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교수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교수 능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김우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 교육의 한 주체로서 교사가 성공적인 교육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은 다양하겠지만, 가장 핵심적인 것은 가르치는 행동(교수행동)에 있어서의 전문적인 능력일 것이다. 즉 교사는 효율적인 교수활동에 관한 이론적인 이해 뿐만 아니라 실천 방법과 기술에서 전문적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자질과 교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비디오 포트폴리오(Video Portfolio)를 사용하여 교사의 교수활동을 개선하고, 교수활동 개선을 위해 학교현장에서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적용노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교육평가의 발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수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비디오 포트폴리오(Video Portfolio)를 활용할때, 교사의 교수 능력은 활용하기 전과 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교수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비디오 포트폴리오(Video Portfolio)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험연구와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1998년 6-7월까지 실시하였고 수업은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2개월 동안 수집된 비디오테입을 포트폴리오로 제작하였으며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 능력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교수활동 개선을 위해 평가자가 연구 대상 교사에게 조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연구는 비디오 포트폴리오 방법이 교수활동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조사는 실험연구 대상자 및 평가자, 실험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교사, 교장, 관련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뷰 조사는 교수활동 개선을 위해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행된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활용하기 전과 후의 교수능력의 차이를 t-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 전체의 교수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t=7.661, p<0.01). 둘째,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각 영역별(①수업의 전체적인 구성, ②의사 소통 능력, ③수업내용 전달방식, ④질문하는 기술, ⑤학습분위기 조성능력)로 분류된 교수능력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영역1 t=3.638, p<0.05, 영역2 t=7.000, p<0.01, 영역3 t=6.539, p<0.01, 영역4 t=4.523, p<0.05, 영역5 t=3.658, p<0.05). 그리고 평가 영역2(의사소통능력)와 평가 영역3(수업내용 전달방식)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이 5.0 이상의 비교적 높게 차이가 났다. 연구문제2의 인터뷰 조사 결과를 교사교육 개선, 학교문화 풍토개선, 교육매체 활용, 교육정책적 배려의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수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될 수 있는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교사의 교수방법 개선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교실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반성적 자기평가 및 충고형 평가 문화의 정착, 동료간의 넥트웍 구축, 교육매체의 긍정적 태도 조성, 학교장 및 학부모의 관심과 협조가 선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교실현장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비디오, CD-ROM, 인터넷 등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시설이 구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교사가 멀티미디어 매체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연수프로그램 마련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교사의 교수활동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이용자가 적시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교실현장에 정착되고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사평가가 수행평가로 확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디오 포트폴리오 우수사례 발굴과 교사의 자율적 수업운영의 장려는 교수활동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교실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연구를 통해 얻은 각 평가영역에 대한 결과, 비디오 포트폴리오는 교수능력의 향상에 기여한다. 둘째, 교수활동 개선을 위해 비디오 포트폴리오가 학교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사평가 및 교수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즉, 행정적, 재정적인 지원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교수활동에 대한 그리고 교수활동의 평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교사의 질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교사의 교수능력 향상을 위해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행평가와 같은 질적 평가를 통하여 교사를 선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제도적, 행정적 장치가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육관, 학생들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 반성적 자기평가, 동료들에 의한 평가, 교수활동 등이 담긴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도구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책임의식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 자신의 교수활동을 평가하고 동료간에 서로 충고하는 평가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아울러 동료교사나 관련 전문가 등이 주체로 참여한 연구포럼이나 협의회 등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활동을 개선할 수 있는 네트웍을 구축하여 활성화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비디오 포트폴리오는 교사평가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비디오 포트폴리오는 교실에서 교사의 교수활동을 여과없이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평가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이를 위해 우수교사의 교수모델을 수집·발굴하여 다른 교사나 혹은 관련자가 적시에 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홍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제도적 장치를 통해 교육정책 당국이나 학교 등은 우수교사를 선발하여 보상하는 유인체제의 개발은 비디오 포트폴리오의 지속적인 활용을 담보하게 될 것이다. 종국적으로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통한 교수활동 개선은 교단의 선진화가 가속화될 것이다. 넷째, 비디오 포트폴리오는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비디오 포트폴리오는 기본적으로 수행중심평가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뿐만 아니라, 교육 및 재교육과정에 직접적인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 포트폴리오는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 및 현직교사의 재교육을 위한 연수교육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근거로 예비교사나 현직교사들의 교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상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lie in the search both for, by employing a video portfolio, improving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and for facilitating it situation to further teaching activities in classroom situa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make contribution in a way that using a video portfolio,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assessments in education. To carry out the purposes, the study intends to focus on two issues as follows; 1. What does a video portfolio make different in teaching competence? 2. What are the effective way to facilitate a video portfolio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 For the study, both experiment method and interview were employed. The experiment lasted for 2 months from June to July, 1998 with kindergarden teachers selected. "Story Telling" classes charged by those teachers were recorded on video tapes during the time. Both independent examiners and teachers were involved to evaluate teaching competence on a checklist. In addition, independent examiners were allowed to comment on what teachers had shown during the classes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video portfolio, t-test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first issue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test, it is show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pre- and post factum-tes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t=7.661, p<0.05) Second, the effects of a video portfolio on every domain established for the study, such as the entire structure of the instructions, communication skills, the mode of instruction activities, questioning skills, the ability of setting better learning atmosphere, come 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 factum-tests. It needs to be noted that domain 2(communication skills) and domain 3(the mode of instruction activities) were 5.0 points on the average higher than other domains. The findings of the second issue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video portfolio, as the reinforcement of teaching competence, is useful to improve the instruction method of teachers. Second, to facilitate, practically and substantially, a video portfolio in school, it is significant to notice that a self-reflective assessment, an advisory assessment, the establishment of network among colleagu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educational media, and, moreover, th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are required. Third, multi-media facilities are crucial to effectively employ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 It is also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re necessary to proficiently operate the multi-media system in school. The database containing the performance of promising and inspiring teachers to benchmark need to be provided. Fourth, it is found that, in order to concretely and continuously facilitate a video portfolio in school, the traditional teacher assessments are expected to shift to performance-based assessment. Furthermore, the encouragement of teachers to manage the classes by their own and the exhumation of the outstanding cases using a video portfolio in classroom are helpful to improve instruction activities. For it, there needs, without question,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upon the result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of each domain in the study, a video portfolio makes contribution to the enhancement of teaching competence. Second, regarding the facilitation of a video portfolio in school concerned, it is the prerequisite that a new perception of teacher assessments and teaching activities should be acknowledged. With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llocation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the extension of the performance-based assessment of teaching competence is required. The suggestions in regard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made as follows; First, it is underlying that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devices are necessary to reflect qualitative assessment methods, like a performance assessment, in teacher assessments. In addition, tools and standards to enhance the objectiveness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need to be developed. Second, it must be emphasized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for teaching play the key role in facilitating a video portfolio in classroom. Conference and research forum that school teachers and experts participate should be also considered. Third, since a video portfolio contains a real and vivid teaching practice, it is a critical source to evaluate teaching activities. In that, concerning a video portfolio is one of the typical methods in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t provides hard data for te evaluation of teaching competen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incentive system to draw teachers on facilitating a video portfolio through benchmarking the cases of promising and outstanding teachers in using it, so that the incentive system ensures the advancement of teaching activities. Fourth, a video portfolio is fruitful resources for teacher education. A video portfolio accumulating a series of teacher s performances in classroom could affect on the curriculum of training and retraining of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