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인선-
dc.contributor.author강연희-
dc.creator강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1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mothers` parenting stress in hearing-disabled preschool children. Th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our kinds of questionnaire: (1) Demographic information sheet (2)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3) 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CHIP) (4) Survey of basic need related with consultation and so on. This study was sent to 130 mothers whose hearing-disabled preschool children were going to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Analysis result on parenting stress level by individual peculiarities related to a mother shows that the stress level of a mother gets lower as she accepts her child`s disabilities realistically. 2. Analysis result on parenting stress level by peculiarities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s that the stress level of a mother gets lower as her child`s disabilities are insignificant. 3. Analysis result on parenting stress level by peculiarities related to a family shows that the stress level of a mother gets lower as a spouse accepts their child`s disabilities, a spouse spends time for a child and a family`s earning is high. 4. Analysis result on parenting stress level by peculiarities related to a society shows that the stress level of a mother gets lower as a mother join together for meeting or gathering with a child. 5. Analysis result on parenting stress level by peculiarities related to educational experiences does not show significant variables. 6. Analysis result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method by subordinate area and parenting stress level shows a mothers stress level gets lower as supports of unofficial resources and social participations are high and the level gets high as a mothers fateful thought is high. 7. Combination model analysis result on variables influence by elements effect on a mothers parenting stress shows a mothers parenting stress level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 spouses acceptance level of child`s disabilities, a family`s earnings, supports of unofficial resources, social participations and fateful thought. 8. The analysis shows that entire control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 depends on a mothers disabilities, a spouses parenting hours and a family`s earnings. The analysis shows that control effect of stress coping method by subordinate areas depends on a mothers social participation for mothers acceptance level of her child`s disabilities, child`s disability level and a spouses acceptance level of their child`s disabilities, a spouses supports for his parenting hours, a support of unofficial resources for a family`s earning, and a hopeful and fateful thought for a level of participation for meeting or gathering with her chil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recognition opportunity of the importance on stress coping method that has control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hearing-disabled preschool children and contributes to expand the interest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contents from currents simple information transmission to parents own capability growth.; 장애아의 출생과 양육 부담은 그 부모와 가족들에게 특수하고도 지속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게 하는 양육 스트레스를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충격과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되고 장애아를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아동의 장애를 처음 발견하였을 때와 아동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의 스트레스 수준이 심각해질 수 있다. 한국 사회에 있어서 아동의 양육은 대부분 어머니의 몫이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어머니 개인에 대한 평가, 아동을 통한 문제, 배우자와 가족요인, 주변요인, 사회적 환경요인 등 상당히 다양하다고 한다. 또한 스트레스가 주관적인 인식임을 고려할 때, 어머니 개인의 내적인 역량과 함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이나 자원 역시 상당히 다양하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전 청각장애 아동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를 통해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경감시키는 방법들을 찾아 장애아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그들의 적응과 대처를 도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있는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령전 청각장애 아동의 어머니 130명을 대상으로 네가지 항목의 질문지 : ① 어머니 및 가정관련 기초배경 조사, ② 양육 스트레스-부모의 고통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Abidin, 1990의 재구성), ③ 스트레스 대처방법 척도(Mccubbin & Patterson, "Coping Health Inventory for Parent(CHIP)" 의 수정, 재구성) ④ 일반적 상담, 협회, 모임과 관련한 기초욕구 조사 등을 사용한 사회조사방법을 그 연구방법으로 하였다. 