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순-
dc.contributor.author허인영-
dc.creator허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3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f children and to help one to intervene in the problem of children who have runaway parent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children s mal-adaptive behavior which is caused by parents runaway in a poor family. Especially, I would like to research into children s mal-adap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broken pattern of a family. The subject of study is 81 children who are using an afterschool program in poor areas and have runaway parents. I examine about them with a questionnaire, and analyze data with a technical statistics method and a ayllogistic statistics analysis method. The significant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 The mal-adaptive behavior of poor children who have runaway parents is effected by children s personal nature, guardians nature, guardian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and family s broken pattern.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guardians and children and the broken pattern of family have a strong effect to the degree of children s mal-adaptive behavior. First, most parents runaway are caused by an economic problem. In the case of runaway parents, the cases of 58% is mother. By this, many children live with their father. Children of 32% live with their grand parents or with others. Second, in the time of a runaway, the cases of 37.5% leave a home before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cases of 37.5% leaves in the period of a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parents runaway is done before 12 years old. In the period of a runaway, most cases (54.4%) have over 4 years runaway period, the cases of 33.3% have 2-3 years and the cases of 13.6% have over 5 years runaway period. Third, children s mal-adaptive behavior is very significant effect in general. Misconduct is appeared very highly in the mal-adaptive behavior. Forth, in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liable and children s mal-adaptive behavior, children s sex, children s age, guardians academic background, the existence of a job, the existence of an income, and the period of parents runaway are appeared as a factor to the relationship. Futhermore, the mal-adaptive behavior is appeared highly to men and high grade students rather then women and low grade students. In the character of a guardian, guardian s low academic background and job are appeared as a significant effect to children s misconduct. The mal-adaptive behavior is high in the case of guardian who has an income. In the pattern of a broken family, the mal-adaptive behavior is appeared highly to a child who has a long period of parents runaway. In the relationship of a child, if a child is brought up other persons, the aggressive behavior is appeared highly. A misconduct and an aggressive behavior are effected by the period and the time of parents runaway. The degree of aggressive behavior is appeared highly in the short period of a runaway. The degree of a misconduct is appeared highly in high grade students. In an aggressive behavior, the mal-adaptive behavior is high before and after 7 years old of a preschool period.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would like to several proposals to intervene of a social welfare activity about poor children who have runaway paren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parents runaway is caused by an economic condition. However, the mal-adaptive behavior of poor children is appeared highly in the case of guardians who have an income. It shows that there is no guardian to care a child in a family, because one side guardian beside runaway parents works on his or her job. For this, living guidance and an adaptation training program are necessary for a child who has no guardians in his or her family to take a role of parents adequately. Second, the absence of stable and continual nursing person by parents runaway during the early period of a child who needs parents or nursing persons care have an serious and negative effect to a child. In the short term of parent s runaway, the mal-adaptive behavior is appeared highly. It show that the more grade is high, the more mal-adaptive behavior of a child is connected with a misconduct. Therefore, in case of parents runaway recently, one tries to reduce the mal-adaptive behavior of a child with the understand of a child nature and with a psychological and an emotional intervention. Third, most guardians in poor areas are hard to get an inform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family, and tend to solve the problem by themselves or to depend upon a non-official support system, because they are uneducated or have only a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y need a support system to get an information about special organizations and local society s resources. According to the result about the mal-adaptive behavior of a poor broken family s children, I would like to mention some proposal clinically. As parents support, when a child is brought up by one parent or a relative, the training of parents role, the service of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cluding counselling, and the information about local society s resources have to be offered to them. As children support, preventive program, making a connection ( learning guidance or support ), and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to reduce the unadaptation in the crisis condition of a poor and broken family. However, it must be done by total and systematical intervention to see the children problems with the perspective of a poor and broken family. First of all, family take the responsibility of nursing a child. Because family give most adequately condition to a child for his or her growth.