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수행평가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Title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서의 수행평가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uthors
허수연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과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했는지의 여부는 교육평가의 방법과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수행평가는 새롭게 변화된 학습관으로 인해 기존의 평가에 대한 대안적 평가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안평가로서의 수행평가를 음악교과에 접목시킴으로 고등학교 음악교육 평가를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 수행평가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평가에 대한 반성과 학습관의 변화, 그로 인한 대안평가의 필요성과 수행평가의 정의와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음악교육의 특징과 평가의 문제점을 통한 바람직한 음악과 평가 방향을 설정하였다. 특히, 연구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제7차 고등학교 음악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수행평가의 기법별 적용예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의 결과 뿐 아니라 학습과정도 중시하는 평가방법으로, 수행평가의 기법에는 서술형·논술형 검사, 구술시험, 찬·반 토론법, 실기시험, 실험·실습법, 면접법, 관찰법, 자기평가 보고서,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 등이 있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새로운 기법이라기 보다 기존에 사용되던 평가방법으로서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수행평가의 특징을 살려 각각 사용하거나, 상호보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의 결과뿐 아니라 과정까지 중시하는 수행평가는 획일적 방법에 의해 평가받지 못한 학생의 음악적 능력의 성취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얻게 된 태도 및 가치관에 대한 감정적 영역의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평가상황이 통제된 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지속적 평가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학생 개개인의 음악적 능력의 변화·발달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학습자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다. 셋째, 학습한 내용에 대한 인지한 사실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정신운동적 영역에 대한 전인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그 과정을 통해 창의성이나 문제 해결력 등의 고등 사고기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므로 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의미있는 음악교육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수행평가는 평가결과의 신뢰도를 구축하기 어렵고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교사의 노력이 많이 요구되므로 이 연구자는 고등학교 수행평가가 현장에서 시행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평가결과의 신뢰도 구축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채점오차를 최소할 수 있는 준거, 목표, 채점기준표 등을 세밀하게 계획하여 작성하고, 체계적인 채점 절차를 개발하며, 하나 이상의 척도를 만드는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의 다양한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여야 한다. 한 영역에 대한 학생의 음악적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방법에 의한 결과가 축적되어야 한다. 셋째, 음악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가 교육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고 교사 1인당 학생수를 줄이며, 통합된 교육내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평가체제가 마련된다 하더라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해가 없이는 원래의 의도대로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교사의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질적 향상과 학부모의 바람직한 교육관, 학생의 긍정적인 사고체제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와 같은 수행평가에 의한 음악 교과에 대한 평가는 심도있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현장 적용을 위한 지도모형, 채점방안 및 효율적인 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The achievement of course s aims depends on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 assessment. Recently, newly changed perspective of study make appear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which is a desirable assessment metho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mprove the music assessment in high school, with an applic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s an alternative assessmant.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assessment. I suggested the advisable direction of the music assessment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The repentance about the traditional assessment and the changed perspective of study make an appearenc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I defin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presented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assess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I presented the applications of the performence assessment followed by the 7th revised music curriculum for high school.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the assessment method emphasized on study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 in the condi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method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re descriptive and statement test, oral test, approval-opposition discussion, performance test, experiment-practice, interview, observation, self-evaluation report, study paper, portfolio. This kind of the assessmental method is a new perspective rather than new technique. This assessment method is used seperately or mutually compl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first,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possible to assessment of the affective domain disregarded in music area because of uniform education in the past. The second, it is able to recognize the variety of learner and to asses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usical ability for individual learner synthetically. The third, it provides a meaningful music education to student through the assessment of psychomotor domain included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is difficult to build a reliability, and requires the teacher s time and effort. Therefo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 suggest as follows : The firs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result must be studied. The second the information of various assessment result about student must be stored. The third, in order to concentrate on the class activity, the balanced percentage of student and teacher is inevitable. Even though, the perfect system for the assessment is prepared, if the teacher does not understand the purpose, if is useles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acher, the desirable educational perspective of parent, possitive thinking system of the student have to be followed. The study of music assessment by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not enough in depth and width. Therefore, I hope the teaching model for on-the-spot application and an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ar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