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청소년의 일상과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의 의미 :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대와 또래문화의 정체성

Title
청소년의 일상과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의 의미 :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대와 또래문화의 정체성
Authors
송은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 대상 오락 프로그램들은 청소년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청소년과 미디어와의 관계에 있어서 우리의 논의는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주는 일방향적인 영향력을 상정하고, 청소년은 미디어 텍스트를 그대로 수용하는 무능력한 수용자, 보호해야할 대상으로 그려졌다. 이 논문에서는 청소년 수용자를 바라보는 기존의 보호주의적이고 계도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수용자는 텍스트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자신이 처한 사회, 문화적 컨텍스트에 따라 다양한 해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청소년들이 미디어 텍스트를 그들의 삶과 연계시켜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그들의 일상에서 청소년 대상 라디오 프로그램에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에 주의를 기울인다. 특히 이 연구가 라디오란 매체에 주목하는 이유는 라디오가 청소년의 생활패턴과 유사해짐에 따라 청소년에게 친밀하고 공감대 형성이 용이한 매체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일상에서 라디오 청취형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둘째, 청소년들의 라디오 음악프로그램 청취는 청소년들의 정서적 공감대와 또래문화의 정체성 확인ㆍ강화에 있어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 셋째, 청소년들은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 청취를 통하여 진행을 담당하거나 고정 출연하고 있는 연예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넷째,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은 대안적인 텍스트로써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가? 이 연구는 대표적인 청소년 대상 음악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형식과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 뒤 민속지학적 방법의 하나인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사용하여 청소년들이 그들의 일상에서 라디오 프로그램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6명으로 구성된 그룹을 중심으로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청소년들은 라디오 텍스트를 일상적인 활동의 배경적인 매체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부할 때 라디오를 습관적으로 많이 청취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입시, 진학이라는 환경에 처해있는 청소년들이 라디오만을 전적으로 청취함으로써 느껴지는 죄책감을 상쇄하기 위한 전략으로도 보인다. 또한 청소년들의 라디오의 개인적인 청취형태는 부모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시ㆍ공간구축이란 의미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들은 라디오 프로그램을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청취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청소년들은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자신의 취향에 따라 프로그램의 내용을 변형시키면서 즐거움을 확장하기도 하고, 프로그램의 형식이나 내용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평가하기도 했다. 평가에 있어 청소년들은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의 오락, 흥미위주의 내용을 즐기면서도 프로그램이 지나친 오락성을 띄는 것에 대해서 비판했다. 청소년들은 라디오에서 제공되는 인기 연예인에 관한 사적인 정보, 유행어 등을 서로 이야기하고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청소년들은 다른 매체의 경험과 결합하여 이러한 정보를 주로 이야기하는 미디어 연예인 지향집단과 공부지향의 집단을 구별하였다. 더 나아가 청소년들은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데 반하여 즐김으로써 기성세대와 자신들을 구별해나고 있었다. 이는 모두 청소년들이 또래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해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들은 또한 지속적인 청취를 통하여 라디오 진행자나 고정출연진에 빈도 높은 노출과 라디오 토크의 비형식적이고 일상적인 면이 결합하여 이들 연예인들과 상상적인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그들과의 심리적인 거리를 좁혀나갔다. 라디오 텍스트의 내용은 주류적 가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청취자 사연코너를 통해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담을 합법적인 공간을 제공해준다는 점, 생방송으로 진행됨으로 인해 학교나 사회, 부모님과의 갈등 등에 대한 청취자의 사연에 대한 고정 출연진이나 진행자의 비판적인 멘트를 완전히 통제할 수 없다는 점은 여러 의견이 제시될 수 있는 라디오의 열린 텍스트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청소년들은 대안적인 텍스트로써 라디오에 한계를 표명했다. 청소년들은 라디오 텍스트가 청취자 참가코너를 통해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할지라도 실질적인 청소년 문제보다 다루는 주제들이 사랑과 같은 이성문제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 게이트 키핑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의견이 통제된다는 것 등이 청소년 대상 라디오 프로그램이 대안적인 텍스트로써 의미를 지니기에 갖는 한계라고 했다. 하지만 청소년들은 학교, 선생님 등 학교나 사회에 대한 자신의 불만사항을 표출할 수 있으며, 학교, 사회에 대한 저항적인 내용의 다른 청취자의 사연을 들음으로써 공통적인 경험에 기반한 저항감을 조성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대안적인 의미로써 라디오 텍스트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이와 같이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은 청소년의 현실과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인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일상과 연계시키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확인해나가고 있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olescents reading of radio music shows for adolescents. Our discussion regarding entertain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has concerned that these programs had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s emotion. Such a media-based view implys that adolescents shoud be protected from negative media content, ignoring that they can be active and autonomous subject. This study preconditioned that audience read media tex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 beyond the above point of view. It focuses on how the adolescents accept the media text and how they make various meanings from the media text in their everyday life. Especially radio has become familiar and emotional media to adolescents, so it pays attention to radio text. The question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what are adolescents radio listening patterns in their everyday life? Second, how is adolescents listening the radio music shows to related adolescence s emotional sympathy and the identity of peer culture? Third, which relationship do adolescent listeners have with Disk Jockeys and performers appeared in radio music shows? Fourth, do the adolescents regard radio text as and alternative tex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uses the unstructured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ethnographical methods. Adolescent listeners use radio as background media, that is to say, they habitually listen to the radio in the middle of studying. The adolescents listening habit seemed to the one of the strategies to escape from blaming them for not studying. Also listening to the radio provide them with their own time and space beyond their parents interference with them. Adolescent listeners accept the radio text very actively, they transform the media text according to their taste and preference and estimate radio format and content. Their estimate on radio music shows appears to be ironic. Though they enjoy entertaining radio shows, also criticize too much entertaining content. Adolescents form emotional sympathy by talking gossip with their friends about entertainers and slangs that appeared in radio shows. Beyond merely talking these, they distinguish the group which talk these, that is mediaㆍentertainment oriented group, from studying oriented group. Also the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older generation which judge the radio music shows for adolescents negatively by enjoying these shows. Such an adolescents reading way is to find the identity of their own culture. Adolescents have imaginary relationships with Disk Jockeys and performers who frequently appeared in radio shows, so they feel familiarity with entertainer. These relationships are resulted from adolescents habitual listening to the radio and radio s informal characteristic. Adolescents make narrow down the distance between Disk Jockeys, performers frequently appeared in radio music show and themselves. But they insist the radio text is not proper as alternative and resistant text. Even though listeners can reflect their own opinion through listener s participating segment, their voices are filtered by gatekeeping processes, and their real and serious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juvenile delinquency are not discussed much. However, the radio music shows are live, so they cannot be completely controlled. In addition, they can provide listeners with the space to complain of and to resist educational system, school and society. In conclusion, radio music shows are related to adolescents social condition. Adolescents accept the radio music shows according to their social context, and link them with their everyday life. Through these processes, they confirm the identity of peer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