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 지각의 물질,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을 중심으로

Title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 지각의 물질,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을 중심으로
Authors
정연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학교 교육 현장에서 많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준거 지향 평가에 대한 것이다. 준거 지향 평가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교수·학습과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1학년도부터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1의 지각의 물질,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 평가 기준, 평가 도구의 개발이다. 먼저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중학교 과학 1의 성격을 알아 보고, 지각의 물질,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 대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개정된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해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필수 학습 요소는 지각의 물질 영역에서 17개,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서 6개이다.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한 후에 학생들이 도달하여야 할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의 하위영역 수준에서 탐구(P) 영역과 지식(K) 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고, 대영역 수준에서 태도(A) 영역에 대한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성취 기준은 지각의 물질 영역에서 22개,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서 13개이다. 개발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판단할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 기준은 성취 기준에 근거하여 탐구(EP), 지식(EK) 및 태도(EA) 세 개의 영역으로, 상/중/하 세 수준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기준은 지각의 물질 영역에서 19개,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서 10개이다. 마지막으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맞춰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육 평가 다양화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수행 평가의 유형들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평가 도구는 지각의 물질 영역에서 6개(서술형 1개, 토의기록문 1개, 과제연구 1개, 포트폴리오 1개, 실험보고서 2개),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서 4개(서술형 1개, 개념도 1개, 과제연구 1개, 포트폴리오 1개)이다. 평가 도구 10개에는 평가 기준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5개이고, 두 개의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4개이고, 세 개의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 1개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지각의 물질과 물질의 세 가지 상태 영역에 대한 상세화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이 연구에서처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평가 도구들을 앞으로도 상당히 많이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 평가 기준, 평가 도구는 모두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중학교 1학년의 제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2001년부터 학교 교육 현장에서 이 연구의 결과들이 효율적으로 활용된다면 점차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준거 지향 평가가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for criterion -referenced evaluation in the 7th national science 1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the units of Elements in The Earth s crust and Three States of The Matter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1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First of all,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carefully analyzed. Then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for the units of Elements in The Earth s crust and Three States of The Matter were determined. Based upon required learning elements in the three units,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s state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detail in terms of the process skill(P), knowledge(K), and attitude(A). It can be an actual guidelin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22 items in the unit of Elements in The Earth s crust and 13 items in the unit of Three States of The Matter. 2. Based upon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made. The assessment standards divide the students achievement into three level(high/middle/low) and state each level so that it can guide evaluation of achievement. It was also developed in three areas of EP, EK, and EA.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19 items in the unit of elements in the earth s crust and 10 items in the unit of three states of the matter. 3.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to probe students achievement level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used rather than multiple choice type. The developed assessment instruments are as follows: 6 items(1 descriptive type, 1 discussion report, 1 portfolio, 2 lab reports) in the unit of elements in the earth s crust and 4 items(1 descriptive type, 1 concept map, 1 research project, 1 portfolio) in the unit of three states of the matt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f science teachers us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which a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y can make a lot of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in the unit of Elements in The Earth s crust and Three States of The Matter. 2. If one assessment instrument is used, its utility will decrease to be hasty.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catch the process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in this study. In spite of the same contents of science 1, science teachers can make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if they change context or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validity and can be used in the school effectively in the year of 20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