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교정공무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Title
교정공무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Authors
박미숙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범죄자의 격리구금과 교정교화활동을 통해 사회의 안녕질서와 재범방지의 최종적인 보루를 담당하는 교정공무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직무의 특수성과 다양한 환자가 수용된 집단생활에서 질병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교정공무원들은 여러가지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교정공무원의 건강관리가 선행되어야 수용자의 재활과 누범 예방이라는 교정행정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 교정공무원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공무원의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교정공무원의 직업적 특성과 건강상 문제와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교정공무원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서울 및 인천지역의 3개 교정기관(구치소 및 교도소 등)에 근무하는 교정공무원 346명이었고,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질문지(Todai Health Index건강조사표)를 사용하여 2001년 4월 6일부터 4월 23일까지 18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윤신(1979)이 번안한 THI 건강조사표를 수정·보완하여 측정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96이었다. 이외에 인구사회학적 특성 7문항, 직무특성 6문항, 건강행위 특성 7문항을 포함하여 총 12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90.8%로 남자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은 31-35세 군이 30.6%로 가장 많았다. 교육수준은 전문대졸 이상이 51.2%, 결혼상태는 기혼 군이 79.5%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대상자가 인지하는 경제수준은 하 로 응답한 대상자가 52.0%로 가장 많았다. 종교를 가진 사람이 53.8%, 거주형태는 반수가 자기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근무부서는 사동근무자가 37.9%, 계급은 8급이 38.1%로 가장 많았다. 근무경력은 5년 이하 가 28.3%, 임용방법은 공개채용이 69.1%, 한달 야근일수는 10일이상 이 61.3%로 상당히 높았고,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12시간 이상 근무자가 34.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흡연율은 52.6%, 음주는 가끔 마신다 가 62.7%이었다. 아침식사는 매일 먹는다 가 69.9%, 취미활동은 한다 67.1%, 수면시간은 6-8시간 미만 이 63.9%로 가장 많았다. 운동빈도는 가끔 한다 는 대상자가 44.5%, 운동종류에서는 조깅 이 45.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2) 연구대상자들의 전체 건강문제 호소 중에서 구강·항문부위 호소점수가 2.48로 가장 높았고, 신경질 호소점수가 1.97로 가장 낮은 양상을 보였다. 대상자들의 신체적 건강문제 호소양상은 구강·항문부위 호소 다음으로 소화기 호소점수 2.36, 호흡기 호소점수 2.33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신적 건강문제 호소양상에서는 우울성 호소점수 2.36, 충동성 호소점수 2.18, 정서불안정 호소점수 2.17순으로 높았으며, 생활불규칙 건강문제 호소점수는 2.18로 나타났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문제 호소양상에서는 경제수준, 거주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수준에 따른 건강문제 호소는 경제수준이 상 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정신적(F=3.25, p=.040), 생활불규칙(F=3.79, p=.023) 호소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형태에서는 자가 군이 신체적(t=2.24, p=.026), 생활불규칙(t=2.95, p=.003) 호소점수가 높은 양상을 보였다. 4) 직무특성에 따른 건강문제 호소양상에서는 근무부서, 계급, 근무경력, 월 야근일수, 일 근무시간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근무부서 중에서는 접견근무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신체적(F=2.34, p=.041), 정신적(F=3.07, p=.010), 생활불규칙(F=3.36, p=.006) 호소점수가 높았다. 계급에 따른 건강문제 호소는 6급 이상 군에서 생활불규칙 호소점수(F=3.26, p=.022)가 높았고, 근무경력 16년 이상 군에서 생활불규칙(F=2.63, p=.050) 호소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한달 야근일수별 건강문제 호소정도는 야근일수 10일 이상 군이 신체적(F=2.92, p=.034), 정신적(F=2.93, p=.034), 생활불규칙(F=4.07, p=.007) 호소점수가 높았으며, 하루 근무시간별 건강문제 호소정도는 근무시간이 12시간 이상 군이 신체적(F=6.48, p=.001), 정신적(F=3.85, p=.010), 생활불규칙(F=6.72, p=.001) 호소점수가 높았다. 5) 건강행위 특성에 따른 건강문제 호소양상에서는 취미활동, 수면시간, 운동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취미활동은 안한다 는 군이 신체적(t=-3.03, p=.003), 정신적(t=-3.03, p=.003), 생활불규칙(t=-2.62, p=.009) 호소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수면시간은 6-8시간 미만 군이 생활불규칙(F=4.58, p=.011) 호소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운동빈도에 따른 건강문제 호소는 안한다 는 군이 신체적(F=4.86, p=.008), 정신적(F=6.36, p=.002), 생활불규칙(F=7.15, p=.001) 호소점수가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교정공무원들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문제 호소양상 중 구강·항문부위 호소점수가 매우 높았고, 정신적 건강문제 호소양상 중 우울성 호소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교정공무원들의 구체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보여진다. 건강행위에 있어 흡연율 및 음주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은 교정공무원들의 직무특성상 과다한 스트레스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는 교대근무형태 및 근무여건을 조정·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금연·금주·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상담이나 교육을 시행하는 방향으로 예방적, 개인적, 집단적 노력이 이루어져야겠다. 