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소윤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숙
Abstract
It is a normal trend in this country that elderly staying home under community systems are suffering from poverty and inadequate family functions, and the existing domiciliary care have not provided comprehensive support satisfying the elderly s desires. With those reasons, they became to raise their voice demanding more various and sufficient welfare services from the government as well as from the people close to them. As the number of older people with diverse desires is increasing,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satisfying lives, this study will explore a basic concept concerning social supporting system which has been widely in practice.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analyzed support sources and support types using functional aspect based on subjective perspective. To do that, social support sources are divided into formal support sources and informal support sources. The formal support sources include social welfare specialists, district office workers and doumi , social workers and volunteers. The informal support sources have four different parts; family, relatives, neighbors and friends. Also the social support style is summarized into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s. 172 people listed on the in home service center were interviewed for the study through purposive sampling. Raw data collected was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outcome is explained as follows. The total average level of the life satisfaction calculated was 2.23, which are far below the mid-point 3.00 out of 5.00 in full scale. The total average social support was 2.02, also lower than the mid 3.00 point. In detail, a fact was found that the average instrumental support was 1.87 and emotional support was 2.17, explaining the research objects are currently getting more emotional supports than instrumental. In terms of instrumental support, doumi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upport level of 2.47 and the next was family 2.23, social workers 1.94, district office workers 1.83, volunteers 1.71, relatives 1.61, friends 1.59, and neighbors 1.56. The average points of the five sub-emotional supports are doumi 2.69, social workers 2.55, family 2.30, friends 2.17, volunteers 2.12, neighbors 1.92, relatives 1.85 and district office workers 1.75.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relations between demographic features (sex, age, education, religion,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levels of the research object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first four demographic factors did not provide positive significance except for health . The outcome of the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which there was no discrimination of social support (instrumental and emotional) express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social workers and neighbors significantly expla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objects. Anoth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on the aspect of instrumental support is also telling us that the support of neighbors and the support of social workers are providing stronger explanation than the other social support sources do. The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emotional support has the same outcome as previous one that social workers and neighbor are more influential in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than the other six social support sources. In summery,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one demographic factor of ‘health’ and two social supports of social workers and neighbors are important features that have deep rel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of in-home welfare objects. From the fact found, we have to realize that more proper medical services must be provided. Also, to gain an ultimate goal of an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objects, strong efforts should be made by social workers. To achieve the goal, a prerequisite that the social workers in charge need to have clear understanding on informal supports as well as formal supports is absolutely necessary. ;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 노인은 빈곤이라는 문제와 함께 취약한 가족 기능의 문제가 겹쳐 매우 복합적인 서비스 욕구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가복지서비스는 노인들의 이러한 욕구에 부합하여 포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 기관이나 하나의 서비스 체계에 의해 실현될 수 없는 복합적인 욕구를 지닌 노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지역사회내에서 만족할 만한 삶을 영위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해,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 활용에 대한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측면들이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재가복지전담 사회복지사의 재가복지서비스 수혜노인에 대한 전문적 개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를 수혜자의 주관적 인지에 근거한 기능적 관점에 근거하여 지지원천과 지지유형을 분석하였다.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노인의 사회적 지지원천을 크게 공식적 지지원천과 비공식적 지지원천으로 나누고, 공식적 지지원천에는 공공부문의 서비스 전달자인 동회직원과 가정 도우미를 포함시키고 민간부문의 서비스 제공자로 재가복지 서비스 전달 인력인 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로 나누어 보았다. 비공식적 지지원천은 가족, 친척, 이웃, 친구로 나누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은 도구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재가복지봉사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요보호 노인으로 총 172명을 표집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1986년 최성재가 개발한 생활만족척도와 김효심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통계기법으로는 단순 기술통계법, 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법, 다중 회귀분석법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한 생활만족도 점수는 5점 척도 기준에 평균 2.23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2. 사회적 지지의 전체 평균값도 5점 척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2.02 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적 지지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도구적 지지의 평균이 1.87점, 정서적 지지의 평균이 2.17점으로 조사대상자들은 지지원천 들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구적 지지 측면에서 가정도우미의 도움수준이 제일 높게 평가되었다. 그 평균값은 5점 기준에 2.47점이고, 그 다음으로 가족은 2.23 점, 사회복지사 1.94점, 동회직원 1.83점, 자원봉사자가 1.71점, 친척이 1.61점, 친구가 1.59점, 이웃이 1.56점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서적 지지 측면에서 본 지지원천의 평균값은 가정도우미가 2.69점, 사회복지사가 2.55점, 가족이 2.30점, 친구가, 2.17점, 자원봉사자가 2.12점, 이웃이 1.92점, 친척 1.85점, 동회직원이 1.75점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 생활보호 형태와 생활만족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건강수준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4.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예측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복지사와 이웃의 지지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두 변수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사회복지사의 지지가 (Beta .4268)가 이웃의 (Beta 값 .3169 )지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도구적 지지 측면에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웃의 지지(Beta .2911)와 사회복지사의 지지(Beta .2798)로 나타났고 이중에서 생활만족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웃의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정서적 지지 측면에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복지사(Beta .3688)와 이웃(Beta .2480)의 지지인데 이중에서 생활만족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복지사의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7.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중에서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예측하기 위해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활만족도를 설명해 주는 변수는 사회복지사의 지지와 이웃의 지지, 건강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변수 중에서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사회복지사의 지지(Beta .3772)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웃의 지지(Beta .3084), 건강수준 (Beta .2867) 순이었다. 따라서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조사대상노인의 건강수준과 재가복지 전담 사회복지사의 지지, 그리고 이웃의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이는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노인에게 적절한 의료적 서비스가 제공되어 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가복지 전담 사회복지사는 공식적 지지체계와 비공식적 지지체계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개입을 통해 재가복지 서비스 수혜 노인들의 복합적인 욕구에 대처하기 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