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영주-
dc.creator서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07-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plores the poetics of identity in Emily Dickinson s poetry.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e era when the male-centered idea of defining women as housewives took hold of the American society. As a result, the idea intensified the male dominant literary tradition which was already viewing "woman" and "poet" as mutually exclusive terms. Therefore, the quest to find words to define herself as a woman poet was an inevitable and foremost task that Dickinson faced. This study demonstrates Dickinson s pursuit of her identity as a woman poet through three processes: deconstructing the conventional idea of women, reconstructing the ideal identity of a woman poet as the non-patriarchal one, and decentralizing this ideal for its aspect of "totalization." Chapter II analyzes how Dickinson denies and deconstructs the conventional views that recognized "woman" as the equivalent of "wife." This work becomes the prerequisite task that provided the suitable ground for the poet to reconstruct the autonomic identity of a woman poet. Chapter III examines Dickinson s ideal woman poet, followed by the problematic aspects in setting up an ideal. Dickinson represents the ideal self of a woman poet by means of symbols such as "Queen" or circular imagery. This absolute self is an autonomic and non-patriarchal self who rejects the feminine identity that the patriarchal culture imposes on women. However, embodying the ideal shows its limits in two ways. Firstly, Dickinson realizes that the word to explicate the ideal is insufficient in her language. This problem is revealed when the poet has to return to the patriarchal concept in order to express the non-patriarchal one. Secondly, the poet perceives the aspect of "totalization" in embodying the ideal self. "Totalization" is reducing the other to one s sphere of ideas through the centripetal forces. Thus the meaning of being an other comes down to one s interpretation of the other, and this interpretation consists in the working of one s own mind quite apart from what or whether the other may be . Such tautology of self is an egoistic self. When Dickinson discerns such centripetal phenomenon of the ideal, she concludes that the imagined ideal self is in fact not ideal. Therefore the poet resigns the pursuit and tries searching her identity by another way. In order to show how Dickinson overcomes the problems, chapter IV is an analysis of her pursuit for the decentralized self. The awareness of centripetal forces in pursuing the ideal leads the poet to decentralize the self and place it on "circumference," or border. "Circumference" is the boundary between the patriarchal symbolic world and the pre-Oedipal semiotic. In semiotic, significance of the language is not yet produc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male, other/subject, etc. are not yet split. Therefore semiotic consists of potentiality of the words that will enable a woman poet to create and express her non-patriarchal and decentralized identity. "Circumference" is the foremost front Dickinson can go in order to approach and search this potentiality for one is not able to return to one s pre-Oedipal period. As Dickinson poetizes her circumferential position, her poetry turns out to be an open text that is charged with potentiality. Therefore, for Dickinson, poetry is a "possibility" which meaning is always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Moreover, woman poet becomes the one who explores her circumferential identity by embodying the potentiality of semiotic through poetry. ; 본 논문에서는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 1830-1886)의 작품을 통해 작가가 여성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일련의 과정을 고찰한다. 디킨슨의 정체성 모색은 세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로, 작가는 여성과 아내를 등가적인 것으로 보는 관습적인 여성관을 해체함으로써, 여성 시인의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두 번째 단계로, 작가는 이상적인 여성 시인상을 여러 가지 상징물로 표상한 다음 그것을 지향하게 된다. 이 때 표상된 여성 시인상은 그것이 탈가부장적이라는 점과 통합적 자아라는 점에서 이상적 자아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 정체성 모색은 다음의 두 가지 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낸다. 먼저 현존하는 언어에 탈가부장성을 표현해줄 적절한 말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어떤 이상을 상정하고 그것을 지향하는 사유 방식은 자기중심적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디킨슨은 정체성 모색의 마지막 단계에서 탈중심적인 정체성을 추구하게 된다. II장에서는 디킨슨이 "아내"로 대변되는 관습적인 여성관을 해체하고 있는 양상을 살핀다. 그에 대한 디킨슨의 반응과 태도를 서한과 작품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먼저 작가는 아내로서의 책무를 받아들이는 삶을 통해서 여성으로서의 자아 정체성을 얻도록 하는 가부장적인 관습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디킨슨은 이와 같은 아내로서의 삶이란 기실은 남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해야 하는 것으로서, 자아의 상실을 초래하는 것임을 통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습적인 여성의 삶은 주체적인 정체성을 추구하고 있는 작가가 극복해야 할 우선적인 과제가 된다. 이처럼 여성과 등가적인 개념으로 인식되던 아내의 이미지를 해체하는 일은 여성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III장에서는 작가가 이상적인 여성 시인상을 권력자나 중심지향적 원형으로 표상화하고 있는 양상을 살펴 본다. 이러한 작품들에 등장하는 이상적 여성들은 여성에 관한 관습적인 통념을 정면으로 거부하고, 자신을 "여왕" 혹은 "여제"로서 정의하는 강한 자의식을 지닌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은 과거의 인습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선택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여인상과 구별되는 탈가부장적 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의 추구는 다음의 두 가지 면에 있어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첫째로 탈가부장성을 표현할만한 적절한 언어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이는 탈가부장적인 이상적 여성을 표현하기 위해 작가가 가부장적인 언어를 다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드러나고 있다. 작가가 구현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주체가 가부장적인 틀 내에 다시 복속된다는 내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이상의 추구는 에머슨이 주창한 것과 같은 자기동일적인 사유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자기동일화의 성향이란 중심자가 주변화되어 있는 타자를 중심으로 환원시키는 사유 방식이다. 그러므로 이에 따라 형성되는 자아란 자기중심적인 것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유 방식을 통해 이상적인 여성 시인을 표상화하고 있는 작가는 그 추구하는 방식 자체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상적 자아라는 환영을 버리게 되는 것이다. IV장에서는 디킨슨의 정체성이 탈중심적인 정체성 모색으로 발전하게 되는 양상을 고찰한다. 디킨슨은 "경계" 혹은 "원주"(circumference)를 자신의 실존적 위치로 인식하고 그 위치를 탐색하기 시작한다. "경계"는 가부장적 체계에 의해 만들어진 실재 세계와 아직 여기로 환원되지 않은 가능성의 세계 사이의 공간이다. 실재 세계의 반대편에 있는 "경계" 너머의 공간은 아직 여/남, 주변자/중심자 간의 분리와 차이가 형성되지 않은 의미생성 이전의 공간이다. 그러므로 "경계"는 탈중심적인 정체성을 지향하려는 작가가 도달할 수 있는 최전방이며, 동시에 탈가부장적인 정체성의 가능성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경계"는 창조적이고 열린 공간으로서, 탈가부장성의 언어와 탈중심적인 여성 시인으로서의 정체성 구현을 실현할 수 있는 개혁적인 가능성의 장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구현하고자 하는 디킨슨에게 시는 완성태가 아니라 생성 중에 있는 가능태로 재규정되며, 시인이란 경계 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탐색하는 자가 된다. 그리고 시 쓰기는 개혁의 가능성을 언어로 표출하고자 하는 실천적인 작업이 되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 론 = 1 II. 관습적 여성관의 해체 = 7 III. 중심지향적인 이상적 정체성 추구와 그 한계 = 22 IV. 탈중심적인 정체성 추구와 경계 위의 시학 = 47 V. 결 론 = 63 Appendix = 65 참고 문헌 = 68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5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에밀리 디킨슨의 시에 나타난 정체성의 시학-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