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6 Download: 0

윗몸 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Title
윗몸 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Authors
박은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첫째, 윗몸 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상대적분근전도를 복직근, 외복사근, 대퇴직근, 그리고 척추기립근 별로 측정ㆍ분석함으로써 복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윗몸 일으키기 자세를 찾아내기 위한 것이다. 둘째, 이 결과를 실제생활에 적용하여 윗몸 일으키기의 기초자료로 제공함으로 보다 효과적인 운동을 수행하며, 요통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과거에 요통경험이 없고, 척추질환이 없는 13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19세~24세)로 구성되었다. 실험과제의 수행조건은 발을 고정시키지 않은채 몸통각도를 30도, 60도, 90도로 조작하고, 무릎각도를 65도, 90도, 105도로 조작한 9가지 조건에서의 윗몸 일으키기 운동이었으며, 이상의 9가지 윗몸 일으키기 조건에서 피험자의 겨드랑이 부분에 띠를 매어서 각 자세에 따라 90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실험자가 피험자의 뒤에서 최대의 힘으로 당겨 윗몸 일으키기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즉, 실험자가 피험자를 최대로 당기는 힘의 값을 100%으로 하여 피험자가 자세를 유지하는 힘을 상대값으로 분석하는 상대적분근전도(%) 값으로 측정하였다. 상대적분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기자재는 미국 BIOPAC system 사의 근전도 프로그램인 AcqKnowledge Ⅲ MP 1000sw (version 3.2)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윗몸 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상대적분근전도 자료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복직근, 외복사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별로 몸통각도(3)×무릎각도(3) 실험설계에 대응하는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all two factors)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량분석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면 사후검증(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첫째, 복직근에서 윗몸 일으키기의 각 자세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을 때 몸통각도(F=2.580, p<.05)와 무릎각도(F=65.372, p<.05), 그리고 몸통각도와 무릎각도의 상호작용효과 (F=5.386,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는 몸통각도 30도와 90도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몸통각도와 무릎각도와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사후검증결과는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105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105도 간,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105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90도 간,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105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65도 간,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90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105간의 순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외복사근에서 윗몸 일으키기 각 자세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을때 몸통각도(F=6.572, p<.05)와 무릎각도(F=51.172, p<.05), 그리고 몸통각도와 무릎각도의 상호작용효과 (F=3.776,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몸통각도와 무릎각도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몸통각도 60도/무릎각도 65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105도 간,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105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105도 간,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65도와 몸통각도90도/무릎각도 105도 간, 몸통각도 60도/무릎각도 65도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90도 간, 몸통각도 30도/무릎각도 105와 몸통각도 90도/무릎각도 90도간의 순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대퇴직근에서 윗몸 일으키기의 각 자세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을 때 몸통각도, 무릎각도, 몸통각도와 무릎각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척추기립근에서 윗몸 일으키기 각 자세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을 때 몸통각도, 무릎각도, 몸통각도와 무릎각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척추의 바른 자세와 요통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복근력을 강화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윗몸 일으키기 자세는 복근(복직근, 외복사근)의 상대적분근전도(%)가 높고, 대퇴직근의 상대적분근전도(%)가 낮은 자세이다. 즉 몸통각도는 몸통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낮은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수행하고, 무릎각도는 대퇴와 하퇴가 이루는 각도가 높은 상태에서 수행하였을 때 복근력이 강화되는 가장 효과적인 윗몸 일으키기를 수행할 것으로 생각된다.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relative integrated electromyography (iEMG) of the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rectus femoris, and erector spine, and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sit-up variation. And its purpose was to apply the results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better exercise and to prevent back pai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 female students aging between 19-24 years with no experience of back pain and with no axial skeletal diseases attending college and graduate schools. The test was performed in 9 conditions (3 trunk angles x 3 knee angles): trunk angles were 30, 60, 90 degrees and knee angles were 65, 90, and 105 degrees. Each sit-up was tested without knee support in supine position and the myoelectric activity was monitored. After each sit-up variation was perform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hold their position with a string hanging on their armpit drawn backward and the myoelectric activity was collected. The relative percentage of the former against the latter was estimated. A two-way analysis of variation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all two factors was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myoelectric activity levels of the 4 muscles. Scheffe s test was used for evaluation of significant F values for the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unk angle (F=2.580, p<.05), knee angle (F=62.372, p<.05),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runk angle and knee ang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ctus abdominis muscle. Same result was shown from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trunk angle (F=6.572, p<.05), knee angle (F=51.172, p<.05), and interaction effect (F=3.776, p<.05). On both muscles, post hoc test results were also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