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및 교사 반응 분석

Title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직무연수 프로그램 및 교사 반응 분석
Authors
어수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실행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각 시·도 교육연수원의 2000년 초등 제7차 교육과정 연수의 운영 현황 및 프로그램 교육과정과 방법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수 교육 내용과 방법 그리고 교육체제와 지원에 대한 만족도 및 교사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 연수’를 개선ㆍ개발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의하여 다음의 연구 문제를 가진다. 1.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운영 현황 및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1-1.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1-2.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구성은 어떠한가? 1-3.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방법 구성은 어떠한가? 2.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2-1.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내용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2-2.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방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2-3.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체제 및 지원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3.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3-1.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내용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3-2.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방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3-3.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체제 및 지원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 연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연수의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 그리고 교육체제 및 지원에 대한 분석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만족도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연수운영 통계 자료와 2000년 16개 각 시·도 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계획 교재를 분석하였으며 직무연수에 대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문서자료는 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울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의 16개 시·도 교육청의 2000년 교원 연수원 운영 계획서 를 사용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2000년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를 실시한 경북, 광주, 부산, 울산, 인천, 전북, 충남 등 7개 시·도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2000년에 제7차 교육과정 연수를 받고 초등 1, 2학년을 담당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의 운영현황은 16개 각 시·도 교육청마다 연수의 계획·운영과 함께 교육내용의 조직과 구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단독의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아닌 각 과목별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따로 계획된 곳도 있었으며, 전혀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계획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연수 생활은 모두 비 합숙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연수 인원은 50 - 263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울러 각 시·도 교육청의 연수 계획에는 없었으나 교육 인적 자원부의 독려에 의한 제7차 교육과정 총론 교원 연수 결과 2001.11.1 ~ 2001.2.28의 연수기간 동안 연수일수는 총 1,709일 연수횟수는 총 3,069회 연수인원은 총 128,164명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한 영역은 교과영역이었으나 학교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에 대한 이해는 모든 시·도에서 간과하고 있었다. 총론 시간 할당은 1.7 ~ 27.2%로 각 시·도 교육청에 따라 할당 차이가 컸다. 마지막으로, 재량·특별활동 영역은 다른 영역들과 비교하여 연수 교육과정 구성에 가장 적은 수의 시간이 배당되었으며 전혀 시간을 할당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에서도 타 연수에서 지적되고 있는 획일적 연수 교육방법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직무연수 교육방법에 대하여 교사들은 토론·토의, 멀티미디어 활용, 소집단, 사례발표, 실기실습, 현장연수 등의 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7차 교육과정 교육체제 및 지원면에서 연수 내용의 중복이 지적되었고, 후속 하는 관련 연수를 지속적으로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연수에 필요한 충분한 교재 및 자료의 제공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냉·난방시설과 같은 연수 기관의 교육여건이 조속히 개선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 교사의 관심과 필요가 반영된 교육과정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운영이 요구되며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eacher s training programs which are designed toward newly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being managed by Teacher Training Institute established at total sixtee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or this purpose, a standard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method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organizing the training program was extracted. Based on this, the newly curriculum training programs of the sixteen Teachers Training Institute and response from the trainee were compared and analysed.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are identified as follow. 1. What ar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program and program organization 1-1.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the management? 1-2. what is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1-3. what is the instruction method of the program? 2. what do the inservice teacher in training program think about the program? 2-1.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2-2.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instruction method of the program? 2-3.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training system and systemic supports? 3. what do the inservice teacher in training program want about the program? 3 -1. what are there needs on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3-2. what are there needs on the instruction method of the program? 3-3. what are there needs on the system and systemic support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analyzing documents used for the training programs held at the sixtee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2000. This study was surveyed to ask the trainee to evaluate the program. The documents called teacher s training program planned by Teacher Training Institute were gathered from sixtee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 The institute at Kangwon, Kyonggi, Kyongnam, Kyongbuk, Kwangju, Taegu, Taejon, Pusan, Seoul, Ulsan, Inchon, Chonman, Chonbuk, Cheju, Chungnam, Chunbuk. The surveys asking requests about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methods of the programs and training system and systemic supports wer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aries distributed to trainee who was first/second grade teacher trained in seven regions which are Kyongbuk, Kwangju, Pusan, Ulsan, Inchon, Chonbuk, Chungnam, in 200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training, 59 percentage of trainee got perception about newly curriculum. 89.6 percentage of trainee was concerned about newly curriculum. But, 45.6 percentage of trainee do not agree effectiveness abort putting newly curriculum in practice. only 22.6 percentage of trainee do. Since the training program which is designed toward newly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planned operat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director of each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e present status and organization of the program in sixteen cities and provinces were diverse.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raining plan, operation,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the instruction methods of the program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institute. The curriculum of Training program were independently organized by combining or dividing four basic categories which are Teaching Profession·Liberal Arts Area , Major study Area , General remarks Area , Special activity·Discretional activity Area . As a result of studying, the documents according to the mentioned areas, the percentage of Major study Area was high in most institut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 of Teaching Profession·Liberal Arts Area, the following were emphasized person who have advanced ideas, new school culture, form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formation and operation of discriminative curriculum, renovation, theory and practice about open education, future society and ICT, personal education, originality education. But understanding about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were excluded at most locations. Also, with regard to the instruction methods, the percentage of lectures was highest at every locations. Trainee make a demand the methods of conversations, discussion, using multi media, small group, practicing, field training and fulfil materials and improvement in accommodation like heating·air conditioning. Also,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long-term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needs and concerns of teachers and systemic supports, to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