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5 Download: 0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Title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Authors
안상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어떠한가? 2 . 자유선택활동시간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해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알아보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유치원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분려(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2개의 하위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인정기준」중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을 사용하였다. 상호작용의 도구는 5개의 영역, 총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 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사의 경력이 많아질수록 교수-학습능력이나 자신의 교육신념이 상승하여 교사효능감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전체적인 평균은 3.54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각 영역별로는 따뜻한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적인 상호작용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교사효능감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 중 따뜻한 상호작용 에 대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민주적인 상호작용 을 제외하고는 유아를 존중하는 자세와 태도로 상호작용 ,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 반응적인 상호작용 에서 교사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교사가 낮은 집단의 교사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교사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에 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set as follows: 1. What s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2. What s the level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in free play time? 3.What are differenc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8 teachers, who are in the kindergartens of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is study surveyed teachers efficacy belief with questionnaire, and at the same time observance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A measuring instrument of teachers efficacy belief was used, which Boon-ryeo Lee (1998) modified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that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into a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instrument. And, the part of Interactions amo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program」 was used as a "kindergarten teachers-children interactions instru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belief was more than normality, and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high and general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low. Teachers efficacy belie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s experiences. Second, the whole mea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was 3.54. The part of affection Interaction was the most in the fields of the interactions. I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s experiences. Third,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part of affection Interaction among the interaction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The teachers group with high efficacy belief showed more respectful attitudes towards children , interaction supportive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responsive interaction than the teachers group with low efficacy belief.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