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Title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Authors
이혜승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수렵채취 생활에서 농경 사회에 이르기까지 토기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양식을 운반하고 저장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토기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그 시대의 생활상과 지역성을 반영하듯 형태의 다양성과 장식성을 가지고 만들어 졌다. 불이 발견되기 이전의 원시적인 토기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에 이르기까지 토기의 발전과정은 인간의 생활과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고대인들의 토기에 대한 의미는 용기(容器)에 무엇을 담는다는 의미 외에도 미적 욕구와 함께 조형행위(造型行爲)가 이루어졌음을 토기의 장식행위(裝飾行爲)에서 볼 수 있다. 토기에 선을 긋고, 붙이고, 구멍을 뚫는 장식적 효과에서 우리는 고대인들의 조형의식을 알 수가 있다. 전통 예술의 조형적 측면을 살려 우리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의식을 이끌어내고 다른 문화와 구별되는 아름다운 한국의 미를 이어나가 창조활동에 바탕을 이룰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고 흙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도자예술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대변천에 따른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형태와 문양,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토기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미적 요소를 상징적인 개념의 예술로서의 본질로 이해함으로서 작품제작에 있어 조형적 특성을 유추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현대도자 조형에 응용하여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하고자하며 이러한 조형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옛것에 대한 형태의 모방이 아닌 한 시대의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생명력이 느껴지는 조형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런 조형의식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그 모습은 다르지만 현대에 와서 전통도자와는 달리 실용적인 개념보다는 작가의 감성적인 내면의 세계를 표현한 조형물로써 의미를 두고 발전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선사시대의 즐문토기부터 삼국시대의 여러 특징적인 형태들의 토기에 이르기까지 조형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외 발표된 학술논문과 전문서적, 고분 발굴 보고서 등 일반적 자료를 통해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작품 제작의 기초로 삼았다. 작품 제작 과정에 있어서 역사성, 시간성이 작품에서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기의 표면 질감 표현과 형태에 자연이라는 소재를 접목시켜 표현하였으며 제작 방법으로는 표현의 자유로움을 더하기 위해 다양한 성형 형식으로 물레 성형, 코일링, 판성형, 가압성형 등을 이용하였다. 태토는 토기의 표면 질감의 특성을 살려 성형 제작에 용이한 샤모트가 첨가된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유약은 토기의 질감의 표정들을 다양하게 표현하기 위해 흑유. 활석유, 망간유, 활석철유, 동유, 철매트, 백운석유 등을 사용하였으며 시유 방법으로는 분무시유와 담금시유로 섬세함과 자연스러움을 강조하고 산화염 소성 하였다. 1차 소성은 0.5㎥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850℃로 7시간 동안 하였고, 2차 소성은 0.5㎥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1260℃로 9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다. 본 연구는 토기가 가지고 있는 순박하고 아름다운 측면을 자연 미(美)와 더불어 조형적 특성을 재발견하고 형태와 문양의 조형적 측면을 연구함에 있어 점토라는 표현 매체를 통해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감성적 성향을 일깨움과 동시에 전통에 대한 소중한 추억의 아름다움을 현대적 미(美)로 창출하고자 하였다. 점점 서구화되어지는 현대 사회에서 잊혀지기 쉬운 아름다운 우리 전통 예술이 보다 친근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로 인식되어 앞으로의 조형예술에 있어 적절한 소재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 The earthenware in ceramics was used as a means to transport and store food in the course of the human evolution, which moved from hunting to cultivating the land. Therefore, it is true to state that earthenware ceramics reflect the life pattern of a region and its era. Throughout history, the earthenware has been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mostly as utilitarian ware and sometimes as decorative ornaments. The earthenware has contributed largely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its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examine its evolution from the prehistoric times to Unified Silla Period. Ancient human beings used the earthenware for many purposes. Evidently for functional purposes and sometimes for decorative purposes translating different creative images into clay.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aesthetical mentality by examining their drawings and the decorations attached onto the clay forms. Even today, these qualities are embedded in our minds. Inevitably, they are our tradition and somewhere in our contemporary works, there exists a reminiscence of the past. In this study, the form, function and pattern of different earthenware have been examined throughout its development. The combed earthenware of the prehistoric era to the ornamental earthenware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has been closely observed.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esthetical symbolism of the ancient earthenware. The analysis from this study has later been used to appreciate contemporary work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incorporated in a personal interpretation of a certain type of modern earthenware. In the clay work, the study has concentrated on interpreting the ancient patterns and shapes of the earthenware. Most of the work has been made using the coiling, wheel-throwing, slab-building and press-molding techniques. A considerable amount of chamotte has been added to the clay body to obtain the coarse texture. A black glaze, talc glaze, manganese glaze, talc-iron glaze, copper glaze, and an iron-matt glaze have been used. Some of the glazing was done by dipping and some, by sponging. The first firing was for 7 hours in a 0.5m gas kiln. This reached a temperature of 850℃. The second firing was conducted in the same kiln and it was fired in an oxidation firing to 1260℃. Through this study, one has discovered the modest and subtle aesthetical appeal of the ancient earthenware. With this knowledge, the clay work was created to harmonize tradition with a contemporary taste. Considerable amount of experiment was done with the surface pattern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what it traditionally ours. Today, this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as our cultures are continually crossing. Nevertheless, we have to preserve our own aesthetical appreciation of art in order to understand oursel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