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2 Download: 0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Title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Authors
노미순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social support types and levels of home, school, and vocational school affect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vocationally. Also, to find out what social support has the greatest affect on their paths. The research will allow the identification of practical research needs and suggest needed social work for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other fulfillment of other needs. Established hypothesi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various social support situations, the higher the support of their parents, vocational school teachers, incumbent teachers, vocational school classmates and friends, the loftier will be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for their vocational courses. Second, considering various functional social support situations, the higher the emotional, estimative, informative and material support, the loftier will be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for their vocational courses. Third, as the whole social support system grows, so will the matured level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paths. This research is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of confidence analysis,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Pearson r analysis and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using the SPSSWIN 6.0 statistical program and questionnaires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grade three students attending three entrusted vocational schools. These means were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ocial support and their career maturity level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o career maturity level and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perception of the whole social support system and career maturity, decisively have much to do thereafter with all the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whole social support is perceived to be by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for their vocational course,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levels are. Second, considering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sector to career maturity level,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vocational teachers has a considerable 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And, among these, the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teachers happened to be more effective. Otherwise, the social support of incumbent teachers, vocational school classmates and friends has nothing to do with career maturity level. Next, among effects of career maturity level by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vocational teachers, incumbent teachers, vocational school classmates and friends, the influence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social support is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supports. In addition, only the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teachers has effective factors to career maturity level. In conclusion, the higher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the higher will become the career maturity level. This means that social support of vocational school teachers is the crucial factor to give confidence and preparation for career maturity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 their vocational course. Third, considering functional social support effect to career maturity level, emotional, estimative, informative support of social supports has something to do with career maturity. Among them, the highest is the estimative support (to be related with career maturity) followed by emotional and informative support in that order. The result of recurrence analysis shows that as estimative support becomes higher, so does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for vocational course, while in contrast, when material support becomes higher the career maturity level instead becomes lower. When thinking collectively about all of the results above, in the case of general academic high school teenagers for vocational courses,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they have from significant grown-ups is very important - especially from vocational teachers who teach them for five days during the week and have friendships with them and serve as life models. Also, estimative support to provide them positive valuation for their capacities and activities has an influential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while in contrast, material supports such as money, service and time have reverse correlation to their career maturity. Through this research that reveals the state of social support to our teenagers and to what degrees such supports influence teenagers career maturity, their greatest anguish, we can find the best solution concerning which soci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and developed in a way providing them with more security. ; 본 연구는 취업의 욕구를 지닌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적절한 사회사업적 개입의 근거와 현실에서 요청되는 사회사업적 실천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환경 중 가정, 학교, 직업학교를 중심으로 각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 유형과 수준을 알아보고 각각이 그들의 진로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어떠한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들은 재적학교와 직업학교, 양쪽에 속해있기 때문에 일반계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비진학 직업훈련생이나 실업계 고등학생들과 달리 복합적인 심리사회적 환경에 놓이게 된다. 그들은 직업학교에서 재적학교에서보다 개방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지만 그만큼 소속감은 떨어진다. 그들은 직업교육을 받고 있으면서 대학진학을 희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점이 한 개인의 평생교육적인 배려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정책의 실패라고만 비난할 수 없는 면을 갖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통합적인 진로지도 및 열린 직업교육의 현존하는 모델, 혹은 새로운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제도권 내에 있으면서도 소수이기 때문이 아니라 일반계 학생으로서 직업교육을 선택했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하는 것이 그들의 현실이라면 본 연구와 같은 시도는 직업학교 역시 사회복지 전문가가 진출해야 할 또 하나의 場임을 증거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 상황을 볼 때 부모, 직업학교 교사, 재적학교 교사, 직업학교 급우,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각 기능별 사회적 지지 상황을 볼 때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클수록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셋째, 전체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계 직업교육 청소년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직업교육 위탁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3개 직업학교에 다니는 일반계 고등학교 고3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그중 197부를 SPSSWIN 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r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부모와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적학교 교사, 직업학교 급우,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음으로 부모, 직업학교 교사, 재적학교 교사, 직업학교 급우,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니 다른 지지원의 사회적 지지에 비해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만이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진로성숙 수준은 높아진다. 이는 직업학교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일반계 직업과정 청소년들에게 진로에 대한 준비와 확신을 갖게 하는데 중요한 동기가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기능별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가 진로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평가적 지지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순으로 진로성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평가적 지지가 클수록 일반계 직업과정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높아지나, 물질적 지지가 커질 때에는 오히려 진로성숙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회적 지지의 지각과 진로성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전체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계 직업과정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전체 사회적 지지가 클수록 그들의 진로성숙 수준은 높아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과정 청소년들의 경우 자신이 얼마나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느끼느냐 하는 것, 의미있는 타인 특히, 성인 중에서도 일주일에 닷새를 만나 친밀성이 있으며 인생모델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직업학교 교사의 지지, 자신의 능력과 행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 등이 진로성숙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필요시에 돈, 서비스, 시간 등을 제공하는 물질적 지지는 오히려 진로성숙 수준과는 역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 우리 청소년들이 제공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그러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들이 가장 크게 고민하는 문제인 진로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이 연구를 통해 우리 청소년들이 필요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를 구상하는데 어떠한 지지체계가 계발되어야 하고 어떠한 사회적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