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교회 노인교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Authors
- 성현숙
- Issue Date
- 2001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강철희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rograms implemented for old people in the Christian churches of Korea, describ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old people, and develop implications related to promotion of the programs.
The target organizations of this study is 16 churches in five large areas (Seong-buk, Song-pa, No-won, Eun-pyung, and Kwan-ak District) of Seoul that have operated church elderly schools. This study collected information about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and operational) of programs from April 17 to May 3 in 2000 by using interview method with persons in charge for the programs. In addition, this study collected information about old people s program satisfaction by having interviews with 400 students of these church programs (25 students selected randomly from each church s elderly program).
This study shows that the major motive of operating these schools for the aged in these churches is either to transmit Christian mission or to provide social services among the aged. It is found that nine church programs out of sixteen use one to five percent of the total budget of the churches and six programs use less than one percent.
This study shows that these programs are managed by a few managers or volunteer workers and their expertise is not high. It is found that the programs provide class once or twice a week for old people without tuition. The curriculum is mostly developed by the ministers of the churches, managers, or volunteer workers. The classes are operated by volunteer lecturers among church members. Most of the programs are evaluated on yearly basis. However, it is revealed that evaluation methods are not rigorous.
This study finds that most old people s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programs is very high. The classes that old people like to participate in are health care, recreation, group activity, or religion, whereas the classes that old people are less interested in are professional topics and others requiring advanced knowledge. Old people have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about the content of classes, the quality of lecturer, and the operation procedure of classes. The overall high satisfaction an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specified areas indicate that church schools should make more specified efforts about each program. That is, it reveals that old people actually have very high needs about promoting quality of program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for improving quality of programs of church elderly schools are suggested. First,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 efforts to identify potential needs of old people attending to schools in order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satisfy diverse needs. Second, the schools should have professionals who can plan and manage programs reflecting newly rising needs. Third,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from churches and ministers should be strengthened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professional management. Fourth, there should be efforts for standardized curriculum and evaluation to help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s of church elderly school. Fifth, there should be efforts for development of diverse programs satisfying diverse needs and levels of old people. Sixth, there should be efforts for development of clear mission of operating church elderly schools and the mission should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ncrete objectives, contents and procedures of programs.
; 본 연구에서는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의 실태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회노인교실의 조직특성,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특성, 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 관련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노인교실의 조직특성을 살펴본다. 둘째, 교회 노인교실의 프로그램 특성을 살펴본다. 셋째, 교회 노인교실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참여 현황과 각 프로그램 및 운영 관련 만족도를 살펴본다. 넷째,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 및 운영에 관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서 4월 17일부터 5월 3일까지 약 3주 동안 서울시내에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인 성북구, 송파구, 노원구, 은평구, 관악구 등 5개 지역을 선정, 한국교회노인학교 연합회에 자료를 참고하여 그 지역 내에 있는 교회노인교실을 전수 조사하였다. 총 19개 노인교실이 있었는데 조사시점 당시 재건축중이거나 휴교상태인 교회노인교실을 제외하고 16개 노인교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두 집단에 대해 실시되었다. 교회노인교실의 프로그램 참여현황과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해당교회 노인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한 기관 당 약 25명 정도를 조사하였다. 교회노인교실 조직특성과 프로그램 특성에 대한 조사에는 해당교회의 노인교실 담당 실무자 1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노인교실 운영목적에 있어서 ‘선교활동차원에서’와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활동 차원에서’라는 응답이 동 수로 나왔다. 대다수의 교회노인교실이 교회의 재정지원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전체 교회운영비중 노인교실 예산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1%이상 5%미만이 9개 기관으로 가장 많았고 1%미만으로 지원하는 기관도 6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시설현황은 대체로 양호하나, 노인교실 이용 노인을 위한 휴게실 등의 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직원이나 자원봉사자들의 수나 전문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서 앞으로 노인교육 혹은 노인복지, 사회복지 관련 전공 혹은 자격증을 소지한 직원이나 자원봉사자의 투입이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프로그램 비용은 대부분이 무료였고, 주 1-2회 운영되는 노인교실이 많았으며, 프로그램 강사는 외부강사와 교인들이 담당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노인교실이 연간프로그램 계획을 세워서 운영하고 있었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도 실시하고 있었는데, 기획자의 경우 대부분 종교지도자 혹은 자원봉사자 등이었고, 평가방법도 구조화되어 있지 않아서 이 부분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담임목회자의 경우 노인교실에 대한 관심은 높은데 반해 실제 참여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서 담임목회자가 프로그램 기획단계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운영상의 애로사항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이 재정 확보와 프로그램의 다양성, 전문성 부분이었다.
노인들의 프로그램 참여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노인들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건강관리 프로그램, 레크레이션, 소모임 활동 등의 프로그램, 종교활동 프로그램이었고, 지식이나 교양 관련 프로그램이나 사회활동 등의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은 참여가 저조했다. 프로그램에 대한 불만사항에서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강사, 진행방식 등을 지적했는데, 내용과 진행방식에 대해 지적된 프로그램은 노인건강관리 프로그램, 문자교육 프로그램, 노인복지 프로그램 등이었고, 내용과 강사에 대해서는 가정생활·가족관계에 대한 프로그램, 지식이나 교양에 관한 프로그램, 취미생활에 대한 프로그램 등에서 지적되었다. 특히 사회활동 프로그램과 노인복지프로그램의 경우는 진행방식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이처럼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데 개별 프로그램으로 들어갔을 때는 구체적인 욕구들이 표출되는 것을 볼 때 표면상으로 나타난 노인들의 만족도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 한 단계 더 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앞으로 확대를 희망하는 프로그램들로 건강관리 프로그램, 레크레이션, 소모임 활동 등의 프로그램, 종교활동 프로그램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이미 많은 노인들의 참여가 활발한 프로그램들이므로 노인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교회 노인교실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다양성 제고를 위한 노인들의 잠재적 욕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야한다. 둘째, 교회노인교실 관련 인력들의 전문성 보강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노인교실에 대한 담임목회자의 관심 및 참여 확대와 함께 교회차원의 인적·물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넷째,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대한 기본 가이드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노인건강, 레크레이션과 소모임 활동, 예배, 찬양 등의 종교활동, 지식이나 교양에 관한 내용에 초점을 두고 개발해야하며, 보다 다양화된 형태와 수준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회노인교실 프로그램의 운영방향을 명확히 하고 이를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으로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