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아-
dc.creator이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4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07-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과 평등한 노동권 실현을 위한 여성운동계의 관심과 노력으로 성차별적 제도와 규칙들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들도 보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노동시장내 성별직종분리와 성별직급분리현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으며, 때문에 질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왜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주변화되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업내에서 남성 네트워크가 어떻게 여성을 배제하고 또한 성차별적 관행을 재생산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조직내 성차별과 여성의 지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주로 조직내 공식구조에 초점을 둠으로써 비공식 관계를 중요한 연구 영역으로 들어오지 못하거나 공식 조직과 분리된 영역으로 다룬 측면이 있다. 그리고 여성이 어떻게 성차별을 경험하는지 또는 조직내 남성 성문화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다루면서, 여성과 남성의 경험을 연계시키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공식 관계가 공식 구조와 상호 긴밀한 관계를 통해서 성차별적 관행을 유지, 재생산하는 중요한 영역임을 밝히고, 조직내 여성과 남성의 경험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행위자에 의해 재생산되는 성차별적 구조와 결과의 방식을 역동적으로 나타내려고 하였다. 특히 공식구조에서의 성차별적 제도와 규정 뿐 아니라 비공식 관계에서 여성을 배제하고 주변화시키는 비가시적인 성차별 또한 여성의 평등 노동권 실현을 제한하는 중요한 걸림돌이며, 변화의 지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대기업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직 남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성차별적 관행이 재생산되는 구체적인 과정과 행위자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다수조직내에서 남성 네트워크는 남성의 이해관계에 기반하여 남성놀이문화를 매개로 형성되며, 여성은 남성중심의 비공식 관계망으로부터 배제된다. 남성 네트워크는 ‘충성과 보장된 미래’라는 관계 방식을 실천함으로써 남성들의 유대관계를 공고히 하고,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남성 놀이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한다. 그리고 남성 네트워크(old-boys networks)는 여성에 대한 성차별적 언설과 성역할 담론을 작동시키고, 이것은 여성의 배제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담론과정은 여성을 부정적이고 열등한 존재로 규정하며, 공식구조내에서 여성의 주변적 위치를 재생산하는 효과적인 기제이다. 둘째, 비공식 관계가 공식구조를 뒷받침하는 조직문화는 남성네트워크가 남성중심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공식구조에서 유리한 위치를 보존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비공식 관계망에서 배제된 여성은 중요한 의사소통과정과 정보망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을 심리적으로 위축시킬 뿐 아니라 공식적 기회와 자원분배과정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게 만든다. 남성 네트워크의 이해에 기반한 자원공유와 의사결정에 의해 남성 네트워크로부터 배제된 여성은 중요한 업무와 부서, 그리고 승진의 기회를 제한하는 ‘유리천장(glass ceiling)’과 ‘유리벽(glass walls)’현상을 경험한다. 셋째, 이에 대해 여성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대응방식을 시도한다. 먼저 조직의 규범이 남성성임을 간파하면서 조직내에서 인정받고 성공하기 위해 여성성을 부정하고 남성성을 수용하는 전략을 택한다. 특히 비공식 관계의 중요성을 알게 되면서 남성과 연대하기를 시도하지만, 남성과 사적인 관계를 맺기 어려운 여성은 남성과 연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여성은 남성보다 더 나은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인정받기 위해 일에 모든 것을 바친다. 그러나 그러한 철저한 자기관리와 업무방식은 오히려 여성 관리자에 대한 편견을 강화하는 모순적 순환과정에 놓인다. 넷째, 조직내에서 주변화된 여성은 개별적 대응의 한계를 인식하고, 다른 여성들과 소외와 배제 경험을 공유하면서 여성 연대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아직까지 여성 연대가 구체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여성들은 여성연대가 남성 중심조직에 대한 저항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감지하고, 여성들만의 모임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저항의식을 토대로 여성 연대가 세력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어떻게 세력화할 것인지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성평등한 조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에 대한 또 다른 연구문제를 남겨준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떻게 여성이 조직내에서 주변화되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여전히 조직내 성차별적 관행이 지속되고 있고, 여성의 평등노동권이 실현되지 않고 있음을 말해준다. 따라서 조직내 성차별적 관행을 개선하고 실질적 평등을 이루기 위해 여성 개인 뿐 아니라 기업,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과 인식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를 이한 대안으로는 첫째, 결과의 평등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 및 제도 마련, 예를 들면 성역할에 기반한 성차별을 성차별로 규정하고, 관리직에서의 성평등 실현을 위한 잠정적 우대조치 시행 등, 둘째, 비공식 관계가 공식구조를 뒷받침하는 기업문화의 변화, 예를 들면 다양한 의사소통방식과 평가 및 승진과정의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과 시행 등, 셋째,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성차별 관행을 금지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의 성차별에 대한 인식 강화 및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 등이다. ; Sexually discriminatory polices and conduct now seem to be reducing, owing to the women’s labor movement, which aims at realizing gender equality and improving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Despite the increase in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poor status of women laborers is still not much better.