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정신지체아동의 기억에 관한 연구 : 정보의 조직화 유형, 자극 유형, 상위 범주 명칭 친숙성을 중심으로

Title
정신지체아동의 기억에 관한 연구 : 정보의 조직화 유형, 자극 유형, 상위 범주 명칭 친숙성을 중심으로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의 기억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제변인으로서 정보의 조직화 유형과 자극유형 그리고 상위범주 명칭 친숙성의 효과를 검토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이 정신지체아동의 기억을 다루는데 있어서 결함을 찾아내어 개선하려는데 중점을 두어 왔으나 최근의 연구 경향들은 정신지체인의 강점을 찾아내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생활연령의 범위가 다양한 정신연령 4세에서 5세사이의 정신지체아동 50명이었으며 실험은 조용한 방에서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정보의 조직화 유형에 따른 기억수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1>에서는 집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실험집단에는 도식적 조직화 제시 집단, 상위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 사태중심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 등위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을 포함하였다. 통제집단에게는 관련없는 낱말을 묶어서 제시하였다. 집단의 검사는 단서 회상 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집단의 대상 아동수는 10명으로 하였다. 범주 유형, 자극 유형, 상위범주 명칭 친숙성에 따른 기억수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2>에서는 4개의 실험집단을 포함하였다. 실험집단은 사태중심범주 언어-그림 제시 집단, 사태중심 범주 언어 제시 집단, 등위범주 언어-그림 제시 집단, 등위범주 언어 제시 집단으로 나누어서 단서 회상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대상 아동수는 10명으로 하였다. 범주 유형에 따른 기억수행을 보기 위하여 도식적 조직화 형태인 사태중심 범주 유형과 분류학적 조직화 형태인 등위범주 유형을 비교하였다. 자극 유형에 따른 기억수행을 보기 위하여 언어-그림 자극 제시와 언어 자극 제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상위범주 명칭 친숙성에 따른 기억수행을 보기 위하여 친숙성 상위범주와 비친숙성 상위범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다. 모든 실험의 결과는 회상 항목수를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학적 조직화 유형과 도식적 조직화 유형에 따라서 기억수행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회상수준은 도식적 조직화 제시 집단, 사태중심범주 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 상위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 등위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 관련없는 항목 제시 집단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통계 분석 결과 도식적 조직화 제시 집단과 사태중심범주 조직화 제시 집단은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집단과 나머지 세 집단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식적 조직화 형태인 도식적 조직화와 사태중심범주 조직화를 제시한 집단과 분류학적 조직화 형태인 상위범주 조직화와 등위범주 조직화 제시를 제시한 집단간에 기억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범주 유형에 따른 비교에서 도식적 조직화 형태인 사태중심범주 조직화를 제시한 집단과 분류학적 조직화 형태인 등위범주 조직화를 제시한 집단간에 기억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든 검증결과 분류학적 조직화에서 보다 도식적 조직화에서 유의하게 기억수행이 높았다. 둘째, 자극 유형에 따라서 기억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극 유형을 언어-그림으로 제시하였을 때와 언어로만 제시하였을 때 두조건에서 기억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태중심범주 언어-그림 제시 집단과 사태중심범주 언어 제시 집단간에 자극 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등위범주 언어-그림 제시 집단과 등위범주언어 제시 집단간에 자극 유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상위범주 명칭 친숙성에 따라서 기억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친숙성 상위범주로 구성된 항목과 비친숙성 상위범주로 구성된 항목으로 실험한 결과 상위범주 명칭 친숙성은 기억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정보를 조직화하여 제시하는 것이 기억을 증가시켰지만 조직화의 방법에 따라서 기억수행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분류학적 조직화와 도식적 조직화를 비교하여 본 결과 도식적 조직화에서 기억수행이 높게 나왔으므로 이에 대한 활용을 시사하여 준다. 또한 상위범주 명칭 친숙성이 기억에서 분류학적 조직화 형태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는 것은 상위범주에 대한 지식이 기억에서 분류학적 조직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지는 못하였다는 것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교육적 적용에 고려를 제안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 type, stimulus type and superordinate label familiarity on the memo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ifty subjec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ith mental age 4 to 5 years old and in varying chronological age were studied. Seven lists of 7 to 8 noun pairs were introduced. In verbal stimulus type, the experimenter read aloud and repeated the nouns twice. The subjects were given verbal descriptive cue to sound out the other noun. In verbal-visual stimulus type, the experimenter read aloud and repeated the nouns twice along with pictorial representation of each of the nouns and the subjects were given verbal descriptive cue to sound out the other nou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individual child. One-way ANOVA, two-way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were used for analyses of the data and their interpreta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axonomic organization type and schematic organization type. The scores of cued recall in schematic organization typ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axonomic organization typ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scores of cued recall of verbal stimylus type and verbal-visual stimulus type.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scores of cued recall of superordinate label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Superordinate label familiarity had no effect on the mem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