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family take the responsibility of all problems of children. Especially, if family can not give an adequately condition like a poor and broken family, government has to support them with a systematical support. In modern society, family dismemberment like an industrial accident, a traffic accident, disease, and divorce and separation is increased, and a broken family is increased in low income poverty family. Therefore, I think that they need a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ir desire as well as an economic support. Especially, children who are absolutely protected by parents need a service or a program to substitute the absence of parents or the absence of family s function. The mal-adaptive behavior of poor and broken family s children has to be dealt with the systematical support to support an adequative social activity in a psychological and social crisis condition of an economic poverty over the dimension of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unadaptive appearance. ; 본 연구는 가난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빈곤가정에 있어 부모의 가출로 인한 결손이 아동의 부적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아동을 이해하고 가출부모를 가진 아동의 문제에 대하여 개입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특히 가족의 결손유형에 따른 아동의 부적응행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빈곤지역에서 공부방을 다니고 있는 아동 중 아버지나 어머니 또는 부모가 가출한 가정의 아동 81명을 그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술적 통계방법과 추론적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출부모를 가진 빈곤아동의 부적응행동에 아동의 개인적 특성, 보호자의 특성, 보호자의 사회경제학적 특성 및 가정의 결손유형 모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보호자와 자녀와의 관계와 가정의 결손유형이 부적응행동 정도와 매우 강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가출부모의 가출원인은 경제적인 문제로 가출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가출한 부모 중 어머니가 58%가 어머니였으며 이로 인해 아버지와 함께 사는 편부가정이 많았고 어머니 외에 조부나 조모와 기타 다른 사람과 함께 살고 있는 경우도 32%나 되었다. 둘째, 가출기간과 가출시기를 보면 초등학교이전에 이미 62.5%가 가출하였으며 초등학교 시기에 37.5%가 가출하여 아동연령 12세 미만에 대부분의 부모 가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출기간을 살펴보면 부모가 가출한지 4년이상 된 가정이 54.4%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가 가출한지 2-3년 된 가정이 33.3%, 가출한 지 1년 미만인 경우도 11.1%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아동의 부적응행동은 대체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중 비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립변인과 아동의 부적응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성별과 나이, 보호자의 학력, 직업유무, 소득유무, 부모의 가출기간 등이 관련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나이와 학년이 높을수록 부적응행동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호자의 특성으로는 보호자의 학력이 낮을수록, 보호자의 직업이 있을 경우 비행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소득이 있는 경우 부적응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가족의 결손유형으로는 부모의 가출기간이 길수록 전체 부적응행동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모가 아닌 타인에 의해 양육될 경우 부적응행동에서 공격행동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가출시기와 가출기간에 대하여 비행과 공격행동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는데 가출기간이 단기간일수록 공격행동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출시기에 있어 학년과 나이가 많을수록 비행정도가 높았으며 공격행동의 경우 자녀가 취학 전인 만 7세 전후에 가출한 경우 부적응행동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가출부모를 가진 빈곤가정아동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출의 원인이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빈곤 가정에 있어 소득활동에 종사하는 가정의 아동의 부적응행동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가출한 부모 외에 한쪽 보호자가 소득활동에 종사함으로서 가정 내에서 실제적으로 아동을 돌봐줄 보호자가 없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가정 내 보호자가 없는 가정의 아동을 위하여 적절한 부모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지도와 적응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부모(양육자)의 적절한 양육과 보호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아동초기에 부모의 가출로 인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양육자의 부재는 아동에게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조사결과에 부모의 가출기간이 단기간일 경우 아동의 부적응행동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의 학년이 높아갈수록 아동의 부적응행동이 비행과 연결되므로 부모가 최근 시일에 가출한 경우, 아동 특성을 이해하여 심리·정서적으로 개입해 아동의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빈곤지역의 가출부모가 있는 가정의 보호자(양육자) 대부분의 교육수준이 무학이나 초등교육수준에 이르므로 가정내외 위기발생이나 문제발생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취득의 어려움이 많고,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 경우나 비공식적인 지지체계에 의존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 빈곤결손가정에 대한 전문기관 및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이상을 정리하여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부적응행동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임상적인 제언을 하면, 부모지원으로서 편부모나 친척에 의한 양육시 이들에 대한 부모역할훈련, 상담을 포함한 심리정서적 지원 서비스,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며, 아동에 대한 지원으로는 빈곤결손의 위기상황에서의 부적응 감소를 위한 예방적 프로그램, 결연(학습지도,후원 등), 심리정서적 지지체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빈곤결손가정이라는 가족체계 내에서 아동의 문제를 볼 수 있는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아동양육의 책임은 1차적으로 가족과 가정에 있다. 이는 아동에게 가장 적절한 성장 환경이 가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가정의 아동문제를 전적으로 가정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아니며 특히 빈곤결손가정의 경우 그 가정이 아동이 성장하는데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면 국가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질병, 이혼 및 별거 등과 같은 가족해체가 증가되고 있고 저소득층 빈곤가정에 있어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미루어 볼 때 경제적인 지원 외에 이들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특히 부모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아동에게는 부모의 부재나 가정의 기능적 결손을 대신할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부적응행동은 아동 개개인의 심리정서적인 부적응현상으로 이해되는 차원을 넘어서 경제적인 빈곤 상황과 결손이라는 심리사회적인 위기상황에 적합한 제도적, 사회사업적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제공되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뒤따라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ⅴ Ⅰ. 서 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빈곤과 아동 = 5 2. 결손가정과 아동 = 7 (1) 결손가정의 개념 = 7 (2) 결손가정의 발생원인 및 특성 = 8 (3) 우리나라의 결손가정의 현황 = 9 3. 부적응행동 = 10 (1) 부적응행동의 개념 = 10 (2) 부적응행동의 특성 = 12 (3) 부적응행동의 요인 = 14 (4) 빈곤결손가정아동의 부적응행동에 대한 선행연구 = 17 4. 연구의 분석틀 = 20 5. 연구문제 = 21 Ⅲ. 연구방법 =22 1. 조사대상 = 22 2. 조사방법 = 22 3. 조사도구 = 23 4. 분석방법 = 24 Ⅳ. 연구결과 = 25 Ⅴ.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61 부 록 = 65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405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빈곤결손가정아동의 부적응행동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출부모를 가진 아동에 대하여-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