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영-
dc.creator최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3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81-
dc.description.abstract민주주의 3권분립의 국가통치 기능중 법률의 제정기능 입법권이 그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는 국회는 입법권뿐 아니라 국가예산 심의·확정권 동의 재정에 관한 권한과 정부에 대한 감사·조사등 국정을 통제하는 권한을 보유한다. 이러한 국회가 국민의 대표기관으로서 국민을 위한 헌법적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선 독립된 헌법기관인 각 의원 개인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이들 의원의 입법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의원 비서진의 유기적이고 능률적인 지원·보좌업무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즉, 국회가 헌법에 보장된 본래의 권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입법보좌기관의 존재가 필수적이며 그 중에서도 의원 개인의 각종 업무를 보좌하는 의원개인 비서진은 어느 국가에서나 가장 중요한 입법보좌기관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양질의 의원 비서진의 확보는 국회가 그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의원 비서진의 올바른 위상이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이들 중요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해, 나아가 이를 통한 정치 발전의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의 국회의원 비서진의 직무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회의원 비서진의 업무내용과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자질·지식을 파악하며 나아가 이들의 업무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조사하여 국회의원 비서진의 효율적인 인적자원활용과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인 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국회의원 비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회의원 비서진의 현황 부분은 문헌연구를 국회의원 비서진의 직무실태 파악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선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했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15대 국회의원 비서로 의원회관 사무실에 근무하고 있는 보좌관, 비서관, 비서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국회의원 비서진의 직무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인 것을 위해 국회의원 비서진에 대한 선행연구와 세계 주요국의 국회의원 비서제도에 대한 내용을 분석했다. 현재까지의 의원 비서진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이 미국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도 미국의 의회스텝연구를 중심으로, 여기에 미약하지만 한국 국회의원 비서진에 관한 연구를 첨가하여 고찰분석 하였다. 그 다음은 한국 국회의원 비서진의 현황파악으로서 이들의 구성과 신분, 국회의원 비서진의 역할과 충원과정 등을 조사했다. 의원 비서진의 역할로는 정책보좌, 의원홍보, 선거요원, 정치참모, 일반비서의 역할로 나누어 고찰했다. 끝으로 한국 국회의원 비서진의 실증적 직무실태분석으로서 수행업무, 업무 수행을 위한 필요자질·지식, 보다 효율적인 업무보좌를 위한 개선점올 제시했다. 수행업무에 대한 분석은 직접관찰과 여러 번의 면접을 통해 작성된 설문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직급간의 수행업무내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좌관·비서관의 경우 국정감사관련 업무, 의원 의정활동홍보 등의 의정활동과 관련된 업무를 주로 하는 반면 6,7,9급 비서들의 경우 의원의 일정관련 업무, 정보나 자료수집등 일반적인 비서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었다. 업무수행을 위한 자질의 경우 모든 비서진이 정보나 자료에 대한 처리·분석력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여기고 있어,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의원에게 시기적절한 자료의 제공을 감당하는 것이 비서진의 주요한 임무임을 알 수 있었고 업무수행을 위한 지식의 경우 워드나 인터넷 등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가장 우선 순위로 꼽았는데 이는 대부분의 업무수행에 있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능력으로 보다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업무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점 조사결과로는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확대를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할 항목으로 지적했는데 이는 비서진의 재교육에 대한 요구의 반영이다. ; Of the three pillars that constitute a democratic political system, that of the executive, judiciary, and the legislative, it is unquestionable that the main func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the allocation of the national budget and the enactment of new laws. Further, the national assembly not only holds legislative power, but also has the right to set and monitor the national budget and to audit and inspect the state of affairs of a country. As a body representing the people and working for the people, the national assembly must function effectively and properly, and the role of each national assemblyman as an independent constitutional entity is important in this regard. Here, one cannot possibly dismiss the crucial role of each members staff responsible for assisting in the actual legislative work and its organic and efficient support and assistance.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of a staff assisting in the legislative work of each member is pivotal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properly execute its duties based on the rights as originally conferred to it by the constitution. More specifically, it may be said that the personal staff of each national assemblyman assisting in all of their affai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gislative support bodies in any given nation. In this light, the recruitment and management of a competent supporting staff should be given priority so that the national assembly may fully and properly play its designed role. Research on the role and status of the staff is also quite meaningful in that it would promote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 of the important human resources therein as well as for political development.