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as to why women are excluded fro, the labor market? This thesis seeks to reveal how old-boys network exclude women labors and reproduce sexually discriminatory practices in organizations. Generally, previous articles have missed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l structure, including human relations, and did not examine women’s experience along with that of men, because they have largely on the formal structure in explaining sexual discrimination in organizations.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informal structure is rarely visible, but it is very serious barrier to the advancement of women laborers. This study finds that the informal structure is an important sphere, in maintaining and reproducing sexual discrimination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the formal structure. For this purpose, I have examined of women and men who work for large enterprises by using the interview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 are excluded from old-boys networks, because the latter serve men’s interests and enhance men’s relationships through a culture of masculinity. Women’s exclusion if legitimated by sexually discrimination discourse created by the old-boys networks. This process is important in making women inferior workers, compared to men. Also, this becomes an influential basis for the reproduction of women’s poor status. Second, the culture of organizations that has strong old-boys networks promote the higher status of man. Women workers are alienated from important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networks because of their lower status and exclusion. They thus lose confidence and vision in the organizations. Women workers are impeded by the ‘glass ceiling’ and ‘glass walls’ that restrict their opportunities, both in the job and in promotion. Third, women laborers try to survive in the organizations, using various strategies. For example, women deny femininity and accept masculinity in order to succeed. Even if women want to have common networks with men, soon realize that it is difficult to do so. In cases, women work style only serves to strengthen prejudices against them. Fourth, women recognize their limit in the workplace. They think that they need to have women’s solidarity to share their experience. So far, women’s networks are not formalized to the same degree as men’s networks, but some women arrempt to do so, by having regular women’s meetings. This study reveals that sexually discriminatory practices have not yet disappeared. In order to overcome this hurdle and promote gender equality, this study off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1) The policy against sexual discriminatory must guarantee gender equality, as an outcome; 2) It is necessary to change organizations culture, where-in old-boy’s networks dominate the formal structure; and 3) The ratio of women’s managers must increase, for the enhancement of gender equality and this needs the formulation of various policies, such as affirmative action for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제1장 서론 = 1 1.1 문제제기 및 연구내용 = 1 1.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7 1.3 이론적 배경 = 12 1.3.1 남성조직문화 = 12 1.3.2 비공식 네트워크와 여성배제구조 = 15 제2장 조직내 남성 네트워크 구성과 형성 = 20 2.1 구성방식 = 20 2.1.1 수직적 네트워크 = 20 2.1.2 수평적 네트워크 = 24 2.2 형성기제 : 이해관계 = 25 2.2.1 충성과 보장된 미래 = 25 2.2.2 상부상조 = 29 2.3 배제조건 : 남성놀이문화 = 31 2.3.1 남성들간의 공모 = 31 2.3.2 여성 비하와 성적 대상화 = 34 제3장 비공식 남성 네트워크와 공식적 권력 = 40 3.1 비공식 관계의 공식화 : 업무의 연장 = 40 3.2 내부자 정보의 교환과 공유 = 43 3.3 의사결정과정의 개입 : 제한된 합리성 = 47 3.4 능력 개념 :‘일 + α’= 53 제4장 남성네트워크와 성차별의 재생산 : 여성배제 = 57 4.1 배타성과 통제 = 57 4.1.1 여성배제전략 : 성차별적 언설 = 57 4.1.2 성별분리전략 : 섹슈얼리티와 이성애 = 63 4.2 유리천장(glass ceiling)과 유리벽(glass wall) = 70 4.2.1 업무배치 및 승진과정에서의 여성배제 = 70 4.2.2 소외와 간파 = 78 제5장 여성의 대응과 전략 = 84 5.1 남성중심조직에 대한 개별적 대응 = 84 5.1.1 남성성 수용 = 84 5.1.2 남성과의 연대 시도와 좌절 = 91 5.1.3 ‘예외여성’되기 = 95 5.2 성별권력관계와 여성연대 = 102 5.2.1 지지집단으로서의 여성연대 = 102 5.2.2 여성연대의 정치화 = 106 제6장 결론 = 109 참고문헌 = 114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849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업내 남성 네트워크와 여성 배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