려한 교수 학습 모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그 모형에 의해서 정보 전달하는 글과 문학적인 글인 시에 대해, 실제 작문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그 글에 적합한 전략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들고 그 과정안에 따른 학습 내용을 학습지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V장은 결론으로 앞서 작문 교과서들에 대한 분석 결과들을 정리하고 작문 교과서 문제 해결의 방법으로, 작문 관련 지식과 전략에 대한 것을 학습하기 위한 이론서와 작문의 과정별로 전략들을 이용해 구성된 연습서의 편찬을 제안하였다. ; The composition education has to be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writing skill. But, as being conscious of a problem that the composition education is not provided effectively to make progress in students writing skills in present High school, thus I have studied composition textbook so as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is purposed to see through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omposition textbooks, and to find a way to be useful for students to make progress in their writing skills. In chapter I,"Introduction", the neces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bject and a study of analysing methods are described. In chapter II, considering composition theories, the theoretical base of "Compositio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omposition textbook is based on to be compiled, has been derived from the composition theory of "Cognism" and investigating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 and structural elements of writing skills, I have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textbook analysis. In chapter III, I have analysed contents of composition textbooks and get three results from that analysis. Firstly, as investigating the description of strategies in each stage s of "Writing Process", many textbooks ar lacking in the description of strategies in "Writing Process". Secondly, as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ion education and "knowledge about composition" included the linguistic knowledge, described in composition textbooks, it is found that composition textbooks deal with "knowledge about composition" more seriously than "Writing Process" and methods to explain those knowledges are not useful to make progress in practical writing skills. Thirdly, with regards to the practice of composition that are indispensable cont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I have investigated texts described in textbooks and whether studying contents are constructed to learn how to write the composition that describe the situation properl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most textbooks have made the student to study only the conceptual knowledge. In chapter IV, problems of composition textbooks issued in chapterllI, are classified into lack in strategies in each " Writing process", unsuitable methods of knowledge studying and improprieties of contents provided as the practical composition. I have suggested strategies concentrating on "Writing process" and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dapted in "the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s a alternative to solve above problems. As being based on strategies derived from the model in chapter 1V, I have constructed the concrete "Proposal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writings for information-transfer and literary poetry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compose a practical writing, and summarized contents derived from above "proposal" into a "studying paper". In chapter V, "Conclusion", so far analyzed results have been rearranged. As a method to solve several problems of composition textbooks, the theory with which students can learn "knowledge about composition" and strategies for writing, and the compilation of a practice-book based on those strategies, are substantially sugges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