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provid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human resources through an observation of their present condition and an analysis of their work, of the qualifications and skills demanded for the work, and of ways to improve them.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used, I relied on previous written works for a theoretical overview and depic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taffs, and on a survey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ir actual duties and functions. Those surveyed were 4th grade, 5th grade, and secretaries currently working at the national assembly (15th term). The survey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and primary factor using the SPSS. In addition, a T-test was run. Chapter I provides an overall introduction into the study, including its objective, main analysis, and research method used. Chapter II giv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congressional support staffs, reviews previous works done on the subject, and looks into the different congressional systems existing in other nations of the world. Because most of the work on the subject has been carried out in the United States, the review focuses primarily on the United States congressional staff. Here, I have added a study, though not as comprehensive, on South Koreas congressional staff. Chapter III looks into the present state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at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ir constitution, positions, roles, and recruitment procedures. For an analysis of the roles played by the staffs, they were categorized into policy administrators, public relations assistants, election support officers, political advisors, and clerical secretaries. A statistical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u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held by the staff at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of the qualifications and skills called for are presented in Chapter IV in addition to suggesting ways to improve their efficiency. The analysis on the duties by grade is based on surveys constructed from empirical experience and numerous interview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4th grade and 5th grade are mostly responsible for tasks rela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uch as congressional investigation of the executive body and publication on each national assemblymen congressional work. On the other hand, those in grades 6, 7, and 9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clerical work such as the daily secretarial management of the office, and the gathering of information. As for the qualification most called for by those surveyed as necessary was the ability to collect, analyze, and conclude from the deluge of information and to provide each national assemblyman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at each given situation and time. With regard to the skill necessary for the work, versatility with word processing computer programs and the internet was picked a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since most of the tasks entail working with the computer. For qualitative improvement, enhanced specialization through training was pointed out as most impending, reflecting the demand for special training programs by the supporting staffs. As the concluding part, Chapter V summarizes the study, states its limitation, and suggests areas for further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방법 = 2 II. 국회의원 비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 A. 국회의원 비서에 대한 선행연구 = 5 1. 1960년대 이전의 연구 = 6 2. 1960년대 연구 = 6 (1) 사례연구 = 7 (2) 기관연구 = 8 3. 1970년에서 1980년대 중반의 연구 = 9 (1) 개인스텝 연구 = 9 4. 1980년대 중반이후의 연구 = 12 (1) 개인스텝 연구 = 13 (2) 스텝의 영향력 = 15 (3) 선거후보자로서의 스텝 = 16 B. 주요국의 국회의원 비서 현황 = 19 1. 미국 = 19 (1) 비서진의 충원 = 20 (2) 비서진의 업무 = 21 (3) 비서진의 영향력 = 22 2. 일본 = 23 (1) 비서진의 충원 = 23 (2) 비서진의 업무 = 23 3. 영국 = 24 4. 프랑스 = 25 III. 한국 국회의원 비서진의 현황 = 28 A. 국회의원 보좌조직 = 28 1. 국회사무처 = 28 2. 의정연수원 = 28 3. 국회도서관 = 29 4. 개인비서진 = 29 B. 국회의원 비서진의 구성과 신분 = 29 1. 국회의원 비서진의 직위변천 = 29 2. 국회의원 비서진의 법적지위 = 30 C. 한국 국회의원 비서진의 직무 = 31 1. 국회의원 보좌활동의 의의 = 31 (1) 보좌활동의 적극적 의미 = 32 (2) 보좌활동의 소극적 의미 = 32 2. 국회의원 비서진의 역할 = 33 (1) 정책보좌의 역할 = 33 (2) 의원의 홍보역할 = 39 (3) 선거요원의 역할 = 40 (4) 정치참모의 역할 = 41 (5) 일반비서의 역할 = 42 3. 국회의원 비서진의 충원 = 43 IV. 국회의원 비서진의 직무실태 분석 = 45 A. 비서업무 = 45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 = 45 2. 수행업무 = 48 (1) 국회의원 비서진의 수행업무 = 48 (2) 수행업무의 활동별 분류 = 48 (3) 직급별 수행업무 = 53 (4) 직급별 수행업무의 T검정 = 56 (5) 출신구별 수행업무 = 56 3. 업무수행에 필요한 자질 및 지식 = 59 (1) 업무수행에 필요한 자질 = 59 (2) 업무수행에 필요한 자질 분류 = 60 (3)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 62 B. 효율적인 업무보좌를 위한 개선점 = 63 1. 수행업무실태 = 63 2. 효율적인 업무수행의 필요사항 = 64 3. 업무향상을 위한 개선점 = 64 V. 결론 = 66 참고문헌 = 69 부록 = 72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91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국회의원 비서진의 직무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비서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비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