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을 응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Title
컴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을 응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Authors
유지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는 다원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예술의 각 장르들은 서로의 영역을 수용하면서 표현의 가능성을 넓혀가고 있다.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현대사회를 반영하는 눈으로서 복식의 효과적인 전달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표현으로 인간의 정서와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조형예술로 발전하였다. 현대의 다양한 기호를 반영하는 한 수단으로서 여러 장르가 복합된 입체적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풍부한 표현성을 지닌 분야로서 점차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오브제를 도입한 작품은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인식으로 전환된 대상에 의해 강력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며 회화적인 표현과 결합되어 예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컴바인 페인팅을 응용하면서 오브제 의상의 드레이프성을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소재로서 활용하여 동세와 볼륨감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또한 오브제 의상의 고형화 작업을 통한 입체조형을 회화적 표현과 결합시킴으로서 공간감과 회화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의 패션이미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브제의 인식 전환적 특성을 바탕으로 예술적 표현방식을 통해 의상의 순수한 입체 조형성을 다양한 모습으로 깊이감 있게 표현하고 순간의 감각적인 이미지가 아닌 인간의 정서를 담은 패션이미지를 전달함으로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예술적 표현영역을 확대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컴바인 페인팅의 예술적 형성과정과 특징 그리고 미술사적 배경에 대해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고 컴바인 페인팅과 채색조각의 작품세계를 살펴보았으며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입체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정과 표현기법을 연구하였고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입체적 표현에 대해 문헌 및 사진자료를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물의상들을 정적이고 역동적인 포즈로 고형화하여 그 위에 직접 채색을 함으로써 예술적 표현성이 강하고 인간 정서를 전달할 수 있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10점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브제는 일상의 관념을 깨우며 현대미술의 발전적 방향에 원동력이 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컴바인 페인팅과 채색조각은 새로운 예술적 차원을 제시하고 있으며,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입체적 표현도 증가 추세에 있어 조형예술은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서로의 양식의 결합과 3차원적인 방식의 도입을 통해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상에서 의생활의 개념으로 사용되던 실물의상을 표현의 재료로 선택하여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적 표현방식에 의한 의상의 순수 조형 표현을 통하여 새로운 감각의 패션이미지를 전달함으로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예술적 표현의 가능성을 넓힐 수 있었다. 셋째, 오브제 의상의 구성요소와 드레이프성을 활용하여 동세의 강약과 볼륨감 등을 생동감 있게 표현함으로서 표현의 재료로서 오브제 의상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뛰어난 조형적 구성의 근원을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네째, 오브제 의상의 고형화 작업을 통해 입체조형화 하고 이 공간을 회화적인 표현과 결합시킴으로서 볼륨감과 촉각적 질감의 공간감과 다양한 색채와 표현기법, 붓의 힘찬 운동에 의한 회화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조형성을 제시함으로써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풍부한 시각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 회화적으로 표현된 오브제 의상의 동세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을 암시함으로써 다양한 인간의 정서와 풍부한 상상적 은유를 전달하고, 시공간적 특성을 갖는 주름을 고형화 하여 구체적인 조형요소로서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의상의 새로운 미의식을 발견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브제 의상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풍부한 시각 이미지를 표현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다양한 인간의 정서를 반영하며 우리의 감각을 새롭게 함을 알 수 있었다.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입체적 표현은 수많은 재료와기법을 통해 표현의 가능성이 매우 넓은 분야로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Today s modern society shows a trend of pluralism, and each art genre, while occupying its own area, is expanding its possibility of expression. Fashion Illustration with its eyes to reflect modern society has been developed into a plastic art which does not only effectively deliver the beauty of dress and its ornaments but also contains human emotion and social message with its original expression. As a means to reflect various modern tastes, 3D fashion illustration in that various genres are mixed has abundant expressions, thereby expanding its realm. In particular, those object-introducing works make it possible that a strong message can be delivered by the objects converted into a new concept and understanding, freeing themselves from daily routine, and in combination with pictorial expression, can heighten an art value. Thus, based on the aforesaid theories, this study intended to express both the moving line and volume vividly, utilizing the drapableness of an object dress as a subject matter while applying combine painting. Also, with 3D modeling being combined with pictorial expression through the work solidifying object dresses, this study suggests the fashion image of a new vision through which both the senses of space and picture can be felt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version of the recognition of object dress into new recognition, to express the pure, 3D formativeness of object dress into various looks in depth by some artistic, expressional methods, and thereby delivering the fashion image containing not the momentary, sensual image but human emotion, to expand the artistic, expressional realm of fashion illustration. In this study, in the first place regarding the study content and method, the formative process and special features of combine painting, and the art-history context are reviewed through some documents, with the world of those works of combine painting and polychrome sculpture being also reviewed. Also, the concept of fashion illustration and special features and expressional techniques of 3D illustration are analysed with reference to some documents and some pictorial or photographic data sampled. Then, based on that, 10 pieces of illustration work which are strongly characterized with their art expression and deliver human emotion or sentiment were produced with some real dresses being solidified into static or dynamic poses and being colored on them.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objects awaken and refresh a usual concept and become a dynamic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fine arts; specially combine painting and polychrome sculpture suggest a new dimension of art; and with a modern trend of the 3D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gradually increasing, plastic art, overcoming its limit of materials, is expanding its expressional realm through introduction of both the combination of art modes and the 3D methods. Second, it could be realized that with those real, usual dresses that we understood with a concept of clothing in daily routine being made with other materials, recognition of dress can be changed and converted; and based on that, the artistic, expressional possibilities of fashion illustration can be expanded by delivering a new, sensual fashion image through the pure, formative expression of dress by complex expressional methods. Third,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 dress as an expressional material provides fashion illustration with the origin of outstanding, formative composition by utilizing the components and drapableness of the object dress and thereby expres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moving line, a sense of volume, etc. Fourth, it could be realized that the abundant, visual image of fashion illustration can be expressed with 3D formativeness through the work of solidifying a object dress, thereby combining the space with pictorial expressions and then suggesting a new dimension of formativeness in that a sense of volume, sense of the space of tactile texture, various colors, expressional techniques, and the painterliness by the energetic movement of a brush can be felt at the same time. Fifth, the new beauty of dress and its ornaments could be found out with the movement of human body being implied through the moving line of the object dress expressed pictorially thereby delivering diverse, human sentiment and rich, imaginary metaphor, then solidifying the folds characterized with time and space, and thereby providing a value as a concrete, formative element. After all,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fashion illustration, which expresses rich, visual images based on the formativeness of real dresses, reflects various human sentiment, and refreshes our senses. It is hoped that some more, follow-up studies will be achieved on the 3D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as a field very extensive in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