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조선조 문헌의 평가를 위한 비교 연구 : 〈연려실기술>, <대동야승>, <성호사설>, <택리지>를 중심으로

Title
조선조 문헌의 평가를 위한 비교 연구 : 〈연려실기술>, <대동야승>, <성호사설>, <택리지>를 중심으로
Authors
이혜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조선조 문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각 문헌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문헌으로는 『朝鮮王朝實錄』, 『燃藜室記述』, 『大東野承』, 『星湖僿說』,『擇里志』를 선정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와 실사를 통하여 각 연구대상의 저자, 저술시의 시대적 상황, 체제, 저술 범위 및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乙卯士禍, 東西分黨, 禮訟論爭이라는 세 사건에 대한 記事 內容을 사건별로 비교 분석하여 서술방식, 서술태도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각 연구대상 문헌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 문헌을 분석,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려실기술』은 李肯翊이 18세기 실증주의적인 사조와 새로운 역사의식이 고조된 사회적인 배경에서 저술한 野史이다. 이긍익은 체계적인 역사 서술을 위하여 기사본말체 라는 편찬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原集」,「別集」, 「續集」으로 나누어 편찬하였다. 서술방식면에서는 여러 문헌들을 인용하여 서술하고, 그에 대한 인용서목을 밝혔다. 그러므로 『연려실기술』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실증적으로 체계화한 야사로서 그 가치가 있으며, 조선시대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史料로 이용할수 있다. 둘째, 『대동야승』은 野史, 逸話, 笑話, 漫錄, 隨筆등 여러 사람들이 저술한 59종의 작품들을 수록한 野史의 叢書이다. 편찬자나 편찬년대는 미상이나, 대체로 숙종말에서 영조조 사이에 편찬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대동야승』에서는 조선초부터 인조조까지의 작품들을 저술년대순으로 수록하고 있는데, 각 작품들은 제각기 고유한 특성 및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들은 『대동야승』이나 수록 작품에 대한 기존의 해제를 참고하여 연구주제에 적합한 작품을 잘 선택해서 이용해야 한다. 셋째, 『성호사설』은 李瀷이 독서나 체험을 통하여 생각하고 깨달은 것이 있을 때마다 기록해 둔 글들을 그의 나이 80세에 이르렀을 때 조카들이 정리한 類書이다. 크게 天地門, 萬物門, 人事門, 經史門, 詩文門의 다섯 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700칙의 항목에 관한 글을 싣고 있다. 각 항목에서는 정치, 사회, 문화, 지리, 풍속, 언어, 역사 등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이익의 견해도 서술하고 있어 이익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할 때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성호사설』은 역사학뿐만 아니라 철학, 교육학, 정치학, 경제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넷째, 『택리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인 李重煥이 약 30여년 간에 걸쳐 함경도와 전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의 전역을 돌아다니면서 저술한 地理書로서, 『東國與地勝覽』을 대표로 하는 百科事典식 地誌에서 탈피하여 크게 네 부분, 즉 四民總論, 八道總論, 卜居總論, 總論으로 구성되어 있는 새로운 유형의 지리서이다. 『택리지』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답사를 통해 얻은 귀중한 체험을 토대로 하여, 사람과 자연을 관련시켜 이론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지리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지리서이지만 지리를 비롯한 역사, 경제, 사회, 교통, 인물, 정치, 국방, 풍속등 여러 분야를 다루고 있으므로, 지리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선조 문헌의 비교 평가 방법은 첫째, 개별 문헌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둘째, 평가의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고, 셋째,각 문헌의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고, 넷째, 문헌간의 상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 방법은 조선시대 이전에 간행된 문헌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연구대상 문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intent of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representive literature of Choson(朝鮮) dynasty. A comparative review was done between several literatures selected for this study and in accordance, these individual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comparative review method of literatures of Choson dynasty presented in this paper has multiple significance. First, compared to reviewing each individual literature, it is capable of a more objective assessment. Second, actual proof of assessment can be presented. Third, the unique character and value of each literature can be clearly appraised. Last, a relative assessment between the literatures is possible. Moreover, this review method can be applied to literature published before Choson dynasty period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kinds of literatures to be reviewed. Four literatur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Chosonwangjosilnok(朝鮮王朝實錄)』, 『Oy?nly?sikisul(燃藜室記述)』,『Tedongyasung(大東野乘)』, 『Songhosaol(星湖僿說)』 and 『T aekniji(擇里志)』,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ctual examination, each selected literature s author, circumstances of the publication period, its scope and contents were reviewed. Articles pertaining to three events, Kimtosahwa(己卯士禍), Tongsobundang(東西分黨) and Yesongnonjaeng(禮訟論爭), were selected from these four literatures and these artic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study their method of description and their point of review. Then, combining all the above particulars, each literature was reviewed individually. The result of the review and the analysis done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yonlysikisul(燃藜室記述)』 is an unofficial history written by Yi Kungik(李肯翊) throughout his life. Born in the family of Soron(少論), Yi Kungik wrote 『Oyonlyosilkisul』 in three parts; 「Wonjip(原集)」, 「Pyoljip(別集)」 and 「Sokjip(續集)」.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eighteenth century, when this was written, was flourishing with positivism and elated new historical insight. In writing 『Oyonlyosilkisul』, the author cited and described other literatures. In doing so, he depicted history in a positive organizing Korean history and can be us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 in studying the Chos?n dynasty era. Second,『Taedongyasung(大東野乘)』 is a collection of 59 works of unofficial histories, anecdotes, funny stories and essays written by various authors. The compiler and the compilation date is unknown, but it is assumed to have been published between the late King Sukjong(肅宗) period and Yongjo(英祖) period. In 『Taedongyasung』, works are listed according to their written date and these written dates very from early Choson to King Imjo(仁祖) period. Because each work collected in 『Taedongyasung』 has uniqu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its own, those researchers intending to uer 『Taedongyasung』have to select and use the works that best suit their research subject. Third, 『Songhosasol(星湖僿說)』is a collection of similar writings by Yi Ik(李瀷) detailing his thoughts and enlightenment that he gained through his reading and experiences, which his nephews organized through into a book when he was eighty. These writings are broadly categorized into five parts; Ch onjimun(天地門), Manmumlmun(萬物門), Insamun(人事門), Kyongsamun(經史門) and Simunmun(詩文門). These are further categorized into 3,700 items. Each item describes politics, society, culture, geography, customs, language and history, and his opinions on these subjects are also included. Therefore, 『Songhosasol』 is important for studying Yi Ik s thoughts and ideas as well as being a basic material for studying Yi Ik s studies. 『Songhosasol(星湖僿說)』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ing not only history but also other subjects, such as philosophy, education, politics and economics. Fourth,『T aekniji(擇里志)』 is a geography book written by Yi Chunghwan(李重煥), a realist scholar of late Chos?n. The author wrote this book by actually traveling to most of Korea, except Hamkyong-do(咸鏡道) and Cholra-do(全羅道), for 30 years. Breaking away from the encyclopedic topography best represented by 『Tongkukyojisungnam(東國與地勝覽)』, it is a new kind of geography organized in four parts; Saminch ongnon(四民總論), P aldoch ongnon(八道總論), Pokgoch ongnon(卜居總論) and Ch ongnon(總論). 『Taekniji』 is important in geographic history in that it developed a theory involving both humanity and nature based on experience gained through scientific and actual exploration. Even though it is a geography, it also encompasses other areas such as history, economy, society, transportation, politics, defense and customs, and thus can be used in areas of study other than geography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