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성 예측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성 예측에 관한 연구
Authors
설경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에서 활동하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자원봉사활동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향후 자원봉사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개인적 특성요인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활동상황 특성요인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대인관계 만족요인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봉사활동 만족요인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개인적 특성요인, 활동상황 요인, 대인관계 만족요인, 봉사활동 만족 요인 중,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봉사활동의 지속성 요인을 설정하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중요성과 활용도 및 선행연구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독립변수를 개인 특성요인, 활동상황 특성요인, 대인관계 만족요인, 봉사활동 만족요인으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를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로 설정하는 연구모형을 구체화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사대상을 서울ㆍ경인지역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에서 활동하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로 한정하고, 조사도구로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작성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에 있어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 여부를 유의하게 판별하는 개인적 특성은 학년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고학년일수록 앞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 여부를 유의하게 판별하는 활동상황 특성은 현재지속여부, 활동경력, 활동횟수, 참여동기, 참여정도, 전공활용도, 보람정도, 필요인식, 활동의지 요인에서 나타났다. 즉, 지속하고자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활동경력이 높게 나타났고, 활동횟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활용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타율적 참여보다는 자율적인 방법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하고자하는 집단일수록 참여동기가 이타적인 동기보다는 이기적 동기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향후에 지속하고자 하는 집단일수록 보람정도도 높았으며, 자원봉사활동 필요인식에 있어서도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하고자 하는 집단일수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의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 여부를 유의하게 판별하는 대인관계 만족 요인으로는 가족ㆍ친구의 지지도, 기관 담당직원과의 관계,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집단이 비 지속집단보다 동료관계가 더 긍정적이고, 담당직원과의 관계도 더욱 원만하고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받는 심리적 지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 여부를 유의하게 판별하는 봉사활동 만족 요인으로 욕구충족도에서 나타났다. 즉, 향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대상자들보다 자원봉사활동으로부터 얻는 욕구충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 여부를 유의하게 판별하는 요인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활동경력과 활동의지에서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 활동경력이 많을수록, 자원봉사 활동의지가 높을수록 향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들을 결합하여 다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돌린 결과, 활동경력, 활동의지 외에 대인관계 만족요인과 봉사활동 만족요인이 추가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와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겠다는 의지가 분명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참여 지속을 증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 요인 가운데 학년과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고학년일수록 향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집에서 업무배치, 교육, 지도에 이르기까지 시설의 전반적인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활동상황 특성요인의 경우 비교적 많은 요인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유의미한 요인들을 두 가지로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즉, 결과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활동경력 및 활동횟수가 있고, 상황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참여동기, 전공활용도, 보람정도가 있다. 먼저 상황적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봉사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봉사업무배치과정에서 전공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기적인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써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데, 이는 봉사자 개인의 참여동기에 대한 적극적인 인지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봉사자에 따라 단순히 남을 돕는 것, 그 자체에 대한 만족감에 충족이 될 수도 있고 개인이 구체적으로 참여한 동기가 특이할 경우도 있을 것이므로 해당 기관의 담당자는 봉사자의 참여동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결과적 요인에 대한 접근방법으로는 당해 사항에 대한 인적관리라 할 수 있다. 결과적 요인은 지속성이 유지된 결과에 따라 형성된 요인이므로 체계적인 접근으로 이를 통제하기보다는 일반회사에서의 경력관리 개념과 같이 봉사자의 봉사활동 경력을 Data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적재적소의 배치가 가능하도록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인관계 만족도 요인의 경우에는 세 가지 하부요인이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설 담당자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중요요인이란 점을 명백히 부각시키는 결론으로 의의를 가진다. 먼저 기관 담당자와의 관계를 유지함에 있어 기관 담당자는 자원봉사자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존중하며, 인간적인 교류관계를 가져야 한다. 봉사업무에 대한 명확한 지도와 애로사항의 파악,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경우 담당자와 자원봉사자간의 인적 유대관계는 더욱 견고하게 성장할 것이다. 이러한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사 등 기관 담당자에 대한 교육등으로 자원봉사자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늘려야 한다.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에 있어 만족한 유대관계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봉사자간의 교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줘야 한다. 이러한 교류는 여러가지 방안이 나올 수 있겠으나 봉사자들의 자발적인 교류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봉사자모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시설내의 봉사자들 간에는 서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수 있도록 시간에 구애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들의 모임을 주선하고 지원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모임을 중장기적으로 영구화하여 봉사자들의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능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모임에 소속되지 않고 봉사활동을 하는 봉사자에게 이러한 모임을 소개하고, 홍보한다거나 이미 모임에 소속된 봉사자의 경우에도 소규모 모임들간의 교류를 통해 봉사자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넷째, 봉사활동 만족도 요인에 있어서는 업무흥미도에서 유의적인 결론이 도출되었다. 욕구충족도는 봉사자가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한 알아내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시설 담당자는 이러한 요인에 대해 봉사자가 느끼는 부분을 알아내기 위해 주의 깊은 관찰이나 주기적인 대화를 실행해야 한다. 또는 자원봉사 일지등을 자유롭게 적게 하여 담당자는 자원봉사자의 만족의 정도를 인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봉사자의 만족도를 고려한 업무배치, 지도 및 개선조치가 이루어 져야 한다. 