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집먼지 진드기에 감작된 천식 환자에서 면역치료의 효과

Title
집먼지 진드기에 감작된 천식 환자에서 면역치료의 효과
Authors
박경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mmunotherapy has been considered as secondary strategy of IgE mediated allergic disease. It decreases delayed airway inflammation and blocks irreversible airway change but many controversies still exist despite of its remarkable effect. In asthmatic patients, perennial allergens such as house dust mite induce persisting airway inflammation and airway hyperreactivity. Chronic disease progression seem to be related to accelerated decreasing of pulmonary function and irreversible airway change. Many asthmatic patients in Korea show positive skin test to house dust mite and it is encouraging that many studies demonstrated promising results of immunotherapy by improved house dust mite ex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clinical effectiveness of immunotherapy in patients with asthma sensitized to house dust mite and to evaluate related factors. Thirty asthmatic patients visiting allergy clinic of Mock-Dong hospital of Ewha womans university enrolled from March, 1996 to February. All patients were received th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standardized extract by a immunotherapy(IT) schedule and we measured clinical parameters. 1. Symptom-medication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8.9±0.29 before IT vs. 3.4±0.20 after IT, p<0.05). 2. Methacholine challenge test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PC_20 0.78±0.09 before IT vs. 1.18±0.17 after 1 year of IT, p<0.05). After we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group I that showed more than twice increasing in PC_20 after 1 year IT and group II that did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re-treatment PC_20s (8.75±2.75mg/ml in group I vs. 7.08±1.84mg/ml in group II, p<0.05). 3. Skin prick test demonstrated no significant change (wheel flare ratio in D. farinae 2.44±0.24 before IT vs. 2.11±0.26 after IT, in D. pteronyssinus 2.33±0.29 before IT vs. 2.22±0.22 after IT, 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any combination among these three parameters (symptomatic improvement, change of PC_20 and disease duration of asthma). 5. In view of side effects, no fatal systemic reaction occurred during treatment period. Only one patient experienced injection-related dyspnea and urticaria that were easily controlled by medica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atients with asthma sensitized to house dust mite benefit from specific immunotherapy through symptomatic improvement and reduced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As for side reactions immunotherapy might be relatively safe if allergen is carefully administered a controlled and supervised environment.; 면역치료는 IgE 매개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의 치료의 하나로 기도의 후기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고 천식 환자에서 약물치료로 완전히 예방할 수 없는 기도의 비가역적 변화를 차단한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천식 환자에게 있어서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통년성 알레르겐은 장기간의 지속적인 기도 염증반응과 기관지 과민반응을 유도하여 만성 천식환자에게 기관지 변형에 의한 급속한 폐기능의 저하와 비가역적인 기도폐쇄를 초래하기도 한다. 한국의 호흡기 알레르기 환자의 대부분은 집먼지 진드기 항원에 대한 피부반응 검사 양성을 나타내며 최근 항원주사약의 개선으로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p)와 Dermatophagoides farinae(D.f)에 대한 면역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긍정적인 결과가 증가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본 연구는 집먼지 진드기에 감작된 천식환자들에 대한 면역치료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고 관련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6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 부속 목동병원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한 기관지천식 환자 중 D.p항원과 D.f항원 추출물을 이용하여 면역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이들에서 면역치료 후 그 효과 판정의 유용성 여부를 관련 인자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면역치료 전후에 측정한 증상-투약 점수(symptom-medication score)는 치료전이 8.9±0.29고, 치료 후가 3.4±0.20로 면역치료 후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p<0.05) 2. 메타콜린 PC_20값은 면역치료 전이 8.04±1.71이고, 치료 1년 후가 36.7±11.5로 치료 후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p<0.05) 치료 1년 후 메타콜린 PC_20값이 2배 이상 증가한 군과 2배 미만인 군의 치료 전의 메타콜린 PC_20값을 비교하였을 때 각각 8.75±2.75와 7.08±1.84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3. 피부단자검사의 반응도는 D.f의 경우 치료 전의 팽진비가 2.44±0.24이고, 치료후에는 2.11±0.26이었고 D.p의 경우 치료 전의 팽진비가 2.33±0.29이고, 치료 후가 2.22±0.22로 치료 전후의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p>0.05) 4. 증상의 호전정도, 메타콜린 PC_20값의 변화, 그리고 천식 유병기간 사이의 유의한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p>0.05) 5. 한 예에서 피하주사 직후 호흡곤란이 관찰되어 용량 조절을 하였고 아나필락시스같은 다른 중대한 부작용은 없었다. 집먼지 진드기에 감작된 천식 환자의 면역치료는 임상적 증상을 호전시키고 비특이적 기관지 과민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적절한 감시하에 시행 가능한 비교적 안전한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T림프구의 cytokine의 생성의 변화등 세포생산적인 검사는 면역치료의 기전 및 효과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