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5 Download: 0

낮병원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Title
낮병원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소임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As human beings are social ones, they wish to relate to others, to use social resources toghether, to participate many social activities in society and they wish to have satisfactions and wellbeing in it. The life goal of all is the states of involved and satisfied in their communities. It applies no matter whose mentality, so doesthe mental disorders’ life goal. Nevertheless, the mental disorders could not involve in social activities and not be satisfied themselves because of person-based and environment-based problems : residual symptoms, social withdrawal, lower self-esteem, skills insufficiency, familial conflicts, aliened neighborhoods, public prejudice, social stigma, deficiency of social services and policies. Generally, there are two keys to solve problems belonged to the mental disorders that one is improving their functional skills and the other is building up supportive environments. Even though two methods must be positively applied to problem-solving, until now the former was brought into focus. And besides, the former studies were focused into their readjustment based on improving skills. Here, it might consider a tentative reason that inhibits the mental disorders from being socially integrated as a nonsupportive environment. And then, direction of this study will construct by this point. The goal of the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environmental traits and social integration level of the mental disorders. And then to seek for social services and interventions of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strengthening positive environmental factors and weakening negative ones. Namely, after understanding of the mental disorders environmental traits -family function, social supports, social stigmas, care system-, t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finally showing to basic data for social interventions on promoting the mental disorders social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mental disorders social integration measured that they would be able access and participate in many social groups and social activities in society, and they generally satisfy themselves with famil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activities, self-esteem and so forth. That is to say, it defined that they objectively would be social involvement and subjectively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subjects are the members of nine day hospitals in Seoul or Kyunggido. The results from survey based upon subjec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ere followed: The first, subjective integration, life satisfaction level is mean 2.76 point, objective integration, social involvement level is mean 3.04 point, total integration level is mean 2.89 point. Concretely, the each score of life satisfaction s eight subscales ranges 2.46 to 3.10 and there are in order of score : house surroundings, heath states,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relatives, self-esteem and general life, clothing·food·economic status, recreational activity, relationship with friend and others, occupation and daily schedule. Next thing, social involvement is consisted of five subscales -presence, access, participation, production, consupmtion- and the each score of them ranges 2.47 to 3.29. And specially two subscales, participation and presence were made up a low scor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traits, friend supports, therapist supports, service utilities, social stigma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 .416, .351, .304, -.216).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involvement and environmental traits, service utilities, significant others supports, social stigmata, lengthened-sta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 .533, .300, -.488, -.316).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discussed. In this study, it should be stressed `mental health education that could fundamentally reform social values on the mental disorders. The first is psychoeducation approach to families. It needs to intervene in forming the functional and supportive environments through giving families knowledges about mental disorder, coping strategies, many-sided supports. The second is mental health public education. It has great influence on the mental disorders social integration because it can affect not only to change personal behavior, but also the whole of community behavior. The third is staff development, continuing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feilds that have a sincere ideology and a continuous education (consultation). The fourth is consumer health education. It must be a consumer health education that is not a symptom-explanation but a empowerment to the mental disorders. The fifth is self-help approach. It might be a self-help endeavor that strengthen supports and weaken stigmas, so social workers should make efforts to encourage at their self-help grouping. ;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사회 속에서 생활하면서 많은 사람들과 서로 관계를 맺고, 사회의 여러 자원들을 함께 사용하고, 다양한 사회적 활동들에 참여하면서 그 안에서 만족감과 안녕감을 갖고 살고자 한다. 