즉, 봉사자의 업무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봉사업무가 제대로 배치되었는지 확인을 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욕구총족이 얼마나 이루어졌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욕구충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어떠한 요인이 방해요인이 되는지를 살펴 개선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결합요인에서 나타난 결론 중에 활동의지는 적극적인 자원봉사자관리에 대한 한계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하지만 자원봉사활동 향후 지속여부가 당사자의 활동의지에 달려있다는 의미는 어쩌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활동 지속성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분명 활동하고자 하는 본인의 의지임에 틀림없다는 사실이 유의미하게 검증된 것이다. 또한 활동의지가 변한다는 의미는 봉사자가 활동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다른 요인들이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일으킨 결과가 봉사활동의 만족요인으로 귀결된다는 의미다. 따라서 봉사자의 지속성유지를 관리하기 위해 시설 담당자가 활동의지란 요인을 바라보아야 할 시각은 적극적으로 당해 요인에 대한 관리를 하려고 하는 것보다는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타 요인들에 대한 집중으로 활동만족을 높이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은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효과적 관리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which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continuous activity of collegian-voluntary-support acting in the facility for the handicapped, and to propose that collegian-voluntary- supporters can participate in continuous voluntary-support-activity in the futu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established model to study which factors will maintain continuous voluntary activities a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tivity characteristics, mutual satisfactory characteristics and voluntary work satisfactory characteristics. The continuity of volunteer work is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is model. The methodology is as following. The object for this study is limited to college students who volunteer in working at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Self filled-out questionnaire was used for survey. To process the data, frequency analysis, cross relation analysi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 have been utilized. Therefore, a summary of the result research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personality to distinguish continuous voluntary-supporting- activity in the future was exposed in which grade the person is. Second, the peculiarity of activity to distinguish continuous voluntary- supporting-activity was exposed in whether present continuance is or not, the record of activity, the number of activity,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e utilization of major, the degree of worth,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and the activity will. Third, the level of family and friends support,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 s staff and relationship with co-voluntary-supporter was exposed as a factor of satisfaction in personal relationship to distinguish continuous voluntary-supporting-activity. Forth,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desires was exposed as a factor of satisfaction of voluntary-supporting-activity to distinguish continuous voluntary-supporting-activity. Fifth, the result from logistic regression shows that the experience and intention for volunteering work is the factor to determine the continuity of volunteering work. Moreover, a new logistic regression with combination of dependent factors reveals that mutual relation satisfaction factor is another factor. The followings are arguments about efficient management to improv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collegian-voluntary-supporters grounding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shows that the higher grades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continuous voluntary-supporting-activity in the future. To perform the voluntary-supporting-activity efficiently for collegian,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overall such as enlistment, education and guidance. Second, the record and the frequency of activity could be the factors of result, and motive of participation and a degree of utilization of major could be the conditional factors. Fist of all, as systemic management of the condition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voluntary-supporter, and to arrange maximizing a degree of utilization of major in processing of arrangement of voluntary-supporting-service. Besides, a methodology should be studied to maximize the individual satisfaction to induce a selfish initiative, which is supposed to follow the active effort to recognize the individual motivation for volunteering. Third, the institute staff must have personal relationship in respect to have concern with a voluntary-supporter.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ntary-supporter and the staff if clear guidance of the voluntary service, grasping of bottleneck issues and taking measures instantly is acted will be grown. A full understanding of the voluntary- supporters to educate the institute staff such as social worker is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change chance between each voluntary-supporter to build satisfied relationship. This exchange could be utilized through voluntary-supporter group progressively in viewpoint of voluntary exchange, even though there are others. Forth, it will be difficult to recognize a degree of satisfaction unless a voluntary supporter expresses. Therefore, the institute staff must communicate periodically and observe to recognize the voluntary- supporter s feeling. Or, the manager must recognize a degree of the voluntary-supporter s satisfaction to write voluntary-supporting-activity diary and so forth. Service arrangement, guidance and improvement to consider a degree of the voluntary supporter s satisfaction acquired through the process should be conducted. Fifth, it could be quite obvious that continuous voluntary-supporting- activity in the future depends on the volition of the activity. It is verifi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ontinuous activity is the volunteer s volition. And, the change of activity volition means that the organic interactions of various factors result in the satisfaction factor of volunteering work. Therefore, the viewpoint of the institute manager in volition of the activity to manage the voluntary-supporters continuously is necessary as an approaching method to promote satisfaction of activity by focusing on other factors mentioned above rather than managing the relevant factors directly. The study results stated above could be appli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llegian-voluntary-suppor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