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여성배제 구조와 저항에 관한 연구 : PC 통신을 중심으로

Title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여성배제 구조와 저항에 관한 연구 : PC 통신을 중심으로
Authors
이선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화 사회에서 첨단적인 정보의 통로이며 새로운 권력의 장으로 이해되고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즉, PC통신에 대한 여성들의 참여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제반의 사회적 질서와 요인들에 의해 실제로 사용자로서의 여성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위치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술에 대한 낙관적이거나 비관적 전망과 같은 논의들은 사이버공간이 갖는 기술적 특성에 근거한 추측으로 실제적으로 이러한 전자기술을 사용하는 사회성원들의 내부적 상호작용에 의한 변형 가능성과 이에 따른 함의를 놓치게 된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이러한 예측들이나 전망들 보다 더 주목해야 할 것은 실제로 통신공간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의 경험이다.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은 실제로 기술이 적용되는 과정에서 여성을 둘러싼 사회적 현실과 상호작용하며 어떻게 변형되어가는가, 또 그 과정에서 여성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고, 위치되는가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것은 새로운 전자기술이 여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과정에 어떻게 개입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적 관점과 전략을 수립하게 하는데 연구의 출발점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정보 통신 서비스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이러한 서비스의 내용이 사회적 성별분업적 질서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 PC통신 내에서 여성들의 자유로운 활동과 요구, 정보의 생산을 위축시켜, 능동적 생산자로서의 여성을 억압하고, 지속적으로 소극적 소비자로서 위치시키게 하는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여성들로 하여금 현재 구성된 정보의 방향을 지지하고 지속적으로 소비자로서 현실에 안주하도록 기존의 여성으로서의 역할과 지위를 재생산하는 요인들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PC통신 내의 남성 주도적 질서에 저항하여 자신들의 공간을 구성하고, 자신들 스스로에 의한 대안적 정보를 구성하는 여성들의 활동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들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들과 이러한 활동들을 통한 통신공간 내 여성 운동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한다. 연구대상은 PC통신을 이용하는 주 사용계층인 20-30대의 여성들로서 그들의 통신사용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면접과 온라인대화, 전자메일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동시에 여성들의 통신사용경험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사회적 요소들과 실제 사용자들의 현황파악을 위해 기존의 문헌들이 사용되었다. 부가적으로는 연구대상들의 PC통신 내 게시판에 올려진 게시물들과 일반 사용자들의 여성관련 게시물, 그리고 각종 신문 자료를 보조적으로 참고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제공되고 있는 PC통신 서비스의 구성과정과 그 내용이 현실세계에서의 성별분업적 사회 질서를 내재하고 있음으로 인해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기존의 질서를 그대로 학습시킬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PC통신과 같은 기술공간을 자신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남성사용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플레밍과 온라인 성희롱 등의 남성중심적 적대적 문화는 여성들로 하여금 자유로운 의사표현과 대안적 정보의 생산과 소비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능동적인 정보사회의 참여자가 아닌, 수동적 존재로 구성된다. 여성들의 정보 소비자화 과정에 개입하고 있는 남성중심적 환경과 성별 분업적 정보의 수용 및 소비과정의 모습은 이미 사이버스페이스 내부가 기존의 사회적 질서체계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이러한 여성들의 현실이 그러나 사이버공간이 갖는 필연적 특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통신을 사용하면서 경험하게되는 불평등한 현실에 반발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 활발히 노력하는 여성 모임이 구성되고 있으며 현실공간의 여성단체와의 연대를 위한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위에서 연구된 바와 같이 사이버 공간은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구성된 공간이며, 기존의 사회적 질서의 연장선상에 존재하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가능성이 시도되고 있는 정치적 실천의 장의 가능성도 존재하며 실제로 이러한 노력들이 실현되고 있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의 질서를 변화시킬 대안적 장으로서 사이버공간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 사용자들의 참여로 인한 정치적 맥락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수많은 여성들의 개입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통신내에서 변화를 위한 활동을 위해서는 실제로 통신을 사용하고 있는 여성들의 내부에서의 조직화 노력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 존재하는 많은 여성단체들의 개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성들의 참여가 증가되어야 하며 따라서 다음과 같은 현실적이고 정책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첫째,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설비의 정책적 지원, 둘째, 통신 사용자들의 접근을 용이하도록 하는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컴퓨터 관련 여성학자와 전문가 육성의 제도적 지원 특히, PC통신 서비스의 네트워크 경영 과정에서 여성에 의한 인터페이스 설계·공급, 셋째,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전문 정보제공업체의 육성과 이를 위한 여성단체의 연대의 필요성이다. ; This study examines women s experiences in the cyberspace, particularily in computer online communications. The use of computer network has became increasingly popular in Korea. Academic researches about technological changes and the social implications of computer networking have proliferated.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women s experiences and the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 to technology.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how new electronic technology will change society based on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Negative or positive presuppositions have resulted on overlooking the implication of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by user communications in cyberspace. Cyberspace does not exist in a vacuum, it is intimately connected to numerous real-world institutions and systems that thrive on gender separation and hierarchy. Thus this study aim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ew electronic technology on women and to establish alternative strategies how women can intervene cyberspace. This study has raised four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ajor services which women like to use? It can be possible to expose that gender separatism in cyberspace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commercial information services. Second, this study examines what factors oppress women user s activity and expression of their own needs or interests. Hostile environments in cyberspace make women user locate only passive information comsumer. Third, what are the factors make women users to support existing social order and to reproduce the women s role as well in cyberspace? Fourth, how it can be possible to women user construct the space by their own way and to product alternative informations in cyberspace? In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a revives of interviews, such as face-to-face interview, online chatting and E-mail, of women the age of 20-30 who use personal computer network. This study have also used the secondary existing data for understanding social factor that impact women user s experiences of computer networking, and for showing the user s actual conditions. As supplementary material, this study have referred women s writing on online interest groups s bulletin board and the general user s writing about women users. This material can shows about contents of women user s communication and general user s understanding of women user under the online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contains gender-separatism. It may result that reproduce existing real world hierarchy also in cyberspace. Second, male-centered culture(like flaming or online-harrassment etc.) in cyberspace make women users to locate only negative information consumers because it may perceived women users to be horrible experiences. These processes make construct women users which can not be only an alternative information provider but also locate passive information comsumer. So women user is undervalued in cyberspace. These macho-culture and the gender-specific information distribution show that social hierarchy of real world is reproduced in cyberspace. Third,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women user s experiences are resulted by essential nature of cyberspace. These days women user make solidarity for their demand of change in cyberspace. So many women make effort to expand their territory on the net through coalitions and alliances with diverse women groups. Any new possibilities imagined within the cyberspace must first acknowledge and fully take into account the implications of its founding formations and present political conditions. This being so, it can be seen as a radical act to insert the word of feminism into cyberspace to interrupt the flow of masculine codes by boldly declaring the intention to provoke and infect the male order of things by politicizing the environment of the network. And it must remembered that more the information on the network can be contextualize politically and linked to practices, activism and conditions of every day life, the more it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helping to connect and mobilize people. Creating more positive and complex images of women which break the gendered codes prevailing on the cyberspace takes many smart heads and there is richly suggestive feminist researches avail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