사회 내에서 관여하고 만족을 느끼는 상태는 모든 사람들이 바라는 삶의 목표이다. 이것은 개인의 정신건강상태와 관계없이 똑같기에, 정신장애인의 삶의목표 또한 그러하다. 그러나, 정신장애인들은 대체로 퇴원후에도 잔여증상, 사회적 위축, 낮은 자존감,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부족, 가족 갈등, 소외된 이웃관계, 일반사람들의 편견이나 사회적 낙인, 부족한 복지서비스, 미비한 정책적 제도 등 장애와 직접 관련된 개인적 문제부터 사회적 불리와 관련된 환경기반적 문제까지 다양하고 많은 문제들로 인해 자신이 태어나 살고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물리적으로 함께 관여하지 못하고, 심리적으로 만족하지 못한 삶을 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장애인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장애인 개인의 기능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사회적 불리를 극복하기 위한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 둘 다 적극적으로 사용하여야 문제해결에 최대한의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정신장애인 개인의 기능적 기술을 회복하고 향상시키는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정신장애인의 사회로의 통합 노력은 이들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노력 뿐 아니라 사회체계를 변화시키고 이들 지역사회체계를 적극적으로 정신장애관련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하려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여태까지는 정신장애인의 기술향상이라는 기능적이고 개인적인 전략에 보다 초점을 맞춰 온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또한 정신장애관련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기존의 연구들은 기술향상중심의 재활 및 사회적응에 초점을 둔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잠정적 원인으로 지지적인 환경조성의 미약성을 지적하면서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제반환경특성과 사회통합 정도 및 특성을 파악해 봄으로써 환경의 긍정적인 요소는 강화시키고 부정적인 요소는 통제하여 지역사회 내에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전문적 서비스와 사회적 노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정신장애인 환경특성, 구체적으로 가족 기능, 사회적 지지, 사회적 낙인, 보호서비스특성과 사회통합의 특성 및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고, 그것을 통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을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집단·사회활동에 접근과 참여가 가능하고, 가족 및 대인관계, 사회적 활동, 자아감 등의 전반적 삶의 영역에서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즉, 객관적으로는 사회에 관여하고, 주관적으로는 전반적인 삶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서울·경기지역에 있는 9개의 낮병원정신장애인 111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지각과 경험에 기반한 서베이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낮병원정신장애인의 주관적 사회통합인 삶의만족은 평균 2.76점, 객관적 사회통합인 사회관여는 3.04점, 전체사회통합은 2.89점으로 중간에 미치지 못하는 다소 낮은 통합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만족은 조사대상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점수로 5점만점척도에서 평균 2.76점(표준편차 .71)으로 중간보다도 낮은 수준이였고, 각 하위영역의 점수는 평균 2.46점에서 3.10점 사이로 주거환경, 신체 및 정신건강, 가족 및 친척관계, 자아감 및 일반적삶, 의·식·경제정도, 여가활동, 친구 및 대인관계, 직업 및 하루일과의 순서로 만족정도를 나타냈다. 다음, 사회관여는 존재, 접근, 참여, 생산 및 소비의 다섯하위영역으로 구성된 5점척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평균 3.04점(표준편차 .52)으로 중간정도의 수준을 나타냈고, 하위영역은 평균 2.47점에서 3.29점으로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영역과 지역사회에서 보내는 시간정도인 존재영역에서 특히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삶의만족과 환경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친구지지, 치료진지지, 서비스유용성과는 각각 r값이 .416, .351, .304로 정적상관관계를, 사회적 낙인과는 r값이 -.216으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관여와 환경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비스 유용성, 특별한 사람지지가 각각 r값이 .533, .300으로 정적상관관계를, 사회적 낙인과 통원일수연장희망과는 -.488, -.316으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개입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 나와 있는 정신장애인들이 장애를 갖고 있지만 생활에 만족하면서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지지적인 환경이 필요하고 이에 환경개선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사회통합증진을 위해 환경수정, 환경조정, 지역사회참여로 표현되는 환경적 전략 중 사회전반의 가치를 변화시키는 작업으로서 ‘정신건강교육’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심리교육적접근 방안이다. 정신장애에 대한 지식, 대응전략, 지지를 가족에게 제공함으로써, 기능적이고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전체대상의 정신건강공공교육 방안이다. 이는 개인의 행동변화 뿐 아니라 집단 즉 지역사회전체의 행동변화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전문가정신건강교육 방안이다. 올바른 이념정립과 정확한 서비스·프로그램 구성 및 제공 등을 위해 지속적인 보수교육 및 자문을 통해 항상 준비된 전문가가 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정신장애인의 소비자건강교육 방안이다. 기존 정신장애 증상설명 중심의 정신건강교육에서 벗어나 정신장애인들이 스스로의 복지를 추구하는 당당한 소비자로서 권한을 갖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소비자건강교육을 실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자조집단 방안이다. 자조집단은 지지를 늘리고 낙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조적인 노력이며, 이를 통해 사회통합이 증진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사업가는 이러한 자조집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