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3 Download: 0

노인 장루보유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와 이행정도

Title
노인 장루보유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와 이행정도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경제의 발전과 함께 생활과 식습관의 서구화 현상으로 대장암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대장암은 50-60대에서 주로 발생하며 점차 호발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장암은 근치 수술에 의한 예후가 좋은 편이므로 조기 발견에 의한 적극적인 근치 수술에 따라 장루 보유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60세 이상 노인이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장루로 인해 신체상의 변화로 생활적응 및 사회심리적 적응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므로 수술 후 변화된 신체 이미지를 수용하고 새로운 배설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광범위한 교육을 포함하는 장루 간호가 필요하다. 장루 간호는 노인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생활양식에 적응하여 사회와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목적이 있다. 장루 보유자의 4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자가 간호교육과 추후 관리가 필요하므로 신체적, 사회심리적으로 다른 조건에서 생활하고 변화된 배변관리에 적응해야 하는 노인 장루보유자들의 특성에 맞는 간호중재와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장루보유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와 자가간호 이행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S종합병원에서 장루 수술을 받고 서울 및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 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2001년 4월 20일부터 5월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장루 보유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애경(198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했으며,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이지숙(1990)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가간호 지식정도에 대한 한애경(1988)의 연구에서 Cronbach s α값은 .79를 나타내었고 본 연구에서는 .60을 나타내었다. 자가간호 이행정도에 대한 이지숙(1990)의 연구에서는 Cronbach s α값 .71을 나타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 s α값 .99를 나타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장루 관련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범위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장루 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 이행과의 관계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자가간호 지식정도와 자가간호 이행정도의 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는 평균 10.10으로 낮은 수준의 지식정도를 나타내었다. 2. 대상자의 자가간호 이행정도는 평균 53.12, 평균 평점 3.54로 ‘하는 편이다 에 가까운 이행정도를 나타내었다. 3. 대상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자가간호 이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 .58, p< .05)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가간호 지식정도와의 관계에서 70대보다 60대의 지식정도가 높으며(t=3.15, p< .05), 여자보다 남자가(t=2.53, p< .05),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자가간호 지식정도가 높았다(t=2.64, p< .05). 고학력자 일수록(F=6.88, p< .05), 경제수준이 높을수록(t=2.21, p< .05) 지식정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가간호 이행정도와의 관계에서 학력이 높을수록(F=4.51, p< .05), 경제수준이 높을수록(t=3.31, p< .05) 자가간호 이행을 잘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6. 대상자의 장루 관련 특성과 자가간호 지식정도와의 관계는 장루 제품 구입시 고려사항(F=3.56, p< .05) 특히, 가격 우선의 제품을 구입하는 대상자의 자가간호 지식이 가장 높았고 전혀 고려하지 않고 구입하는 대상자의 지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장루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 이행정도에서는 장루 관련된 정보 제공자(F=6.44, p< .05)와 장루 주위의 합병증 경험(t=2.23, p< .05)에 따라 자가간호 이행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즉, 간호사에게 정보를 받는 대상자가 자가간호 이행을 더 잘하였고, 합병증이 없었던 대상자가 자가간호 이행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노인 장루보유자의 장루 관리와 일상생활의 적응을 위해 지속적인 정보제공과 추후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 장루보유자의 특성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장루 관리에 대한 이해력과 경제 수준이 낮고 가족과 사회의 지지체계가 부족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장루 관리 교육을 통해 노인 장루보유자의 자가간호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knowledge and self care practice in the aged with colostom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to May 15, 2001 by means of structured survey through telephone interview.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aged, who had had surgery at S general hospital and were living in Seoul and other part of the country, consists of two phases. The first phase was focused on gaining approval from the subjects and the second phase was focused on the actual questionnaire survey of subjects, who gave permission to the survey in the first phase. In this study, two research tools were utilized. Han`s research questionnaire(1988)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care knowledge and Lee`s research questionnaire(1990)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 care practice. Before using these research tools, they were modified to su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nowledge of self-care and self-care practic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colostomy, were measured by applying t-test, ANOVA and the Scheffe was used to do post hoc test of th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re knowledge and the self-care practice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of subjects knowledge level about self-care was 10.10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s on their self-care knowledge was 50.5%. It reveals that the subjects have mean level of knowledge of self-care. 2. The average level of self-care practice was 53.12 and the mean score of each question was 3.54, which means they have tendency to do self- care practice. 3. It can be found that the subjects with higher knowledge level usually conduct more self-care practices(r = .58, p < .05). 4. The subjects in their sixties have more knowledge about self-care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seventies. (t=3.15, p< .05), women have more knowledge than men (t=2.53, p< .05), and married people have more knowledge about self-care than single people (t=2.64, p< .05). The subjects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have more knowledge than those who with lower educational level(F=6.88, p< .05). Also the subjects in higher economic status have more knowledge than those were in lower economic status(t=2.21, p< .05). 5.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ractice level, it can be judged that the people who were more highly educated (F=4.51, p< .05) and the subjects who are in higher economic state (t=3.31, p< .05) conduct more proper self-care practices. 6.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colostomy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level of self-care,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who purchase the product with priority on higher price had more self-care knowledge than those who did not take price into consideration before making a purchase decision (F=3.56, p< .05). Especially, those who prioritize higher priced products had the highest knowledge among subjects. And those who did not consider anything scored the lowest knowledge. 7.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colostomy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practice level of self-care, there was differences in level of self care practice based on information provider(F=6.44, p< .05) and experiences of skin complication around the colostomy(t=2.23, p< .05). In other wards, the subjects who got the colostomy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nurse did the better self care practices than the others and the subjects who had no skin complication around the colostomy did the better self care practices than the 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