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향-
dc.creator이수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5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93-
dc.description.abstract우리말에서 주어의 생략은 자유롭지만 서술어의 생략은 그렇지 못하다. 서술어는 대부분 용언이 담당한다. 우리말의 용언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포함되는데 동사는 아동의 구문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언어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용언은 아동의 두 낱말 시기 혹은 그 이전 시기부터 발달한다. 용언의 의미론적 및 구문론적 특성은 용언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인이다. 즉 그 용언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구문구조에 따라 발달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세 6개월에서 2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이 많이 산출하는 용언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초기 발달 용언의 의미론적, 구문론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1세 6개월에서 2세 11개월까지의 아동이 산출한 용언은 연령간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세 6개월에서 2세 11개월까지의 정상발달 아동 90명의 어머니들이다. 아동의 산출용언을 측정한 방법은 설문지(checklist)를 사용하여 어머니에게 아동이 산출한 용언을 기록하게 하였다. 설문지에는 동사(자동사 및 타동사)와 형용사를 포함하여 모두 241개의 용언이 포함되었다. 아동이 많이 산출한 용언을 알아보기 위해서 산출빈도와 산출아동율을 계산하여 50% 이상 산출한 용언의 의미론적 및 구문론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용언의 의미론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사의 경우 요구/거절, 성공/실패, 위치변화/동작, 행위, 상태변화 동사로 의미유형을 분류하였다. 용언의 구문론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동사와 타동사로 분류하였다. 산출용언의 연령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의 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연령집단(1½세, 2세, 2½세)에서 산출한 용언의 수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증가에 따라 산출한 용언의 수도 증가하였다. 2. 각 연령집단에서 50% 이상 산출한 동사에서 의미적으로는 위치변화/ 동작 동사가 많았고, 구문적으로는 타동사가 자동사에 비해 많이 산출되었다. 3. 각 연령집단에서 50% 이상 산출한 형용사에는 시각과 청각보다는 미각이나 촉각에 관련된 형용사가 많이 산출되었다. 4. 용언유형(동사, 형용사)과 연령에 따라 용언의 산출빈도와 산출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증가에 따라 산출한 동사와 형용사의 수가 증가하였고, 산출율도 증가하였다. 5. 동사유형(자동사, 타동사)과 연령에 따라 동사의 산출빈도와 산출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령증가에 따라 산출한 자동사와 타동사의 수가 증가하였고, 산출율도 증가하였다.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inflected words (verbs and adjectives) in children from age 1;6 to 2;11. Ninety mothers of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age groups with a 6 month interval. Each mother was asked to record on the checklist given the inflected words her child has produced. The statistic of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flected words developed progressive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ments of ages, (2) verbs of locative change and of motion were produc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of other semantic categories, (3) transitive verbs were produced more frequently than intransitive ones, and (4) sensory adjectives of tactility and taste were produced more frequently than ot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아동의 동사발달 = 6 B. 우리나라 아동의 용언발달 연구 = 12 C. 우리나라 용언에 대한 정의와 분류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9 A. 연구대상 = 19 B. 검사도구 = 20 C. 연구절차 = 22 D. 자료분석 = 24 IV. 결 과 = 27 A. 각 연령집단에서 많이 산출된 용언의 특성 = 27 B. 연령에 따른 산출 용언의 분산분석 = 35 V. 결론 및 제언 = 43 A. 결론 = 43 B. 연구의 제한점 = 47 C.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5 영문초록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323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 1/2-2세 정상아동의 용언발달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