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9 Download: 0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한 유치원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Title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한 유치원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승연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유아교육 현장에서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이 보다 바람직한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함이 목적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몬테소리 교육 운영 방법은 어떠한가? 3. 몬테소리 교사 교육을 받은 교사들의 현황은 어떠한가? 4. 몬테소리 교구 준비 상황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중에서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212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1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의 실시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고안한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의 실시현황 및 몬테소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44개의 문항과 134개의 몬테소리 교구 목록 표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준비된 환경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고 개별지도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몬테소리 교육 운영에 관한 질문에서 몬테소리 교육 프로그램의 유치원 도입 동기는 몬테소리 교육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이고 몬테소리 교육의 내용은 몬테소리 교육에 다른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교육하고 있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몬테소리교육의 운영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유아의 수가 많음을 들었고, 몬테소리 교육과정과 일반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는 될 수 있다고 보고 두 교육과정이 연계되어질 때의 어려운 점은 교사들의 노력의 부족과 연구의 부족이라고 하였다. 셋째, 몬테소리 교사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면 연구대상들은 5년 이상의 몬테소리 교사경력을 가진 교사들로 전문대 졸업의 학력을 가진 대상이 가장 많았다. 몬테소리 교육을 받은 동기는 유치원의 필요에 의해서이고, 몬테소리 교사 교육의 횟수는 전체적으로 3회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것에 많이 답하였으며, 교사 교육 수료증을 가지고 있다에 많은 답을 하였다. 넷째, 몬테소리 교구 준비상황은 몬테소리 5개 영역의 교구들로 구성하고 있다는 답이 높게 나타났고 각 영역들의 준비상황들은 기본교구에 변형, 응용을 위한 교구들까지 준비되어 있다고 하였다. 준비된 교구들의 활용은 유아의 개인차에 맞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교구들의 보유현황은 영역별로 70%이상의 교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 감각, 수학영역의 교구들이 언어와 문화영역의 교구들보다 더 많이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 to Montessori teachers in Korea for improvement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ontessori education, by critically evaluating the level of Montessori teachers understanding on Montessori teaching principles and current status of Montessori education practi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How do Montessori teachers perceive Montessori principles? 2. How is Montessori education being administered in schools? 3. What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ntessori teachers who have received Montessori teacher training? 4. How are Montessori teaching materials being prepared and used in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f-administered mail survey, and the respondents were 212 Montessori teachers, one teacher from each of 212 Montessori kindergartens in Seoul, Pusan, Daegu, Incheon, Kwangju, Daejun, and Woolsan.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44 questions and the checklist of Montessori material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Montessori teaching programs of each school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ontessori principles of the teacher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item frequency, and distributi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Montessori principles was in general found to be high.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on the importance of prepared environment, and the lowest on individual teaching method. Second, on the survey questions pertaining to the management of the schools, responses indicated that the primary reason for adopting Montessori program was simply to apply Montessori education principl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ost schools were also found to be combining Montessori programs with conventional programs. However, the respondents viewed that combining two programs, even though deemed possible, is still far from being successful mainly due to lack of teachers efforts and research. Third, demographics of Montessori teachers revealed that most of them have more than 5 year Montessori teaching experiences with 2-year college education or higher. Most of them received Montessori teacher training because the schools they belong to needed them to do so.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taken the training program more than three times and have certificate for teacher training completion. Fourth, most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ir schools have five montessori teaching area materials, and that they have materials for variation and extension works on top of the basic materials. Most of them said that they use the materials according to children s individual differences. Most kindergartens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70% of materials in each teaching area, and to have more materials in practical life, sensorial, math areas than language and culture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