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호스피스센터에서 암으로 사별한 가족의 애도와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호스피스센터에서 암으로 사별한 가족의 애도와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삶에서의 죽음이란 피할 수 없는 문제이며 항상 우리 생활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가족구성원의 죽음은 스트레스가 큰 생활사건이고 가족들이 당면하는 위기이다. 호스피스에서는 환자와 가족을 하나의 돌봄의 단위로 보아 슬픔을 당하고 있는 가족들을 잘 도와주고 위로함으로써 가족의 성장과 성숙을 돕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보면 주로 환자와 사별한 개인,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호스피스 프로그램 개발이나 운영실태에 대한 연구가 많고 사별가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별가족의 애도와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를 하여 사별가족지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자료수집은 3월22일부터 4월27일까지였으며 서울시내 소재의 c대학 부속병원 호스피스센터에서 암으로 가족을 사별한 대상자에게 동의를 구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보내어 응답한 111가족 이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10.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단순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별가족의 애도(슬픔경험)은 전체 평균 2.81로 보통 수준의 슬픔을 느끼고 있었으며 애도(슬픔경험)중 존재론적 관심사가 가장 높았으며 응답가족의 주요 특성과 애도(슬픔경험)과의 관계는 뚜렷한 관계가 없었다. 2. 사별가족의 대처는 전체 평균 3.19로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이상의 대처를 하고 있으며 외적 대처를 내적 대처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응답가족의 주요 특성과 내적 대처와는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다. 그러나 응답가족의 주요 특성과 외적 대처는 고인사별 후 경과 기간과 고인가족 친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고인사별 후 경과 기간이 길고 고인과 가족 간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외적대처를 사용하는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3. 응답가족의 애도(슬픔경험)와 내적 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나 전반적인 사별가족의 슬픔 경험, 존재론적 관심사, 우울감은 내적 대처와 부적 상관의 경향을 보여 내적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사별가족의 전체 슬픔, 존재론적 관심사. 우울감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답가족의 슬픔정도와 외적 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외적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사별가족의 전체슬픔, 신체적 고통, 긴장감과 죄의식, 우울감은 유의미하게 상당량이 감소하고 존재론적 관심사도 약간이지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사별가족의 일반적인 특성, 사별기간의 특성, 대처양상이 애도(슬픔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고인의 사망당시 나이가 많을수록 외적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슬픔경험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사별가족의 슬픔을 감소하기 위해 외적 대처 전략인 정보 추구, 상호부조 집단, 지역사회와의 연계증가, 사회지지체계 및 영적 지지체계추구 등과 같은 대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사별가족 자조집단이나 추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활용 가능한 지역사회 지지자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호스피스와 사별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We cannot escape from death in our lives. Death is happening every moment in our lives. A death of a family member causes a lot of stress to the rest of the family, being one of the biggest events in the family history and a crisis the family should face. One of the purposes of a hospice is to regard a patient and his or her family as a unit to take care of and provide the greatest help and comfort to the grieving family, thus being of service to the family s growth and maturity.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n individual who parted with a patient, consciousness of death, development of hospice programs, and operational status of such programs. Thus the studies on the bereaved family were lacking.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ourning and coping patterns of a bereaved famil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support the bereaved family. The data collection lasted from March 22 to April 27.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ose families who lost their family member due to cancer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the hospice centers in Seoul. Total 111 famili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by suing SPSS PC+10.0 and the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ereaved families experience of grief belonged to the medium level, being 2.81 in overall average. Among the experiences of grief, the concern of one s being was the biggest.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families and their experiences of grief had no distinct relations. 2. The coping of the bereaved families also belonged to the medium level or higher, being 3.19 in overall average. They used more external coping than internal coping. There were found no significant results that connected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families and the internal coping. Bu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families and the external coping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eriod after the death of a family member and the intimacy of a bereaved family. That is, the longer time passed after a family member died and the closer intimacy was shared among the family, the more external coping was adopted. 3. There were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grief of a bereaved family and the internal coping. But the general experience of grief of a bereaved family, the concern for one s being, and depression tended to be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al coping. That is, the more internal coping a bereaved family took, the less grief, concern for one s being and depression was observed. The grief of the respondent families and the external cop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That is, the more external coping was exercised, the considerably less grief, physical pain, tension and guilt, and depression a bereaved family experienced. And the concern for one s being was also reduced a little enough to draw a significant notice. In conclusion, bereaved family groups to help each other should be established and after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ised so that bereaved family can reduce their grief by pursuing information as a external coping strategy, making a mutual assistance group, increasing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and seeking for soci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systems. The the support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the community should be more actively promoted, and a network should be set up to connect them.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help to promote understanding of a hospice and separation by death should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