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지식경영시스템 성공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integrated approach

Title
지식경영시스템 성공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integrated approach
Authors
송민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경영대학원 경영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피터 드러커 교수는 하버드 대학 강연에서 다가오는 21세기를 지금의 산업화 시대와는 전혀 다른 급격한 변확와 신기술의 등장, 심화되는 경쟁환경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초경쟁 환경(Hyper - Competition)으로 정의하고 있다. 피터 드러커 교수 뿐만 아니라 많은 지식인들이 향후에는 기업경영에 있어 지식이 무엇보다도 큰 경쟁요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학계와 업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지식경영이다. 사실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은 우리나라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보다도 구미 선진국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미 1990년대 이후 선진국의 많은 학계에서 지식경영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기업들도 이를 기업경영과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왔었다. 우리나라도 IMF 한파 이후 시장 자율화와 외국자본/기술의 도입이 더욱 가속화 됨으로써 지적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및 기업차원의 경쟁력 확보가 매우 시급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식경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많은 기업들이 지식경영 구축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가 지식경영의 이론적모형 구축 관점과 정보기술 측면의 지식관리시스템으로 양분화되어 학문적으로 완벽한 체계를 구축하지 못한 상황이며, 실제 기업에의 적용에 있어서도 우리의 기업 실정과는 차이가 많이 나 지식경영의 구축에 혼선을 빚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합적 관점으로 파악하여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정의하고, 문헌상 지식경영시스템의 성공요인으로 리더십과 전략, 조직과 문화, 프로세스, 정보기술, 성과평가 및 보상의 5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 5개 요인을 성공요인으로 삼은 이유는 지식경영시스템이 조직 전체의 전략과 연계될 필요가 있고, 조직 구성원들의 지식창출 및 공유활동이 자생적이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학습문화가 조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지식경영시스템 활동이 일상적인 업무 프로세스체 내재되어야 할 뿐 아니라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와도 전략적으로 연계될 수 있어야 하며, 지식창출 및 공유과정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요소로서 정보기술을 적절히 활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지식경영 활동을 지속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성과평가 및 보상이 필수적으로 따라야 한다. 이렇게 문헌상으로 도출된 5가지 성공요소에 대해 실제 기업에서 어떤 요인이 가장 중요하며 각 성공 요인간의 상관관계, 각 성공요인의 세부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수 기업의 여러 계층의 지식경영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을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한 결과, 측정항목의 한 요인(리더십과 전략)만이 유의적인 값을 가졌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가 지식경영시스템을 도입했거나 또는 도입을 추진 중에 있는 기업에 대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그 시행 착오을 줄이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함에 있어 설문의 이해를 높일 수 있게 함에 따라 연구결과가 다소 피상적이고, 유연한 사고의 의견 접근이 불가능하며, 설문대상의 제한으로 인해 연구의 한계성이 있으나, 이를 바탕으로 향 후 확대된 지식경영시스템의 심층적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rof. Peter Drucker defines the 21st century as Hyper competition characterized as the advent of radical change and new technology, which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era, and deepened competition environment in his lecture at Harvard University. Many more intellectuals predict that knowledg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ompetition factor of enterprise management bigger than anything else. On the basis of these demands of times, all the academic and business fields have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In fact, it is advanced countries of the West which first started to have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rather than developing countries like Korea. Since the 1990 s, lots of academic fields of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conducted theoretical studies on knowledge management, and also companies have also been groping for a plan to apply it to enterprise management. In Korea, self-control of market and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technology has been accelerated since the IMF crisis, and securing competitive power in the level of country and enterprise based on intellectual ability is appearing as a very urgent task. Accordingly, interest in knowledge management has increased with quite a few of companies establishing knowledge management. However, those studies so far have been divided into knowledge control system in the aspect of building theoretical model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companie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actual situation of our companies. Hereby, this study defines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control system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y grasping them by an integrated approach, and extracted five factors of succes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literature, which are leadership and strategy, organization and culture, process, information technology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and compensation. The reason why this study takes these five factors as the key to success is tha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be linked to the strategy of the whole organization and learning culture should be made to make members of an organization create knowledge and share it on a voluntary basis. Also, it is becaus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ctivity should be included in daily work process, it should be strategically linked to core business project and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properly used as the factor that activates the process of creating knowledge and its share. Also, to maintain this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ccomplishment assessment and compensation for organization members must follow. To examine which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in a company among those five factors written above and also which factor occupies most in correlation of each success point and detailed categories of each success point, I conducted a survey with the subject of workers related to knowledge management in various positions of many companies. As an analysis method, I inspected it through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only factor of a certain category(leadership and strategy) has meaningful value, and other factors turned out not meaningfu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at reducing trial errors by finding actual success factors of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or are introduc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rather surface, and it is possible that this study makes an approach to flexible thinking difficult. In spite of all these limits, I think this study will enable us to have further study on expand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경영대학원 > 경영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