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Charles-Marie Widor의 symphonie gothique, Op.70에 관한 연구 분석

Title
Charles-Marie Widor의 symphonie gothique, Op.70에 관한 연구 분석
Authors
김미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the organ symphony of Charles-Marie-Jean-Albert Widor(1844-1937) s. In this thesis, analysis is focused on Symphonie Gothique, Op. 70(1895). Also to be studied his life and influence on 19th century French organ mus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ville-Coll organ, which was a new invention at that time and influenced Widor s music. In the Baroque period, French organ music was at its peak. However, after the French revolution (1785-1794), The fall of the aristocrats and the church, the major support for the organ music and artists was brought down, and so was the era of Great French organ music. In the early 19th century, French organ music was insulated from the Classical and Romantic movements and from the rediscovery of J. S. Bach Which was sweeping the rest of Northern Europe. The technique of the French organists of that time was way behind than that of the German organists. In that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the Cavaille´-Coll organ had reason to create a new era of French organ music. In this period, Widor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musician. He had been an organist for 64 years of St. Sulpice and created the organ symphony as a new genre of organ music for the organ of St. Sulpice. Widor s era can be separated into the three distinct period based on the ten organ symphonies composed by him. Symphonie Gothique was one of the two organ symphonies he composed in the third period of his musical career and represents Widor at his musical peak. Symphonie Gothique consists of 4 movements and use Puer natus est nobis, which is introit of Christmas the third Mass in the Gregorian chant, as its cyclic theme in the Third and Fourth movement.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4 sections and coda. Three theme occur by organic combination of repetition and imitation. The main theme is characterized by its chromaticism, which opens the piece in quietly advancing quavers, forms the basis of almost the entire movement. The second movement is binary form. The main theme, which laid the upper voice of the right hand is accompanied by the inverted 6th chord of left hand. And the upper voice of the pedal has a melodic function, moving in counterpoint with the soprano. The pedal part, which initially serves only as a harmonic basis, later acquires, with the addition of a second voice, an important melodic function also. This is splendid example of the Widor s extraordinary organ orchestration. The third movement is the fugue. The subject of this fugue is in the rhythm of a gigue and with a registration of Cornets et Mixtures. In this movement, the Christmas Introit Puer natus est nobis is used for the first time. The fugue subject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last phrase of this plainsong melody. The fourth movement consists of six variations on the Puer natus est nobis and coda. The final of this movement begins the style of a typical Widor s toccata. and the symphony closes meditatively chorale-like coda in a simple four-part harmonisation. Widor emphasized the scientific and precise performance based on the correct interpretation. He also contributed towards the great effort to reinterprete J. S. Bach in France. Recently there have been frequent efforts to reevaluate Widor and his music. ; 본 논문은 비도르(Charles-Marie-Jean-Albert Widor, 1844-1937)가 작곡한 새로운 오르간 음악 장르인 오르간 심포니(organ symphony)를그의 Symphonie Gothique, Op.70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 함으로서, 비도르의 오르간 음악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작품의 분석에 앞서 19세기 프랑스의 오르간 음악의 부흥과 이를 가능하게 한까바이예 꼴(Aristide Cavaille´ ColI, 1811-1899)이 만든 오르간의 특징에대하여 고찰하였고 비도르의 생애와 그의 음악적 성향과 특징 그리고프랑스 심포닉 오르간 악파(French symphonic organ school)에 미친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바로크 시대에 전성기를 구가하였던 프랑스 오르간 음악은 프랑스혁명(1785-1794)을 거치면서 그들의 중요한 후원세력이었던 왕실과 귀족, 교회의 세력기반의 붕괴와 더불어 점점 쇠퇴하여 갔다. 그 시기의프랑스 오르간 음악계는 고전 낭만음악의 조류와 북유럽에서 활발히진행되었던 바흐(J. S. Bach, 1685-1750)의 재발견 운동에서도 소외되어있었다. 그리고 페달이 발달하지 않은 프랑스 오르간의 구조로 말미암아 프랑스 오르가니스트들은 독일 오르가니스트들에 비하여 페달의 기교에 있어서도 현저히 뒤떨어져 있었다. 이런 상황이 19세기에 초반기까지 계속되는데, 19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까바이예 꼴이 당시의 최첨단 과학기술과 결합된 교향적 음향을 가진, 규모와 기능에 있어서 매우 혁신적인 오르간(symphonic organ)을 제작하게 된다. 이 오르간의제작과 더불어 쇠퇴기에 있었던 프량스에는 심포닉 오르간 악파가 생겨나게 되며, 프랑스 오르간 음악은 새로운 부흥의 시대를 맞게 된다. 그리고 비도르는 이와 같은 프랑스 오르간 음악의 부흥기에 중추적인역할을 하게 된다. 64년간 생 쉴피스 성당(St. Sulpice)의 오르가니스트로 봉직하였던 비도르는 100개의 스탑과 5개의 건반을 가진 까바이예 꼴이 제작한 그곳의 오르간을 염두에 두고 10개의 오르간 심포니를 작곡하였다. 그의오르간 작품에 “오르간 심포니(Organ symphony)”라는 용어를 그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그의 오르간 심포니들은 작곡 시기와 양식에 따라 세그룹으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Symphonie Gothique, Op.70은 세 번째 시기에 속하는 2개의 오르간 심포니들 중에 하나이다. 이 작품은 4개의 악장으로이루어져 있으며, 3악장과 4악장에서는 그레고리안 성가(Gregorianchant)중 성탄절 제 3번 미사의 입당송(Introit)인‘한 아기가 우리를 위하여 나셨네(Puer natus est nobis)’를 주제로 사용하고 있다. 제1악장은코다(coda)를 갖는 4부 형식으로, 반음계와 불협화음의 사용이 특징적이며, 세 개의 주제가 악장 전체에서 오른손, 왼손, 페달성부에서 반복,모방되면서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다성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악장은 2부 형식으로서 왼손의 제2전위된 6도 화음의 반주 위에 오른손의주제 선율이 페달의 주제 선율과 서로 대위법적으로 결합되어 대응하고 있다. 이 때 페달의 선율 진행은 단순한 화성적 진행의 기능뿐만이아니라 주제선율로서 최상성부와 동등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I 이는 비도르가 오르간이라는 독립적인 악기를 여러 개의 악기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와 같이 다루었음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이다. 푸가인 제3악장에서는 처음으로‘한 아기가 우리를 위하여 나셨네’의 선율이 사용되며,이 그레고리안 선율의 마지막 프레이즈로부터 파생된 푸가의 주제는코르네와 프린시팔 계열 믹스츄어(Cornet et Mixtures)의 음색조합을가진, 생동감 있는 6/8박자의 지그리듬으로 되어 있다. 제4악장은‘한아기가 우리를 위하여 나셨네’의 선율을 주제로 한 6개의 변주와 코다로 구성된 악장으로서 다양한 대위법적인 기법과 음색을 사용하고 있으며, 비도르의 전형적인 토카타로 끝을 맺는다. 비도르는 연주에 있어서 과학적이고 정확한 기교와 해석을 강조하였고, 프랑스에서 바흐를재인식하게 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함으로써 당시 프랑스 오르간 음악계의 흐름을 바꾸어 놓은 중요한 음악가이며, 근래에 들어서면서 비도르에 대한 재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