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여성장애인의 역할 수행 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여성장애인의 역할 수행 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복지에 대한 요구도 더욱 증가되고 있다. 특히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들에게는 이러한 복지에 대한 요구가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장애인 복지는 그들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발전되어 오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후천적 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장애인의 복지와 생활만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와 실행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역할 수행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대응자원으로써의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 을 두었다. 역할 수행, 사회적 지지, 자존감 등의 변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성인 여성 장애인 142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계적 자료 분석방법을 사용해 검증하였는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할수행능력이 장애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한 결과, 연령, 결흔여부, 직업유무에 따라 역할수행능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30대의 집단이 역할수행능력이 높았고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미혼 집단이 역할수행능력이 높았다. 직업 유무에 따라서는 직업이 있는 집단이 역할수행능력이 높았다. 역할수행능력이 장애인의 장애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을수록 역할수행능력이 가장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존감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연령과 결혼 여부였다. 장애특성에 따라 자존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장애등급에 따라 자존감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역할수행능력과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역할수행능력이 높을수록 장애인의 자존감 수준이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 지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업유무와 총수입별로 가족 지지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장애특성에 따른 사회기관 지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선천성 유무와 장애등급별로 사회기관 지지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역할수행능력, 자존감, 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수행능력은 가족지지, 친구 · 친척 지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자존감은 가족지지, 친구 · 친척지지 및 사회기관 지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장애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이 생활만족도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인의 장애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장애등급별로 생활만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지지,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수행능력, 가족 지지, 자존감이 생활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장애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과 장애특성 변인, 역할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자존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연령, 선천성유무, 역할수행능력, 가족의지지, 자존감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한 역할수행 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순 있었다. 장애인들을 장애가 발생하면서부터 기존의 자신의 역할에 대한 변화를 겪게되고 비 기능적인 역할을 부여받게 되지만 장애인을 둘러싼 가족이나 그 밖의 환경이 장애인이 기능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지지를 제공해 주고 장애인 자신이 보유한 자존감 등의 자원들이 결합된다면 이러한 비 기능적인 역할을 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애인의 생활만족을 증진시키고 역할수행을 돕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장애인의 가족은 중요한 요소가 되지 못했다. 특히 성인 장애인의 경우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족의 지지는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드러났고 장애인이 수행하기 힘든 일을 주로 도와주는 사람도 가족이므로 장애인의 생활만족이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가족적 측면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at how disabled peoples role accomplishment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ow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also. The method of study was made by using the telephoned questionnaires on one hundred forty two adult disabled females and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particularly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ability of role accomplishm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People, who were thirties, singles, and were employed, had strong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And also, less-severe disabled people had strong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as statistical test shows. Second, from the test on self-esteem differ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 Marital Status. From the test on self-esteem differences according to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ability level. From the test of correlation on Ability of role accomplishment and self-esteem,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Namely, the stronger their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the higher their self-esteem level. Third, From the test on family support differ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loyment and gross family income. From the test on community support according to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nate disabilities, or not, & disability level. From the test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and family support, friends and relatives support & community support. Fourth, from the tes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ccording to disability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abilities level. Finally, From the tes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ocio-demography, disabilities,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here were some variables to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from age, innate disabilities or not, abilities of role accomplishment,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based on above analysis. Abilities of accomplishment can affect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lthough the disabled, from the beginning of disability, experienced change about their roles and was given unfunctional roles, their unfunctional roles could be avoided as long as their families and other surroundings supported them appropriately to perform functional roles and their resources such as self-esteem, which they had, were combined. And also, It was clear that family support was indispensable to improvement of their life satisfaction & their better role accomplishment and that family support of the disabled were not an important factor to the study of the disabled in the past, particularly to the grown-up ones. This study, however, shows that family suppor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a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studying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because families are the great sources of helping to do the works the disabled can t perform proper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