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Title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Authors
안지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udy established a view of womanhood is expressed classical literature Ku Un Mong, Chun Hang Jon, Ho Saeng Jon as modern view of value. This object of study helps understanding human life through appreciate classical literature and establishment a view of womanhood is based on traditional subjectivity. Chapter Ⅱ is a study on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Ku Un Mong. It is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So Po s life, So Po Man Pil and Sa Ssi Nam Jong Gi. Yang So U s mother on Ku Un Mong is guided in his life and supporter as a man oh high intelligence. There are eight heroines in Ku Un Mong, Jin Chae Bong who has a positive attitude gains Yang So U s heart, Gye Som Wol and Joc Goung Hong who have the decision of capacity of recognition own Yang So U s heart jointly, Jong Goung Pae has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way of modern thought, Lee So Wha shows the virtue of modesty, Sym Yo Youn and Baec Nung Pa are aggressive woman who want to challenge to new-world, Ga Choon Woon perceive life within it s means. ChapterⅢ is a study on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Chun Hang Jon. It is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Chun Hang s social position and Wol Mae s transformation as some Chun Hang Jon alternative versions. Chun Hang s free will and character without trimnings set her off. Her attitude is based on high intelligence and she challenges to irrational world to establish human rights. And Wol Mae looks like an opportunist who has philistinism, but sometimes she shows natural humanity. Chapter Ⅳ is a study on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Ho Saeng Jon. It is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Ho Saeng Jon which alludes to an ancient event of Ho Saeng shows Yon Am s ideology and a view of womanhood, in advance Ho Saeng s wife aspect was made a comparative study of hero s wife aspect of novels in narrative form like Jon on this study. Ho Saeng s wife is a person who makes a living instead of Ho Saeng. And she is realistic critic, sincere helpmate, also. Chapter Ⅴ is a study on the contents which arranged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Ku Un Mong, Chun Hang Jon, Ho Saeng Jon about high school student s a view of womanhood according to research. And it suggests problems and remedies which are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a view of value, founded on the influence these three classical literature upon high school student s view of womanhood. Chapter Ⅵ shows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in teaching a view of womanhood according to study of women who are mentioned of classical literature. Our society is still latent androcentrism and patriarchal thought. So there isn t the proper education about the view of womanhood. The education of a view of womanhood mentioned classical literature isn t independence study. It is realized when we teach correctly object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ture. It is a problem which demands our serious consideration.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구운몽>, <춘향전>, <허생전>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을 현대적 가치관으로 재정립하였다. 이 연구는 평등의식의 확산으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다원화되어 갈 21세기에 전통적인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여성관을 확립하고, 고전문학의 감상과 이해를 통하여 인간의 삶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고전문학의 의의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단원에서의 <구운몽>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서포의 생애와 서포만필, 사씨남정기에서 나타난 여성관을 살펴보는 선행작업을 한 후 양소유의 어머니를 삶의 인도자로서의 여성과 名人賢者의 배후자로서의 여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채봉은 적극적인 행동으로 사랑을 쟁취한 여성으로, 계섬월과 적경홍은 知人之鑑으로 남성을 공유할 수 있는 결단력을 지닌 여성으로, 정경패는 전통적 고전미와 현대적 사고방식을 소유한 여성으로, 이소화는 겸양의 미덕을 나타내는 여성으로, 심요연과 백능파는 新世界로의 도전적인 여성으로, 가춘운은 安分知足의 삶을 깨달은 여성으로 살펴보았다. Ⅲ.단원에서의 <춘향전>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춘향전>이 적층문학임을 감안하여 이본에 따른 춘향의 신분과 월매의 역할 변모 과정을 살펴보는 선행작업을 한 후 춘향을 자유분방하고 꾸밈없는 인간성이 돋보이는 여성의 모습과 지성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여성의 모습, 인권 확립을 위한 현실 타개 정신의 소유자인 여성의 모습으로 각각 살펴보았다. 월매는 속물근성의 기회주의자적 모습을 보이나, 때로는 가식없는 인간미가 보이는 여성의 모습으로 제시하였다. Ⅳ.단원에서의 <허생전>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연암이 허생고사를 수용하여 자신의 사상과 여성관을 피력한 작품임을 감안하여 허생전과 유사한 설화 3편에서의 아내의 모습과 <허생전>에서의 아내의 모습을 비교하는 선행작업을 한 후, 허생의 아내를 적극적인 생활인의 모습과 현실주의적 비판자로서의 모습, 진정한 내조자로서의 모습으로 각각 제시하였다. Ⅴ.단원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여성관에 비추어진 <구운 몽>, <춘향전>, <허생전>의 여성상을 정립해 보고, 고전문학과 가치관의 관계와 세 작품이 학생들의 여성관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상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Ⅵ.단원에서는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상 연구를 통한 여성상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남성우월주의의 가부장적 사고의식이 잠재되어 있는 관계로 여성상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고전문학에서 나타나는 여성상 교육은 독립된 학문이라기 보다는 고전문학 교육의 목표와 의의를 제대로 살린 교육에서 발현될 수 있는 교육이므로 좀 더 체계화된 고전소설에서의 여성상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