교정공무원들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여가시간 활용 및 휴식, 적극적인 취미활동 등이 권장되며, 신체건강을 위해서는 적당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교정기관에서도 교정공무원들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 증진을 위하여 이를 지지해 주는 제반 환경을 조성하여 주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management of correctional officers by examining their health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job characteristics . 346 subjects, who were working at three different correctional facilities located at Seoul and Inchoen, were examin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6, 2001 till April 23, 2001. THI(Todai Health Index) suggested by Suzuk in 1973 was used. Yun-Shin Kim introduced the index into Korea as a tool for quantifying the health status of subjects in 1979. In order to generate the best result (Chronbach s α=.96), the THI was modified for this study. There were total 120 questions in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y included seven questions for each three categories, social-demographical characteristic, job characteristic, and healthcare. SPSS Package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gather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tool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 1) The highest THI score 2.48 was recorded in uncomfortableness around mouth and anus. In contrast, nervousness was noted as the lowest score, which was 1.97. The complants of psychomatic problems, digestive problem and respiratory conflict were scored 2.36 and 2.33, and were ranked in 2nd and 3rd place, respectively. In the psychological category, depression was recorded the highest score, 2.36. Impulsiveness followed as 2nd place, which was scored 2.18. Mental irritability(2.17) and irregular life cycle(2.18) were included in the lowest score categorie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among economic status, the complaints of psychiatric problems(p=.040), and irregular life cycle(p=.023).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sidence type, the complaints of physical health problems(p=.026) and irregular life cycle(p=.003). 3)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identified on the complaints of physical health problem, psychiatric health problem and irregular life cycle according to departments, days of night duty per month, and daily working hours. In the correctional facilities, subjects who had been in the department of reception tended to indicate high rate in physical status(f=2.34, p=0.41), psychiatric status(f=3.07, p=.10), and irregular life cycle(f=3.36, .006). It also clearly showed that different positions had different effects. For example, subjects, who ranked in more than 6th grade in their organization, tended to complain for an irregular life cycle(f=3.26, p=.022) In an addition, subjects, who had worked more than 16 years in the correctional facilities, tended to show similar onset to subjects who were in mid to high rank position (irregular life cycle: f=2.63, p=.050). Subjects, who took night duties more than 10 days per month, high rate on the categories of physical status(f=2.92, p=.034), psychiatric status(f=2.9 3, p=.034), and irregular life cycle(f=2.63, p=0.50). Subjects, who worked more than 12 hours per day, showed physical status(f=6.48, p=.001), psychiatric status(f=3.85, p=.010), irregular life cycle(f=6.72, p=.001), respectively.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mplaints of physical health problems, psychiatric health problems, and irregular life cycle according to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frequency of specific activity. Subjects, who answered that they did not participate any extracurricular activity, tended to indicate high rate in a physical status(t=-3.03, p=.003), psychiatric status(t=-3.03, .003), and irregular life cycle(t=-2.62, p=.009). At the same time, subjects, who slept less than 6-8 hours per day, complains for their irregular life cycle and mental disability. Subjects, who did not have any physical examination, tended to have high rates in a categories of physical status(f=4.86, p=.008), psychiatric status(f=6.36, p=.002), and irregular life cycle(f=7.15, p=.0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