질문지 회수율은 총 130명 중 121명으로 93%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적 통계,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Interaction Term의 중다회귀분석 적용을 이용한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와 관련된 개인적 특성 중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효과적으로 설명 하는 변수는 어머니의 아동장애 수용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장애를 현실적으로 수용하는 어머니들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이 낮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설명력은 10.1%로 나타났다. 2. 장애아동 특성 중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변수는 아동의 장애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장애정도가 가벼울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명력은 3.0%로 낮은 편이었다. 3. 가족관련 특성 중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변수는 남편의 아동장애 수용정도, 남편의 양육시간, 가정의 월수입으로 나타났다. 즉 남편이 아동의 장애를 현실적으로 수용할수록, 남편이 아동 양육으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오히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18.6%였다. 4. 사회적 특성 중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변수는 아동과의 모임동행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모임 등에 아동과 자주 동행할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2%.로 분석되었다. 5. 교육경험 특성 중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변수는 없었다. 6. 하위영역별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양육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비공식적 자원의 지지, 사회참여, 숙명적 사고 순으로 통계상 유의미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 중 사회참여와 비공식적 자원의 지지를 통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양육 스트레스와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숙명적 사고의 경우에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스트레스 대처방 법별로 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세가지 변인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예측하는 설명력은 14.2%였다. 7.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난 어머니의 아동장애 수용정도, 아동의 장애정도, 남편의 장애수용, 남편의 양육시간, 가정의 월수입, 아동과의 모임동행 정도, 비공식 자원의지지, 사회참여, 숙명적 사고를 포괄하여 통합모형분석을 통해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남편의 아동장애 수용, 월수입, 비공식적 자원의 지지, 사회참여, 숙명적 사고가 양육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3.5%로 분석되었다. 8 . 전체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조절효과는 어머니의 장애여부, 남편의 양육시간, 가정의 월수입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21.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하위영역별 조절효과는 어머니의 아동장애에 대한 수용, 아동의 장애정도, 남편의 아동장애에 대한 수용은 사회적 참여를 통해, 남편의 양육시간에 대한 스트레스는 남편의 지지를 통해, 가정의 월수입에 대한 스트레스는 비공식적 자원의 지지를 통해, 아동과의 모임동행 정도는 희망적 사고와 숙명적 사고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8.6%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대처방법별로 질적인 차이를 보이는 점에 주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대처방법의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서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장애아 양육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인식되었던 범위를 넘어 스트레스 요인이자 동시에 대처방법으로서의 남편의 인식과 보조에 촛점을 맞춤으로써 양육 스트레스가 어머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전체 가족의 문제임을 다시한번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현행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아동중심의 단순 정보 전달에서 벗어나 부모 자신의 역량을 기르는 문제로 관심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어머니 자신의 역량강화를 통한 양육부담 경감, 배우자의 지지를 통한 만족도 개선, 사회적 지지 및 서비스 개발이라는 점에 주목할 때 개인, 가족, 사회가 함께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의 경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궁극적인 결론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5 C. 연구의 제한점 = 6 II. 이론적 배경 A. 양육 스트레스(Parenting Stress)의 이해 = 7 1. 스트레스 및 양육 스트레스의 개념 = 7 2. 장애아 양육 스트레스 = 10 B.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15 1. 개인적 특성 = 15 2. 장애아동특성 = 16 3. 가족, 사회, 교육경험 특성 = 17 4. 스트레스 대처방법 = 18 III. 연구방법 A. 변수의 정의 및 측정 = 23 1. 독립변수 = 23 2. 조절변수 : 스트레스 대처방법 = 28 3. 종속변수 : 장애아 양육 스트레스 수준 = 29 B. 측정도구의 검증 = 30 C. 연구모형 및 연구질문 = 31 1. 연구모형 = 31 2. 연구질문 = 32 D. 연구방법 = 33 1. 연구절차 = 33 2. 조사도구 = 35 3. 자료분석방법 = 36 IV. 연구결과 A.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 37 B.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기술적인 분석 = 50 1.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0 2. 스트레스 대처방법 = 50 C.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 52 D.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 = 53 1. 개인적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3 2. 장애아동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4 3. 가족관련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5 4. 사회적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6 5. 교육경험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7 6. 스트레스 대처와 양육 스트레스 수준 = 58 E. 통합모형 분석 = 59 F.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조절효과 = 61 V. 결론 A. 연구결과 요약 = 66 1. 일반적인 특성 = 67 2. 결과 및 논의 = 69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74 1. 연구의 의의 = 74 2. 제언 = 76 참고문헌 = 78 부록 = 82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17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각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format.page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