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정서적 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Title
정서적 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Other Titles
Effect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emotional abuse in clinical and risk group
Authors
서수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Degree
Docto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의 안정애착을 통한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장애 발생 이전에 개입할 수 있는 예방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임상 장면에서 애착 장애 및 애착 장해를 갖게 된 아동들을 치료하기 위해 상호작용의 주체가 되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부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I에서는 애착장애 및 애착장해 아동들인 임상군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임상군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위험군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초기 부모기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하기 위한 예방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Ⅰ-Ⅰ에서는 애착 장애 및 애착 장해란 왜곡된 부모-아동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전제하에 어머니와 아동 양자간의 관계의 패턴을 바꾸는데 초점을 두고 임상군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애착장애 및 애착장해 아동들 대상의 아동 중심적 상호작용 치료 접근법에 어머니 대상의 양육 행동의 변화와 집단 치료를 포함시킴으로써 치료의 일반성과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비디오 교육을 통한 행동 수준에서의 양육기술을 증진시키고 이와 병행하여 어머니 자신의 초기 애착 경험인 내적 작동모델에 대한 탐색을 유도하였다. 그리하여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아동에 대한 부정적 지각이나 양육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증가시켜 부정적 양육 행동의 세대간 전이를 차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맥락적 수준에서의 부부갈등, 시댁갈등 등을 다루어 줌으로써 양육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애착장애 아동의 부모-아동 애착 관계 개선과 정상적인 발달로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Ⅰ-Ⅱ에서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9명의 애착장애, 애착장해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12회기를 실시하고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내적표상,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서의 민감성, 어머니의 우울, 결혼 만족도,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표상의 변화와 발달 수준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참여 어머니 모두가 아동에 대한 내적표상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아동에 대한 내적표상 유형 변화에서도 부모교육 실시 전에는 참가 어머니 9명 중 균형된 표상을 보인 어머니는 한 명도 없었고, 비 개입된 표상 6명, 왜곡된 표상 3명으로 나타났으나 부모교육 실시 후에는 이들 중 4명이 균형된 표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부모교육 참가 후 어머니들의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의 민감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부모교육을 통해 불안정 애착을 형성하고 있던 4명의 아동들이 안정애착으로 변화하였으며, 넷째, 발달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평균적으로 상승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연구 Ⅱ-Ⅰ에서 예방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임상군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였는데 장애 발병후의 중재가 아닌 예방 차원의 중재이므로 치료적 접근보다는 교육적 접근에 비중을 두었다. 참가자 대부분이 첫아기 임신으로 부모기로의 전환을 앞둔 산모이므로 영아기의 정상발달 과정에 대한 지식들을 제공하였고, 양육자의 역할과 영아-양육자의 관계의 경험이 안정애착 형성에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임상군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유사하게 산모들에게 영아와의 정상적인 상호작용 방식과 민감한 양육 행동에 대해 비디오 교육을 실시하였고, 산모 자신의 아동기 애착 경험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영아에 대한 부정적 기대와 부정적 양육에 대해 예방하고자 하였다. 또한 배우자 대상의 교육을 1회기 첨가시켜 산모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도모하였고, 앞으로의 양육에 대해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Ⅱ-Ⅱ에서 11명의 정서적 학대 위험 산모들을 대상으로 6명의 참여집단과 5명의 비 참여집단으로 나누어 8회기에 걸쳐 예방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사후 평가는 산모들이 출산 후 영아가 6개월 되었을 때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내적표상,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에서의 민감성, 어머니의 우울, 불안, 결혼 만족도, 양육 스트레스, 영아의 기질, 발달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임상군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첫째, 예방 부모교육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우 비 참여 어머니들에 비해 영아에 대한 내적표상이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표상의 유형에서도 참여군의 경우 6명의 어머니 모두 균형된 표상을 보이는 반면, 비 참여집단 어머니들의 경우 균형된 표상 3명, 비개입된 표상 1명, 왜곡된 표상 1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집단의 어머니들이 비 참여집단의 어머니들에 비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침해성이 적었고, 발달적 민감성, 반응성, 민감성 영역에서 비 참여 어머니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예방 부모교육에서 목표로 한 민감성 증진 교육이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영아들의 기질에서 참여집단 어머니의 영아들이 비 참여집단 어머니의 영아들에 비해 적응성과 주의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수준을 평가한 결과 참가 집단의 어머니의 영아들이 참가하지 않은 어머니의 영아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발달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애착장애 아동에 대한 많은 이론적 연구 결과들과 임상 현장에서 경험들을 토대로 애착장애 및 애착장해 아동들의 치료 효과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특히 발달적으로 급격한 변화와 성장을 이루는 영유아기에 보다 효과적이고, 단기간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장애 발생 이후의 치료적 도움보다는 영유아의 정신건강이 이후의 정상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인식 하에 조기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infant mental health through formation of secure attachment with his caregiver. This study consists of a series of two studies. The first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attachment disorder and/or disturbance and to examine effect of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three parts: 1) improvement of maternal sensitivity in interaction with children, 2) modification of mother s own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3)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to prevent negative effect to parenting. Twelve sessions (one and half hour weekly for 12 weeks) of education was performed on 9 mothers. Pre- and post-assessment on WMCI, BDI, and MAS scale were performed on participating mothers.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were assessed by P-CIPA. and children s developmental level and attachment type were assessed by SMS, SSP. The scores of mother s working model of child and the maternal sensitivity and the interaction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arenting edu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aternal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and the Maternal Stress in pre and post assessment. Finally, children with attachment disorder or disturbance showed partial shift from insecure to secure attachment with their mother. The second study was to develop a prevent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pregnant women who were at high risk for emotional maltreatment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vent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o the programs described in the first study, the potential mothers were educated about infant s normal development. Risk women were screened by depression, anxiety, marital discord and psychological stress scores. Six women were enrolled in the parent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eight sessions (two hours weekly for 8 weeks) of treatment lessons and five women were enrolled as the controls. The post-assessment was performed 6 months after the child s birth. The same tools applied in the first study were used in post assessment. The scores of mother s working model of child and the maternal sensi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ducated group than the controls. The interaction scores of participa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in developmental sensitivity and responsivity, and lower in intrusivenes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nt and control group in the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and the Maternal Stress. Infants of participa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al level compare to infants of control group. Finally, infants of participant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adjustment and at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preventing emotional maltreatment and in improving secure attac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