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담낭절제술로 진단된 담낭암에 대한 임상적연구

Title
담낭절제술로 진단된 담낭암에 대한 임상적연구
Authors
김영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원발성 담낭암은 담도계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조기 진단이 어려워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성 담도질환의 수술로 진단된 담낭암은 비교적 병기가 낮아 예후가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 고찰은 매우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담도질환의 담낭절제술로 진단된 담낭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방사선학적, 병리학적특성을 분석하고 담낭암으로 진단한 경우와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1993년 10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부속 목동병원에 입원하여 양성 담도질환의 수술로 진단된 담낭암 환자 19명과 담낭암으로 진단한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 중에서 양성 담도질환의 담낭절제술 중 또는 수술 후 병리조직 소견으로 진단한 군을 1군으로, 복부 초음파 검사 또는 전산화 단층촬영 등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조직병리 소견을 통해 담낭암으로 진단한 군을 2군으로 분류하여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두 군의 임상 증상과 신체검진 소견, 검사실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담낭암의 병기, 수술소견,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비교분석 하였다. 1) 담낭암의 임상증상은 제 1군에서는 우상복부 동통과 발열 및 오한의 증세가 우세하여 급성 염증성질환의 특성을 보였고 이병기간도 짧았다. 제 2군에서는 전신쇠약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만성소모성 질환의 증상이 우세하였다. 2) 제 1군의 복부초음파검사는 담낭암의 진단에 비특이적인 소견을 보였으며 미만성 담낭벽비후가 47.3%에서 관찰되었고 담석은 89.5%에서 동반되었다. 제 2군의 경우 전예에서 종괴나 불규칙한 담낭벽비후를 보였고 50%에서 담석이 동반되었다. 3) 담낭암의 병기는 1군이 I기 10.5%, II기 21.1%, III기 2.6%, IVb기 15.8%였고, 2군이 III기 8.1%, IVa기 32.4%, IVb기 59.5%으로 1군에 비해 진행된 병기를 보였다. 4) 근치적 절제술은 1군은 16예(84.2%)에서, 2군은 2예(10%)에서 시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양성 담도질환의 담낭절제술로 진단한 담낭암은 병기가 비교적 낮고 근치적절제율이 높으므로, 조기에 이를 진단하고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성 담도질환의 담낭 수술시 담낭 내외부의 세심한 관찰과 조직학적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며, 담낭염 등의 양성 담도질환의 조기 수술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Unexpected carcinoma of gallbladder(GB) can be found histologically in 1-2% of specimens after surgery of benign biliary disea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opatholog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expected GB cancer presumed benign biliary disease and compare it with GB cancer. The medical records of nineteen patients(5 males and 14 females, mean age: 64±9 years) with GB cancer diagnosed postoperatively(Group I: cholecystitis, 12 cases; GB empyema, 4 cases; cholecystitis with bile duct stone, 3 cases) and thirty seven patients(12 males and 25 females, mean age: 68±11 years) with GB cancer (Group II)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October, 1993 to March, 1999. 1) Clinical findings including right upper quadrant tenderness, fever, and chilling were predominant in group I and general weakness, anorexia, weight loss were predominant in group II. 2)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group I were not typical to detect GB cancer. At ultrasonography, 47.3% of group I revealed diffusely thickened GB wall and 89.5% showed gallstone. All of the group II had mass or irregularly thickened GB wall and 50% revealed gallstone. 3) The TMN stage of group I revealed relatively early stage compared with group II. 4) The curative resection was performed in 84.2% of group I and in 10% of group II. In conclusion, the stage of unexpected GB cancer revealed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curative resection rate was higher than GB cancer. Therefore, the careful and detail intraoperative histologic examination of GB should be performed and early surgical resection of GB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 with clinical features of benign biliary disease such as cholecystitis to detect early and improve prognosis of GB canc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