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단원 김홍도의 화조화 연구

Title
단원 김홍도의 화조화 연구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檀園 金弘道(1745-1806)는 풍속화와 진경산수화는 물론 도석인물화와 화조화 등다양한 장르에서 최고의 기량을 발휘한 화원화가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에 대한연구가 일부 장르에 국한되거나 생애 중심으로 다루어져 화조화가로서의 뛰어난업적이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김홍도 화조화의 작품세계를 구체적으로 부각시켜 보았다. 김홍도의 화조화가 탄생하게 된 배경에는 조선 후기에 유행한 진경산수화와 주변인물들의 취향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에 새롭게흥기된 天機論 등의 영향으로 탄생한 진경산수화는 김홍도가 화조화에 寫景的 요소를 가미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작품의 주된 수요자였던 正祖와姜世晃, 呂巷文人, 白塔詩派의 인사들은 김홍도가 전통적인 틀 안에서 독자적인화풍으로 변모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김홍도는 畵幅形態에 따라서 각기 다른 畵風을 구사하였는데, 이는 화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수요자들의 요구가 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大幅의 화면에 그려진 작품은 주로 장식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대부분 상징성을 지닌 꽃과 새가전통적인 구도로 그려졌다. 그러나 小幅의 경우 감상을 목적으로 하므로 寫景的인 요소와 김홍도의 독자적인 화법이 잘 나타나 있다. 扇面의 화조화는 긴 題詩를곁들인 문인화풍으로 그려졌는데, 이는 김홍도의 작품을 부채에 받아서 사용할 정도의 인물이면 당시 문인취향의 그림을 선호하던 계층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생각된다. 김홍도는 당시 사람들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던 꽃과 새를 화제로 택하여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구도로 자유롭게 구사하였다. 그 중 그의 독자적인 화법이가장 돋보이는 곳은 세부적인 표현기법 즉 필법과 묵법 그리고 설채법이라 할수 있을 것이다. 그는 탄력 있고 긴장감 있는 필치를 사용하였고, 묵법과 설채법은 이러한 필선의 아름다움을 가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강한묵점을 악센트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부드럽게 변하는 담묵의 효과적인 운용이 그의 묵법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설채법도 진한 광물성 안료보다 먹과 어우러지는 담채의 운용이 돋보인다. 이러한 작품분석을 통하여 김홍도의 화조화에 나타나는 특징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다양한 화풍을 배우고 익혀서 독자적인 화풍으로 소화하고 재창조하였다. 둘째, 그의 작품에 그려진 새에게서는 풍부한 운동감이 느껴진다. 셋째, 작은 화면에 그려진 경우에도 넓은 공간감이 느껴진다. 김홍도는 공간을확장시키기 위하여 화면 밖으로 날아가는 새를 삽입하거나 화면에 큰 흐름을 만드는 곡선으로 시선을 유도하기도 하고, 중경 너머로 시선을 끌어내거나 부감시를 사용하여 먼 거리에서 조망하기도 하고, 혹은 화면에서풍부한 대기감이 느껴지도록 표현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넷째, 그림을 통하여 청각적 이미지가 느껴지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주로 까치와 꾀꼬리를 화제로 삼은 작품에서 잘 나타난다. 다섯째,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김홍도의 화조화는 현재 전하는 작품이 많지 않고 진위여부도 정확하지 않아본고에서는 그의 진작임이 거의 확실시되는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므로, 같은 작품이 중복 설명되는 아쉬움이 있었다. 한정된 수의 작품으로 양식을 분석하고 유형별 분류를 시도하는 데서 오는 한계가 있었지만, 그의 대표작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좀 더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로 진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김홍도의 화조화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다소 편협하게 평가된김홍도의 회화세계를 보다 폭넓고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 Kim Hong-do(1745-1806) was a talented court painter in diverse genres including folk painting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paintings of Taoist and Buddhist figures, and even bird and flower paintings. However, studies on Kim Hong-do have so far been concentrated on only specific genres or centered around his biography. Thus, this thesis discusses and focuses specifically on Kim Hong-do s bird and flower paintings. It can be assumed that the popularity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and the preference of his patrons and friends have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outcome of Kim Hong-do s bird and flower painting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which was influenced by the late Choson s popularity of the theories of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天機),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realistic aspects of Kim Hong-do s bird and flower paintings. King Chong-jo (正祖), Kang Se-hwang(姜世晃), scholarly middle class(呂巷文人), Paek-tap poetry groups(白塔詩派) who were the main demanders of Kim s works also seem to have had considerable influence over Kim s characteristic painting style under a traditional form. Kim Hong-do s painting style seems to diff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intings 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different demands. On big screens, as they were mostly used as decoration, the paintings depicted symbolic birds and flowers in traditional composition. However, small screens were mostly painted for appreciation and thus reflected Kim Hong-do s characterisitic painting style. Fan Paintings with birds and flowers often accompanied colophon poems, were executed in the scholar-literati manner. Thus those who used fans painted by Kim Hong-do must have come from a class of people who appreciated the paintings of the scholar-literati culture. Kim Hong-do chose to compose his bird and flower paintings in a free manner unbound from tradition. Of his characteristic painting styles, the most noticeable point can be perceived as his detailed brushwork, and in his use of ink and color. Kim s brushwork was flexible and strained, and this brushwork did not drown his beautiful strokes. Thus, though strong ink spots were used as accents, soft strokes of light ink were successfully employed. In his use of color, instead of strong mineral colors Kim used light colors which harmonized well with ink. Five characteristics can be derived from close analysis of Kim Hong-do s works. Firstly, Kim learned and accepted many different styles and recreated them into his own distinct characteristic. Secondly, movement can be perceived from the birds on his paintings. Thirdly, even in small screens we can see wide distances. In order to extend the atmosphere in the painting, Kim Hong-do employed various methods such as including birds flying out of the painting, or excluding delineating the near distance and described the view from the middle to the far distance, and at other times, painting views from high levels. Fourthly, some paintings, particularly those depicting magpies and nightingales, Kim depended on the use of hearing. Finally, Kim tried to express his works realistically. There are not many extant bird and flower paintings by Kim Hong-do and among those which remain their authenticity remains to be resolved. However, this thesis discusses Kim s indisputable original works which brings about the discussion of repetitive works. Although there may be a limit in differentiating stylistic differences among a limited number of works, I believe this thesis sets out to introduce a foundation for a diverse and in depth study if his representational works. I hope that this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Kim Hong-do s painting world which has so far been prejudiced through the study of his bird and flower pain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