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공동체주의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 '공동체'와 '자아' 개념을 중심으로

Title
공동체주의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 '공동체'와 '자아' 개념을 중심으로
Authors
이준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공동체주의와 여성주의는 자아란 각자가 처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는 자아에 관한 구성적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적 자아관이 갖는 몰맥락성의 문제를 비판하면서 자아가 공동체적 관계 및 질서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으로 이어져왔다. 자아의 구성적 측면에 대한 강조에 있어서 여성주의는 느슨하게는 공동체주의로 불려지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런 맥락에서 과연 공동체주의가 여성주의와 동일하게 취급될 수있는가에 대한 이론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과연 공동체주의에서 강조하는 공동체와 공동체적 관계에 대한 사회맥락적인 측면이 여성주의가 바라는 공동체 및 공동체적 관계와 일치하는가가 명확하게 규명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공동체를 살펴보기에 앞서 기존 공동체주의에 대한 논의와 이에 대한 여성주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내용상 크게 세부분, 즉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특징과 공동체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인 분석, 이를 토대로 한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의 구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 논문의 초점은 바로 공동체주의와 여성주의가 과연 동일한 방식으로 인간에 대한 사회맥락성을 강조하고 있는가에 있기에 공동체와 자아 개념에 논의의 중심이 실어져 있다. 기존의 공동체주의는 인간 사회의 갈등을 제거하거나 다양한 가치 및 선들간의 충돌, 경합의 측면을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공동체란 공동의 선, 단일한 가치를 통해 구성되고 유지된다는 주장으로 나아간다. 이는 동질성의 공동체로 개념화될 수 있다. 더욱이 공동체주의는 동질성의 공동체를 통해 인간의 자아를 설명하고자 시도하는데, 국가, 이웃, 가족, 민족 등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자아가 구성된다고 주장하면서 공동의 역사성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관계에 주목한다. 이러한 공동체주의의 공동체의 개념과 자아관에 대해 여성주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시도해볼 수 있다. 우선 공동체주의에서 말하는 동질성의 공동체 개념은 무엇을 공동의 선으로 부상시킬 것인가 하는 점과 우리가 실제로 몸담고 경험하는 공동체가 과연 동일한 가치 및 선으로 설명 가능한 것인가 라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 질문을 통해 공동체주의는 전체주의적 위험 사회적 불평등의 묵인 및 재생산, 사회 변화에 무감각한 보수주의적 성향, 기존의 권력관계를 분석해내지 못하는 사실이 드러난다. 특히 우리의 자아가 가족, 이웃, 국가, 민족 등을 통해 동일하고 균등한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하는 공동체주의의 자아관은 성, 출산 등과 관련된 여성의 경험을 담아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종적이고 계급적인 요소에 의해 다양하게 자아가 구성되고 굴절될 수 있는 부분들을 간과하게 한다. 더 나아가 공동체내 성원들이 공유하는 공동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방인을 비롯한 공동체내 비성원에 대한 부적절한 취급을 초래한다. 이는 또한 어떤 기준을 통해 멤버/이방인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한 분석을 요구한다. 한편 여성주의내 공동체와 관련된 논의는 지금까지 여성들이 경험해 온 가부장적 공동체에 대한 비판을 드러내고 분석해내고자 하는 작업과 이를 토대로 여성들의 구체적인 경험이 억압적 성역할로 드러나지 않는 대안적인 공동체로의 창조와 연관되어져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에서 공동체는 단일한 가치나 공동의 선에 대한 강조로 나아가지 않고 다양한 가치와 선들간의 갈등과 공존의 장(場)으로 표출된다. 본 논문에서 여성주의적 공동체는 이질성의 공동체, 과정으로서의 공동체로 개념화된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는 각 개인간의 차이 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긴밀한 상관성을 지닌다. 이 차이에 대한 통찰은 여성주의자들의 자아 개념을 통해서 보다 잘 드러난다. 여기에서 자아는 타자와 연결되지만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고, 자아와 타자는 서로 겹쳐지기도 하고 걸쳐지기도 하는 경계점에 서 있을 수 있으며, 자아는 타자의 세계, 자신과의 다른 이해를 거부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유희하면서 넘나들 수 있다. 또한 동화되지 않는 타자를 향한 포용력은 여성주의적 자아 개념을 통해 설명가능하다. 결국 여성주의적 자아관은 자아와 타자간의 차이 다름을 인정하고 포용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주의의 자아관과 구분될 수 있다. 자아를 타자와 융합시키지 않는 방식을 통해 여성주의적 자아관은 공동체주의 자아관이 갖는 폭력성을 벗어나게 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여성주의적 자아관과 공동체주의적 자아관은 서로 다른 차원의 사회적 자아론, 구성적 자아론으로 취급되어져야만 한다.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는 공동체주의가 포괄하지 못한 관계의 차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 새로운 정치학의 지평을 열었다. 이는 멤버/이방인, 자아/타자간의 이원화된 분리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롭게 구성되는 자아개념으로의 전환, 배제의 정치학에서 포함의 정치학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동체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들은 여성주의적 자아개념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공동체 논의가 갖는 전체주의적 위험과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oncep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self in traditional communitarianism and to construct the concep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self in feminist communitarian debat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arianism, the feminist criticism on communitarianism , and the construction of feminist communitarian theory. The following are results from this study. Communitarianism challenge liberalism normatively and methodologically. The normative challenge against liberalism can explain the conception of community in communitarianism. The methodological challenge reveals the conception of self in communitarianism. First, the view of the community in communitarianism implies that it is the danger of totalism which accentuates the common goods , common understanding , it overlooks the existence of suppression and domination in a complex society, it ignores the social structual contradiction such as women s suppression and racist distinction. The view of the community in communitarianism is thus conceptualized as community on homogenity . Next, the communitarian self cannot be equally treated with the feminist self. Although the communitarian self overcomes the conceptual limits of the liberal self, but it reproduces the self/others, member/outsider dualism. That is to say, the communitarian self accentuates only the other s desire and understanding, and the self s obligation to the other. In this conception, the women s self is connected to virtues such as self- sacrifice, altruism , and vulnerability . And the communitarian self conception ignores the variable social factors affecting self composition such as sexuality, race, gender relation, class, and so on. In the communitarian self conception, the self is only constituted through traditional ways such as family, state, nation, and neighborhood. Morever, it excludes outsider clearly. With a feminist analysis on connunitarianism, this study tries to constuct a feminist communitarian theoy. The feminist community conception is related importantly to the following question: "How do we deal with differences or hetergenity in our communities?" Therefore, community in feminism is conceptualized as "community on heterogenity" , "community as a process" acknowledging the variable understanding and values between members. It implies also that the community is the place of complex troubles between differential understanding. The matter on how to resolve heterogenital troubles can be approached through the feminist self conception i.e. "the boundary self". This boundary self conception implies that the self is connected and seperated at once, through playful travel to the other s world, so that the self is the borderdweller between the self s world and the other s world. In this self conception, women s self is no more connected to virtues such as self-sacrifice , altruism , and vulneralbility . Now the self can be understood positively. The self is no more sacrificed for the other s voic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lf s desires and the other s desires are the explorable world. Also we can learn how to embrass unassimiliated otherness from this self conception. Therefore the differences and heterogenity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n a community is a process of overcoming boundaries. And the feminist communitarian self dismisses such dualism as self/other, insider/outsider, and us/them. Lastly, the feminist communitarian self conception provides an emancipatory model for us to negotiate our existence in the complex web of human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